Daniel Barenboim: Beethoven Piano Concerto No. 5 in E flat major Op. 73

https://www.youtube.com/watch?v=pEYajsa8NeM


 

 

 

 

 

 


                                  卷頭言 12

                                  권두언 12

 

                                                  第12集第11193311

 

経験主義排撃せよ                       경험주의를 배격하라

そして技術本道れ                         그리고 기술의 본래 길로 돌아가라.

技術とは............全科学.......               기술은...... 모든 과학의 ......

........社会への........                              .......사회에 대한.......

媒剤である........                                   중간 매개자이다......

                                                            

                                                              1933.8 11.  R

 

             

 

 

원문

[#太字][#1段階大きな文字経験主義排撃せよ[#きな文字終わり][#太字終

 

そして技術本道

技術とは............全科学...

................社会への...............

媒剤である.......................................................昭和811R

 

 

 

 

 

경험주의
경험주의의 특징과 그 영향
근대 경험주의의 선구적 인물은 베이컨이다. 베이컨은 중세기까지 서양 학문을 주도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방법을 거부하고, 과학의 실험 정신에 근거해 새로운 학문 방법을 주창하였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 논법식 연역 추리로는 결코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없으며, 기껏해야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경험과 관찰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는 귀납법을 제시하였다. 우리는 그에게서 오직 관찰과 실험을 통해서 객관적인 진리만을 추구하는 과학자의 정신을 엿볼 수 있는데, 이러한 정신은 그의 ‘우상론’을 통해서도 잘 드러난다.

▶ 경험론의 시조인 베이컨은 자연 과학적 지식의 유용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인간이 자연에 대하여 알아낸 지식을 통해 자연을 지배함으로써 생활을 개선할 수 있다고 믿었다. 베이컨 이전의 과학이 “실험은 자연을 교란시킬 수 있다.”며 실험이라는 방법을 외면했다면, 그는 자연에 조작을 가함으로써 과학을 통한 인류의 진보를 꿈꾸었다. “아는 것이 힘이다.” 라는 그의 말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 우상론: 우상(偶像)이란 나무나 돌로 만든 인형을 뜻하는 라틴어 아돌라(idola)에서 온 말로, 무조건적인 숭배 대상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베이컨은 인간이 진리를 바르게 인식하지 못하는 이유가 실험을 거치지 않은 고정된 편견과 선입견 때문으로 보고, 이를 타파할 것을 주장하였다.

▶ 경험주의의 기본 입장
인간은 자연의 하인이요 해석자에 불과하기 때문에, 일이나 생각을 통해 자연의 질서를 관찰한 만큼만 알 수 있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그 이상은 결코 알 수도 없고 행할 수도 없다.

 

 

 

 

 

 

 

 

 

 

 

 

 

 

 

 

-작업중-


 


 


                                         권두언 13 바로가기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