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왕조 시대의 노래였는데 거기에 주공을 찬양하는 글이 덧붙여 있다 한다.
농가월령가로 읽혀진다.
詩經을 천문적으로 해석한다는 것에 다소 의아스럽다 할 것이다.
한두 구절을 천문적 해석으로 꿰어 맞추기를 했다면 그럴 수도 있다.
하지만 전편에 걸쳐서 일관성 있는 내용으로 해석되고 더군다나.
천문학적 별자리좌표로써 입증되는 내용들이다.
천문적 해석이 가능한 章만을 올린다.
豳風: 天文臺에 부는 바람 1
七月章은 1050년 은왕조 멸망. 서주(西周)시대 시작된 이후
주(周)나라 주공(周公기원전 11세경)이 섭정을 그만두고 나이가 어리고 경험이 부족한 성왕(成王)을 등극시킨 뒤, 백성들의 농사짓는 어려움을 인식시키기 위하여 지은 것이라 한다.
그런데 이글은 천문적인 내용이 이중으로 들어 있다.
주로 火星의 一周를 예의 관찰한 내용을 적고 있다.
관측 시기는 BC1054년 주나라가 개국할 즈음이다.
관측지는 중국 하남성 안양 은허 N 35.9 E114.4 이다.
화성은 관측 前년인 BC1055년 8월부터 역행을 하다가 BC1054년 1월8일부터 황소자리에서 순행을 시작한 즈음의 화성 활동 내용이다.
詩經/ 豳風/ 七月
豳빈: 천문적 의미는 천문대를 말한다.
風풍: 물론 풍이란 그옛날 백성들이 부르던 유행가를 말한다.
豳 [나라이름빈,얼룩반] 나라이름. 성(姓)의 하나. 얼룩(반). 얼룩지다(반).알록달록할(반)
豳의 고문자 상형을 보면 산에서 두 사람이 하늘을 보고 있다.
천문 관측을 하는 곳 천문대의 상형이다.
古代에도 천문관측기구를 가지고 한사람은 천문도구의 둥근 환을 돌려주고 한 사람은 좌표를 정확히 확인 하는 것이다.
殺人설인 이라는 사람이 있다.
천문도구 환을 돌려주는 사람을 뜻한다. 殺人살인이 아니고 설인이라고 발음한다.
그림2
豳風 天文臺에 부는 바람
七月
七月流火(칠월류화) : 칠월에는 火星이 밤하늘에서 빨리 지나간다.
이때 화성은 태양 가까이 접근해 있어서 태양이진 후 초저녁 동안 잡시 떠 있다가 곧바로
지평선 아래로 사라진다.
그림3
九月授衣(구월수의) : 구월이면 (화성이) 태양의 그림자 옷을 입는다.
이 구절을 설명하자면 衣자의 천문적 의미부터 살펴야한다.
衣옷의: 옷. 옷 자락. 싸는 것. 덮는 것.옷 입다. 입히다. 덮다. 행하다. 실천하다.
衣옷의: 천문적 의미는 덮는 다는 뜻이다.
康熙字典에
衣: 《玉篇》 所以形軀依也 《白虎通》衣者隱也
《釋名》衣依也. 中衣言在外小衣之外大衣之中也라 했다.
《玉篇》 所以形軀依也 : 몸을 덮은 것이다.
《白虎通》衣者隱也: 덮어서 보이지 않는 것이다.
덮어서 보이지 않는 다는 의미는 천문적으로 蝕을 의미한다.
일식 월식 등의 행성이 나란히 정렬하여 관측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釋名》衣依也. 中衣言在外小衣之外大衣之中也
가운데가 덮여있다는 말은 밖에서 작은 것을 덮은 것이다.
밖에서 큰 것이 덮은 그 가운데에 있다.
멀리있는 큰 태양도 손가락하나로 덮을 수 있고
작은달이 큰 해를 덮어 일식을 만드는 모양의 설명이다.
그림4
또한 合의 의미를 가진 문자는
褐갈자이다.
衣 + 日 + 匈자로 이뤄져있다.
고문자 상형의 의미는 태양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관측자가 볼 때 행성이 태양의 뒤쪽으로 들어가 보이지 않는 외행성의 합을 뜻하는 글자이다.
그림5
九月授衣(구월수의) : 구월이면 화성이 태양의 그림자 옷을 입는다.
화성은 9월에는 처녀별자리의 치마 끝 부근에 있다.
이 좌표에 태양이 머무르고 있어서 밤하늘에서 화성을 볼 수가 없는 기간이다.
태양의 밝은 빛에 의해 가려진 화성 곧이어 태양 뒤쪽으로 숨었다.
태양의 빛을 옷으로 삼아 덮어썼다는 뜻이다.
처녀 별자리 치마 부근에서 보아도 화성은 보이지 않는다.
그림8
공교롭게도 처녀별자리 치마 밑에서 벌어진 사건이다.
화성이 처녀 앞에 가면서 알몸으로 나서기 멋쩍어서 태양의 그늘로 들어가 어두움으로 옷을 삼은 것일까?
