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도낙서 > ---하도낙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洛書의 出處 2 (0) | 2013.12.05 |
---|---|
河圖의 出處 (0) | 2013.12.04 |
河圖의 出處 한글2002 (0) | 2013.11.30 |
洛書의 出處 한글2002 (0) | 2013.11.27 |
天皇地皇人皇의 의미- (0) | 2013.10.13 |
洛書의 出處 2 (0) | 2013.12.05 |
---|---|
河圖의 出處 (0) | 2013.12.04 |
河圖의 出處 한글2002 (0) | 2013.11.30 |
洛書의 出處 한글2002 (0) | 2013.11.27 |
天皇地皇人皇의 의미- (0) | 2013.10.13 |
마방진 (0) | 2016.03.27 |
---|---|
河圖의 出處 (0) | 2013.12.04 |
河圖의 出處 한글2002 (0) | 2013.11.30 |
洛書의 出處 한글2002 (0) | 2013.11.27 |
天皇地皇人皇의 의미- (0) | 2013.10.13 |
마방진 (0) | 2016.03.27 |
---|---|
洛書의 出處 2 (0) | 2013.12.05 |
河圖의 出處 한글2002 (0) | 2013.11.30 |
洛書의 出處 한글2002 (0) | 2013.11.27 |
天皇地皇人皇의 의미- (0) | 2013.10.13 |
河圖出處
河 강 이름 하; 강 이름, 황하, 내, 강, 운하
河圖 河龍馬負圖
옛날 伏羲氏복희씨 때에 黃河황하에서 八卦를 등에 괘고 용마가 지고 나왔다는 그림
河圖洛書의 고문자 상형에서 보듯
洛낙의 의미가 水 + 各: 물을 각각 부분으로 나눈다는 뜻이라면
河하의 의미는 水 + 可: 물을 끌어 앉는다는 뜻이다.
천문에서 밤하늘을 海라한다.
밤하늘에 물을 끌어 앉고 있는 곳은 우리은하수이다.
釋名석명에 河下也隨地下處而通流也이라했다.
땅을 따라 아래쪽 있는 곳으로 통해 흐른다. 라고 하였다.
천문도 상의 은하수 모양을 이르는 말이다.
說文:河水出焞煌塞外昆侖山發原注海人人水可聲乎哥切 설문해자에
은하수는 焞煌돈황의 사이가 벌어진 바깥쪽 곤륜산에서 발원해서 밤하늘에 흘러간다. 라고 했다.
은하수는 거리를 두고(塞양쪽으로) 기세가 찬란한 빛(焞煌)이 나는 곳이다.
바깥쪽에 있는 곤륜산에서 시작하여 밤하늘에 흐른다.
焞煌돈황이란 천문에 있어서는 도시이름이 아니다.
기세가 찬란한 빛이 나는 곳: 焞煌돈황
焞煌돈황 이곳이 천문도상 은하수의 발원지라는 의미이다.
은하수의 발원지는 우리은하수의 중심방향을 말한다.
은하수는 거리를 두고(塞양쪽으로)있는 바깥쪽이 昆侖山이라했다.
昆侖山은 천문도상의 파란색 ∩형 은하수 모양을 말한다.
伏羲氏복희씨 때 河圖가 나왔다는 말은 곧
복희씨 때에 우리은하수를 중심으로 천문을 했다는 뜻이다.
昆侖山의 위치를 알았으니 昆侖山軒轅之宮헌원궁에 산다는 西王母의 위치는 뻔하다.
西王母의 위치는 우리 은하의 중심점을 말한다.
본인이 昆侖山은 은하수의 모양이라는 주장을 편지 20년이 됐다.
은하수는 거리를 두고(塞양쪽으로)있다고 했다.
천문도 그림 좌측 우리은하의 중심방향 양단으로 나뉘어있다.
우리의 은하수는 두 판으로 이루어졌다.
