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이상은 일장기 말소 사건의 공범이었다.

 

 

                                                       

                                                                        1936년 8월 13일 조선중앙일보

 

단어 정리

 

外國語灌木 외국어의 관목: 손기정이 들고 있는  대왕 참나무 묘목화분

 

動機동기요!: 움직임의 기미 => 딸까닥 하는 순간이요! => 스넵snap 사진이요!

 

貨物:化物誤記인 듯 : 바뀐 물건 => 바뀐 사진

 

椅子의자: 輪轉機 椅子 윤전기 의자 => 각도 조정용 고정 핀 => もたれ

 

 

 

 

 

 

 

 

位置 (危篤 ) 위치 (위독3)

                                  -이상-조선일보, 1936. 10. 8

 

 

 

重要位置에서한性格의심술이                      중요한 위치에서 한 성격의 심술이

悲劇演繹하고있을즈음                                비극의 상황을 현장검증하고 있을 즈음

範圍에는他人이없었던가.                               그 안에 다른 사람은 없었던가?

--에심은外國語灌木이                      한 화분에 심겨진 외국종 묘목이

막돌아서서나가버리려는動機요                      막 돌아서서 나가버리려는 (딸까닥 하는 순간스넵사진)이요!

貨物方法이와있는椅子가                             바꿔치기한 방법의(원인)이 와있는 윤전기 격자가

주저앉아서 귀먹은 체 할 때                            아래로 내려앉은 체 (나는 모르는 일) 귀먹은 체 할 때

마침내가句讀처럼                                          마침 내가 글자 속 마침표처럼

고사이에낑기어들어섰으니                             그 사이에 끼어들어 섰으니

나는내責任의맵시를어떻게해보여야하나?        나는 내 책임의 맵시를 어떻게 해보여야하나?

哀話註釋됨을따라                                       애석한 말로 핑계를 댐에 따라

나는슬퍼할準備라도하노라면                          나는 슬퍼할 준비라도 하노라면

나는못견뎌帽子를쓰고밖으로나가버렸는데      나는 못 견뎌 모자를 쓰고 밖으로 나가버렸는데

웬 사람하나가여기남아                                  웬 사람(일본 순사) 하나가 여기 남아

分身提出할것을잊어버리고 있다.                 내 신분조사 할 것을 깜박 잊고 있더라.

                                                

                                                          - 끝 -

 

 

일본 순사가 일장기 말소 사건의 전말을 수사하는 현장이다.

당시 조선중앙일보는 인쇄기계가 고물이라서 그렇게 됐다고 얼버무렸다.

1936년 이상은 구본웅의 부친이 운영하던 인쇄소 '창문사'에 일급은 140전에 근무한다.

당시 인쇄소 '창문사'는 조선중앙일보사  3층에서  신문의 일부를 인쇄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아마도 이때

위트와 패러독스paradox의 달인 이상의 한 성격의 심술이 중요한 위치에서 모사를 꾸몄나 보다.

 

危篤위독  /    크!    큰일 날 뻔 했다. ..... ☆※∂¢※∬

 

 그런데

모사는 석달 전 1936년 5월부터 치밀하게 준비해 놓은 사건이었다.

조선중앙일보사 학예부장 상허 이태준과 공모한 사건이다.

손기정이 세계신기록 보유자로써 베르린 올림픽 마라톤 우승이 가능함을 예측했고

당연히 일장기를 단 사진이 신문에 올려질 것을 대비하여

고물 사진동판걸이를 미리 준비해 놓았던 것이다.

 

 

사진은 손기정의 귀국 사진으로 사건 여파로 손기정은 일제로부터 밧줄에 묶여 귀국해야만 했다.

 

 

 


일장기 말소사건은

이미 4년 전 1932년 Los Angeles 하계 올림픽에서도 벌였던 전력이 있는 사건이었다.

 

1932년 Los Angeles 하계 올림픽에 조선의 선수 (황을수, 권태하, 김은배)들이

일장기를 달고 처음으로 올림픽에 참가하였다.

김은배 선수는 마라톤에서 6위에 입상하였다. 1932년 8월 9일

동아일보에서 김은배 6위 입상 소식을 보도하면서 일장기를 지운 일장기 말소사건이 일어났다.

 

 

창문사에 다니던 시절의 사진 왼쪽이 이상.박태원, 김소운

 

 

 

상허 이태준

 

 

 

 

 

 

 

 

危篤위독8 賣春매춘 / 기억을맡아보는...바로가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