一之日觱發(일지일필발) : 동짓달에는 화성이畢宿(황소자리)에서 떠간다.
康熙字典/ 說文: 作畢發이라했다.
畢필은 28宿중 畢宿황소자리를 이르는 말이다.
이때 화성은 틀림없이 황소자리 가운데 자리하고 있다.
SKYMAP 32 프로그램상 +1year 동지시각은 bc1055년 12월 30일 16:36이다.
그림9
二之日栗烈(이지일율열) : 12월에는 화성의 모양이 밤톨을 꿰어놓은 듯하다.
그림10
無衣無褐(무의무갈) :화성이 태양과 지구사이에서 沖과 合이 없다면
何以卒歲(하이졸세) : 어떻게 한해를 넘길 수 있겠는가?
위에서 衣자의의 천문적 의미를 설명한 내용과 같다.
외행성인 화성이 태양의 주위를 한 바퀴 도는 과정을 말하는 것이다.
지구의 관측자가 보았을 때 일 년에 한 번씩 화성의 沖과 合이 이뤄진다.
이 沖과 合이 없다면 일 년을 보냈다 할 수 없는 것이다.
三之日于耜(삼지일우사) : 정월에는 화성이 쟁기날 모양의 자리에 와있다.
농부는 쟁기로 밭을 간다.
천문학자는
쟁기로 씨줄과 날줄을 그어 하늘 밭을 간다.
씨줄과 날줄을 가르는 쟁기가 耜보습이다.
《說文》에 耜臿也이라했다.
고문자 상형은 쟁기로 씨줄과 날줄을 가르는 모양이다.
하늘은 북극을 중심으로 적경과 적위를 나누고
해가 가는 길도 황도로 가르고
은하수의 남북극을 축으로 은경이 그려진다.
그러면 크게 움직이는 동선이 여럿 나타난다.
그림11
그림처럼 화성점 아래로 선분이 만나서 이루는 삼각형이 하늘의 쟁기날 耜사이다.
三之日于耜 3월(周음력 정월) 이날 화성은 분명 저 자리에 떠있었다
四之日擧趾(사지일거지) : 周음력 2월에는 밭을 간다.
이 때는 화성이 천정 가까이까지 올라가서 자리하고 있다.
하늘의 밭을 가는 요령은 천문도구를 천정의 수직에 맞추고 수평을 정렬한 후 시작 된다.
그림12
북극의 정확한 좌표를 찾으면 그때부터 하늘 밭갈이는 시작된다.
화성이 천정부근에 오는 2월에 관측자의 위치부터 정확히 맞춘 다음 천문 관측을 한다
의미이다.
추운 겨울을 지나 천문관측이 활성화 되는 시기임을 뜻한다.
同我婦子(동아부자) :화성이 쌍둥이 별자리와 함께 한다.
이 때 화성에 위치한 별자리는 쌍둥이 이다.
그림13
쌍둥이 형제가 어깨동무를 하고 있는 다정한 모습인데
쌍둥이별자리는 서양 별자리 이름이다.
두 사람 모양의 저 별자리를 주나라 때는 婦子(처자식)별자리라고 한 것이다.
고대 동서양 천문학의 동일성에 관하여
산해경을 교정한 劉秀 유수가 山海經劉秀校上表에 말하기를
먼 나라 다른 사람들의 노래나 풍속도 연고가 있음을 알았습니다. 라고 했다.
노래나 풍속도 연고가 있음이란 古代 이전에도 동서양 상호 문화 교류가 있었다는 말이다.
饁彼南畝(엽피남무) : 거푸집으로 덮으니 남쪽으로 赤經線이 됐다.
爾雅釋詁에 饁鑲饋也라고 했다.
饁은 鑲거푸집 속 양: 饋먹일궤: 드리운다는 뜻이다.
饁은 병아리 집 같이 거푸집으로 덮는다는 뜻이다.
南畝남쪽의 고랑과 밭 두덩이란 하늘의 적경과 적위 선분을 말한다.
밤하늘에 모든 선분을 그리면 마치 병아리 집 같이 보인다.
田畯至喜(전준지희) : 하늘 밭갈이를 마친 천문학자는 지극히 즐겁다.
문자의 천문적 의미 정리
豳빈: 천문대
褐갈: 외행성의 합
授衣수의: 태양의 그림자로 가려짐
觱필: 畢宿황소자리
耜사: 쟁기.보습/ 적도.황도.은경선의 3교차점
婦子부자: 쌍둥이 별자리(Gemini)
饁엽: 거푸집; 완성된 천문도. 자오선의 망
畝무: 赤經과 赤緯 線分
----------------- 2장에서
'언어의 마술 > 詩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豳風: 天文臺에 부는 바람 2 (0) | 2013.10.10 |
---|---|
豳風: 天文臺에 부는 바람 3 (0) | 2013.10.10 |
豳風: 天文臺에 부는 바람 4 (0) | 2013.10.10 |
豳風: 天文臺에 부는 바람 5 (0) | 2013.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