현대천문학이 우리의 은하수의 구조가 두 판으로 이뤄졌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은 불과 100년 전의 일이다.
그런데 伏羲氏복희씨 때에 이미 우리의 은하수의 구조가 두 판으로 이뤄졌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은하수의 구조가 두 판으로 이뤄졌다 사실을 河圖의 그림을 분석 하면서 찾아보자.
河圖洛書공히 中央五土의 위치를 정했다.
中央五土의 의미는 지구의 관측자의 위치를 의미한다.
그런데 河圖에는 밖으로 또 다른 中央五土가 자리하고 있다.
또 다른 관측자가 더 있다는 말이다.
숫자의 배열은 방위의 표시이다.
그런데 하도에는 방위 또한 이중의 방위가 겹쳐있다.
왜 이런 모양이 나올까?
땅에서 관측자가 본 동쪽과 동북쪽 사이에는 45°의 각 거리가 나타난다.
이때 제3의 관측자가 우주 밖에서 이 모양을 보면 동쪽과 동북쪽은 일직선상에 놓인다.
이것이 河圖의 8-3-5-5 배열이 된 것이다.
河圖는 다름 아닌 은하수 중심의 배열이라는 말이다.
조물주의 입장이 되어서 우주 밖에서 은하수를 타고 지구의 변화를 관측하는 그림이다.
은하수의 구조도 중심과 남북극이 존재한다.
그러나 지구에서 본 관측자는 은하수의 방위를 동서남북으로 구분하지 못한다.
그 이유는 지구와의 기울기가 62˚6 기울어 있기 때문이다.
은하적도의 천구적도에 대한 기울기는 62˚6 이다(1950년 분점)
따라서 은하수의 움직임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또는 서쪽에서 동쪽으로라는 방향만을 말할 수 있다.
河圖의 8-3-5-5 배열은 은하수의 동쪽에서 서쪽으로의 흐름을 중심으로 나타낸 그림인 것이다.
伏羲氏복희씨 때 태양 중심의 12 黃道帶 천문과 아울러
은하중심의 28宿帶천문을 병행 하고 있었다는 말이다.
說文:河水出焞煌塞外昆侖山發原注海人人水可聲乎哥切 설문해자에 이라했다.
은하수는 焞煌돈황의 사이가 벌어진 바깥쪽 곤륜산에서 발원해서 밤하늘에 흘러간다.
여기서
기세가 찬란한 빛(焞煌)이 나는 곳은 우리은하의 중심을 표현한 글이다.
이 은하중심 주변의 별자리에는 전설이 담긴 별자리 이름이 많이 있다.
魚. 傳說. 天策=天簀. 尾九. 南斗. 龜五. 등의 별자리이다.
魚: 쌍어의 눈이 되는 곳이다. 고대그림의 쌍어는 은하수 은경의 펼친그림이다.
傳說: 은나라 때 성인으로 부열은 죽어서 箕星별을 타고 하늘에 올라 傅說별이 되었다.
天策=天簀: 하늘의 지팡이라는 말이다. 여기를 하늘의 중심으로 삼는 다는 말이다.
左传·僖公五年에 鶉之賁賁天策焞焞火中成军虢公其奔
尾九: 전갈의 꼬리별이다. 두 남매가 호랑이를 피해 잡고 올라가던 밧줄이다.
항상 서왕모를 보필하는 꼬리가 아홉 개인 구미호이기도 하다.
서왕모는 우리의 생명을 주관한다.
南斗. 북두칠성과 반대로 생명을 주관한다는 별자리이다.
서왕모가 가지고 있는 천도복숭아 먹으면 죽지 않는다는 복숭아
아들 나달라고 남두육성에 빌엇단다.
龜五: 거북은 천문도구의 둥근 환을 의미하고 천문도의 바탕을 의미하는 말이다.
기세가 찬란한 빛이 나는 곳: 焞煌돈황
한여름 밤 은하수가 떠오르면 찬란하다.
찬란하다 못해 은빛 모래밭이라 표현한다.
기세가 찬란한 빛이 나는 곳 焞煌돈황
천문도상 은하수의 중심 은하의 발원지라는 의미이다.
焞煌돈황의 지리적 위치는 실크로드의 중심지였다.
焞煌돈황이 하늘의 중심으로 설정했다면
또한 焞煌돈황을 지리적 교역의 중심. 지구의 중심으로의 설정이 가능하다.
본시 천문. 지리. 역사가 함께 어우러져 쓰여 있는 글이 山海經이다.
하도는 은하를 중심으로 그린 그림이다.
하도를 짊어지고 나온 龍馬는 다름 아닌 천문 도구를 이르는 말이다.
고대 천문도구에는 동서양 모두 용의 문양을 장식했다.
馬의 의미는 천문도구의 둥근 환이 별자리를 따라 돌아가는 모양을 천마가 하늘을 난다고
표현한 것이다.
계절과 시간의 변화에 맞춰 위치가 변하는 천마의 좌표이동을 八風이라한다.
洛書의 出處 2 (0) | 2013.12.05 |
---|---|
河圖의 出處 (0) | 2013.12.04 |
洛書의 出處 한글2002 (0) | 2013.11.27 |
天皇地皇人皇의 의미- (0) | 2013.10.13 |
龍馬飛天 (0) | 2013.10.10 |
洛書의 出處
洛낙; 강 이름(황하), 땅 이름, 잇닿다.
洛은 고대 중국의 도읍 낙양洛陽에서 온 말이라 하여 한양으로도 해석한다.
洛水는 中國 陝西섬서ㆍ河南하남의 두 省성을 흐르는 강 이름이다.
여기에서 夏나라禹 우임금이 洛書낙서를 얻어서 천하를 다스리는 洪範九疇홍범구주의 大法을만들었다고 한다.
洛書낙서의 출처를 찾아 天文解字列車에 오른다.
春秋說題辭: 洛之爲言繹也言水繹繹光耀也라고 했다.
洛之爲言繹也言水繹繹光耀也
洛낙이라하는 것은 풀어낸다는 것이다.
言水繹繹光耀也 물의 의미를 풀어서 확실히 밝히는 것이라 했다.
水물의 의미가 무엇인지 풀어보자.
洛낙은 水 + 各자의 조합이다.
물을 각각 부분으로 나눈다는 말이다.
물을 각기 나누어 풀어보면 현대 과학적으로는 H2o다.
여기서 말하는 물이란 천문학상의 의미이다.
고대 天文에 있어서의 水물은 天文圖의 바탕을 말한다.
물위에 天文圖를 그렸다는 말이고 이것을 세분화 해보는 것이 洛낙이라는 말이다.
어떻게 물위에 天文圖를 그렸을까?
물그릇에 물을 가득 담고 그 위에 실을 가로와 세로로 모기장처럼 펼쳐놓고 밤하늘에 비춰본다.
수면위에 반사되는 별자리의 좌표를 가로와 세로로 놓인 실을 통해 좌표값을 구할 수 있다.
둥근 물그릇이 천문도가 되고 물은 천문도의 바탕이 되는 것이다.
물을 각기 나누어 풀어본다는 말은
다름 아닌 실선을 통해 적경값과 적위값을 세세히 나누워 본다는 말인 것이다.
그 옛날 천문관측을 할 때 고개를 들고 밤하늘을 바리 본 것이 아니라 물그릇을 통해서 천문을 했던 것이다.
그 물통 이름은 其라고한다. 天文解字: 其 -바로가기-
이렇듯 물통을 이용해 천문을 하는 것을 治水라한다.
그 옛날 鯤곤이 치수를 잘못 했다는 말은 둑을 잘 못 쌓은 것이 아니라
물통을 이용한 천문관측을 함에 있어 좌표를 잘못 관측함으로써 농사의 절기를 놓치고
홍수 전에 물길을 터놓지 못한 실수를 의미한다.
곤이 사형당해 죽은 뒤 舜순임금은 곤의 아들 禹우에게 다시 치수를 맡긴다.
禹우는 治水에 성공하여 새로운 夏나라의 禹우임금이 되었다.
治水는 곳 천문을 의미하는 것이다.
천문은 아무나 능력이 있는 자가 하는 것이 아니었다.
천문은 제왕의 학문이요. 그 방법 또한 비밀리 전해진 것이기에 아버지 鯤곤으로부터
대를 이어 이어받은 것임을 짐작케 한다.
천문은 天氣요 천기누설은 현장즉사라 하였으니 비밀리 이어가기위한 방편으로 단지 天文을 治水라 명명한 것 일 뿐이다.
각설하고
洛낙은 水 + 各자의 조합으로
물을 각각 부분으로 나눈다는 말은 물통을 통해서 천문 좌표로 세분한다는 의미였으니
우임금이 洛水에서 거북을 얻었다는 내용 또한 천문과 관련이 있음은 분명하다.
천문과 거북의 연관성을 유추해 보자.
천문에는 종횡으로 직경선분과 적위선분을 그려 넣어야하고 360°圓안에 밤하늘의 모든 별자리를 그려 넣어야한다.
전체 천문도는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당일 밤에 뜨지 않는 별자리그림은 굳이 가지고 다닐 필요는 없다.
우임금은 휴대용 천문도를 구상하고 있던 차에 거북이를 보게 된 것이다.
거북의 등껍질에는 적경선분과 적위선분의 문양을 그리고 있었던 것이다.
바로 거북의 등껍질에 별자리 이름만 그려 넣으면 휴대용 천문도가 된다는 사실을 발견 한 것이다.
360°圓을 적경으로는 8等分하고 8細分하고 적위는 9등분 9세분하여 거북의 등껍질에 별자리 이름을 기록하면 마치 팔만대장경의 목판처럼 보관 했다가 필요시 꺼내다 관측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그것이 殷墟의 甲骨文字 판인 것이다
태초의 별자리표시는 노끈으로 매듭을 맺은結繩 결승을 이용하다가 그다음은
대나무 쪽을 연결한 書契서계로 쓰였던 것을 거북의 등판에 글자로 표시하게 됨으로써 천문과 문자의 획기적인 발전을 이룩한 것이다.
이 내용은 설문해자서에 기록돼있고 주역의 기록이기도하다.
또한 본인이 극구 주장하는 문자 기원설로써 문자의 기원 -바로가기-
최초의 문자는 천문 기록을 하기 위해 만든 별자리 모양의 상형들이 문자화 된 것이라는 주장의 발전 과정이기도 하다.
書契서계를 사용할 때는 위치표시만 했던 별자리에 거북등에는 문자로 별자리 이름 까지 적어 넣다보니 문자의 발전을 가속화 했고 거북등에서는 적경과 적위값을 쉽게 확인 할 수 있으니 수학적 계산 또한 날로 발전한 것 이였으니
이로써 우왕은
천하를 다스리는 천문과 인륜의 大法 洪範九疇홍범구주를 창안해 낸 것이다.
갑골문자는 은나라 역사기록이 아닌 천문학의 기록이며
사마천 사기 구책열전 또한 거북이로 점을 친 내용이 아니고
본인이 해석한 바와 같이 천문학 개론서인 것이다.
洛자의 의미가 천문도의 바탕이 라는 의미로
古詩 한 수를 천문적 해석으로 올립니다.
元康四年從皇太子祖會東堂詩
魏晉·陸機 위진·륙기 惠帝元康四年 혜제원강4년(294년)
巍巍皇代 찬란했던 삼황시대
奄宅九圍 洪範九疇의 대법이 온 누리에 퍼졌으니
帝在在洛 조물주계신 곳곳이 天文의 바탕이네
克配紫微 하늘의 자미원과 짝이 되여
八風應律 절기 맞춰 簡儀간의가 돌아가네.
日月重暉 해와 달은 연이어 빛을 뿌려
普歷丘宇 온 누리에 펼친 자취는
時罔不綏 시간의 흐름을 멈출 수 없어라
東堂 : 동당은 천문관측대
洛: 天文의 바탕.
洛書: 천문학의 바탕글
克配紫微: 자미원과 짝이 되었다. 簡儀간의의 기준 방향을 북극에 정확히 맞춰졌다는 말
八風: 여덟 계절의 바람
八風: 천문에서의 八風은 천문도구 簡儀간의의 사유환과 막대 모양의 규형이 계절에 따라 사방팔방으로 돌아가는 모양을 이르는 말
八風이 부는 모양 ANI 1 -- 6 까지
Ani 1 Ani 2 Ani 3 Ani 4 Ani 5 Ani 6
*전해 내려온 천문관측 도구의 정밀함을 예찬함*
陸機-중국 진(晉)나라의 문인(260~303). 자는 사형(士衡). 동생 육운과 더불어 이륙(二陸)이라고 칭송된다. 오(吳)나라가 망한 후, 동생과 함께 晉나라에서 벼슬하였다. 화려한 문장을 썼으며, 조식(曹植) 이후의 제일인자로 꼽힌다. 주요 저서에 [문부(文賦)], [변망론(辨亡論)],
[육사형집(陸士衡集)] 따위가 있다.
河圖의 出處 (0) | 2013.12.04 |
---|---|
河圖의 出處 한글2002 (0) | 2013.11.30 |
天皇地皇人皇의 의미- (0) | 2013.10.13 |
龍馬飛天 (0) | 2013.10.10 |
하도낙서 (0) | 2010.10.16 |
흔히 三皇為:天皇伏羲 地皇神農 人皇軒轅라한다.
또한
天皇道 地皇德 人皇明 이라 일컫는다.
고대의 역사는 전설이 되었다.
고대 최고의 권력은 누가 天祭를 지내느냐에 따라
천자라 칭하고 封禪봉선이라는 祭를 올릴 수 있었다.
封禪봉선의 의미는 무엇인가.
천산에 올라 하늘에 새 왕조의 창업을 고하고
천문관측을 정확히 하여 새로운 왕조의 새로운 역법으로 새로운 달력을 만들어
하산하여 백성들에게 공표하고 새 왕조의 창업공신들에게 식읍을 나누어 주는 일이다.
새 왕조가 들어설 때마다 새로운 역법을 시행했고 오랜 왕조의 역법이 잘 맞지 않으면
새로운 봉선을 올려 역법을 수정해서 왕조를 지탱한 것이다.
사마천의 아버지가 천문학자였으나 봉선제에 참가하지 못해 원한이 서렸다는 일화는
올바른 천문을 하지 못한 잘못된 봉선이었기에 아쉬움을 나타낸 것이다.
고대천문은 최고 권력자의 비밀스러운 프로젝트였다.
그려니 당연히 고대 권력자들의 싸움 속에는 천문의 내용이 포함돼 있다.
다만 일반 백성들이 알 수 없는 이중적 언어로써 전래됐기에 까다로운 제악이 따른 것이다.
고대 실담어(悉曇語)산스크리트(梵語)어는 왕족만이 사용한 언어라 한다.
공자 또한 주역 속에 비밀스러운 말로 천문울 감추고 있는 것이다.
三皇為:天皇伏羲 地皇神農 人皇軒轅
三皇帝 때의 천문을 보자.
1. 天皇伏羲
伏羲시대 천문
작대기를 세워 해 그림자의 길이로 하지와 동지를 관측하고
태양이 땅 밑으로 사라지면 떠오르는 별자리로 보든 별은 태양의 지시대로 떠오르고 사라지는 12 황도대의 천문이 전부였다.
그림 복희 여와의 맨 위 태양과 주변 별자리의 그림이 황도대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의 천문상 極은 태양을 중심으로 하였기에 태양의 축인 황극 하나만이 존재한다.
이를 일러서 고대천문의 天皇이라 한다.
따라서 해가 움직여가는 길을 天皇道라한다.
2. 地皇神農
神農시대 천문
천문의 발전으로 별자리가 북극을 중심으로 펼쳐있음을 발견한다.
북극의 존재를 알게 되자.
皇極과 北極 2개의 극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
天皇, 地皇이 되었다.
본디 전설에는 황극과 북극은 한자리에 있었다.
공공이 부주산을 들이 받은 사건이후 지축이 23.5도 기울어 두 극이 생겼다는 이야기다.
그 때 산을 들이 받은 공공의 이마에 혹이 생겼다고 상상이 가지만
신농씨도 이마에 두개의 혹이 생겼다.
황극과 북극의 심벌이다.
地皇德이라했다.
德은 베푼다는 뜻이다. 펼친다는 뜻이다.
地皇 북극이 중심이 되어 뭍 별자리들을 360도 펼쳐 놓았다는 뜻이다.
3. 人皇軒轅
人皇시대 천문
황제들의 피 터지는 싸움으로 많은 영웅들이 백성을 이끌고 온 지구로 퍼져나간다.
멀리 퍼져나간 동족들은 기존의 천문 역법이 차이가나는 사실을 알고
새로운 역법을 만든다.
지구의 위치에 따라 하늘의 별자리 좌표가 달리지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북극 출지값을 얻어낸 것이다.
이때 자신이 서있는 머리 위쪽 또한 극이 존재함을 발견한 것이다.
천정의 좌표 人極즉 人皇인 것이다.
人皇明
明은 확실하게 밝힌다는 뜻이다.
天皇 地皇 人皇 황극 북극 천정의 좌표를 알았음으로 정확한 천문을 하게 된 것이다.
지구는 하루 한 바퀴 자전한다.
관측자의 입장에서 보면 地皇과 人皇항상 고정된 위치에 있다.
북극의 좌표와 천정의 좌표는 고정점인 반면에 天皇은 북극의 주변을 一週한다.
묘한 언어의 마술이다.
天皇이 地皇의 주변을 돌아간다는 말이다. 天皇道
그러고 보니 地皇이 덕스러워 보인다. 地皇德
지금까지 이 사실은 人皇이 찾아 밝힌 것이다. 人皇明
伏羲 神農 軒轅 이후 封禪의 주체가 되고자하는 피 터지는 싸움은 계속되고 있다.
河圖의 出處 (0) | 2013.12.04 |
---|---|
河圖의 出處 한글2002 (0) | 2013.11.30 |
洛書의 出處 한글2002 (0) | 2013.11.27 |
龍馬飛天 (0) | 2013.10.10 |
하도낙서 (0) | 2010.10.16 |
河圖의 出處 (0) | 2013.12.04 |
---|---|
河圖의 出處 한글2002 (0) | 2013.11.30 |
洛書의 出處 한글2002 (0) | 2013.11.27 |
天皇地皇人皇의 의미- (0) | 2013.10.13 |
하도낙서 (0) | 2010.10.16 |
하도와 낙서
진정 무슨 의미인지 아는 자 있을까?
뭐라 아는체는 한다마는....
못된 말이 수레를 뒤 없어 놓고는
나자빠져서
네발로 하늘을 휘저으며
나 몰라라 한다.
河圖의 出處 (0) | 2013.12.04 |
---|---|
河圖의 出處 한글2002 (0) | 2013.11.30 |
洛書의 出處 한글2002 (0) | 2013.11.27 |
天皇地皇人皇의 의미- (0) | 2013.10.13 |
龍馬飛天 (0) | 2013.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