後漢書天文解釋本  -1-


巫咸무함,주나라 史佚사일.萇弘장홍 송나라 子韋자위,초나라 唐蔑당멸,노나라 梓愼재신,정나라 裨灶비조 등등이 천문 학자였음에도 구하고 지금에 와서는 무당이나 術士술사라 이해하고 있는 듯하다.

그 옛날에 아닌 말을 지여내서 전하고 전해진 것이니 어느 것이 참된 역사일까.
후한서천문에서 찾아보기로 한다.
天文書이므로 모든 자형의 해석을 천문적으로 해석한다. (완역 진행 중)

 

 

後漢書天文解釋本   


                  王莽三光武十二(서기 36년)


易曰天垂象聖人則之庖犧氏之王
그 옛날에 하늘의 펼쳐진 모양을 천문학자가 관측한 것이다. 포희 씨가 그 일을 한  왕이다.

天下仰則觀象於天俯則觀法於地   
하늘아래에서 올려다보고 측량해 본 하늘의 모양을 내려다본 땅에 측량 법칙을 세운 것이다.

 

觀象於天謂日月星辰觀法於地謂水土州  

바라본 모양이란 하늘의 해와 달과 별자리를 이르는 것이니 본데로 땅에 법칙을 만든 것은 은하수(水) 와 별의 좌표(土)와 하늘을 9주로 분할(州) 한 것을 이르는 말이다.

 

分形成於下象見于上故曰

아래쪽(땅)에서 각 별자리를 나누워 만들어서 위쪽(하늘)의 모양을 보는 것이 되는 것이므로 다시 말하면

天者北辰星合元垂燿建帝形 
하늘에는 북극성 주위로 뭇별들을 모아 가장 밝게 빛나는 것을 제왕으로 삼아 별자리모양을 만들어 놓은 것이다.

運機授度張百精三階 
별자리의 운행의 기틀을 도수로 나타내는데 100度씩 3단으로 적위 선분을 나누었고 

九列二十七大夫八十一元士
9칸의 적경선분을 긋고 그 아래쪽의 칸은 27칸의 적경선분을 긋고 大夫대부가 관장하게 하고 그 다음은 81칸으로 元士원사가 관장한다.  

斗衡太微攝提之屬百二十官
북두칠성은 저울(시간을 제는 별)로하고 태미원에 섭제 별에 속한 별자리는 120궁을 만들었다.

二十八宿各布列下應十二子
이십팔수를 각각의 자리에 정해 나열하고 아래쪽으로 12별 자리를 정하여

天地設位星辰之象備矣
하늘 아래에 별자리의 자리를 만들어 세우니 하늘 모양의 천문도를 준비한 것이다.

 

-해설-


易曰天垂象聖人則之庖犧氏之王
그 옛날에 하늘의 펼쳐진 모양을 천문학자가 관측한 것이다. 포희 씨가 그 일을 한  왕이다.
聖人은 천문학자를 일컫는 말이다.
고문자 聖자의 상형을 보자.
그림1

 



종이 배 모양의 상형은 고대 그릇에 많이 그려진 상형이다. 태양 또는 산이라고 이해하고 있다.
갑골문자를 보면 산. 해를 등에 지고 서있다. 밤하늘을 보고 있는 모양이다.
도를 통한 성인이 아닌 밤하늘별을 관찰하는 천문학자다.
소전체 상형을 보면 그야말로 포희 씨가 밤하늘의 별을 관찰하고 그 법칙을 땅에 그리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고천문서에서 聖人이라는 단어가 보이면 천문학자라고 읽어보시라!


觀象於天謂日月星辰觀法於地謂水土州  
水土州: 천문에서 바다는 海밤하늘이요. 水는 은하수요. 土는 별의 좌표를 의미한다. 산해경에서 國. 山. 河.의미도 같다.

북극성 주위로 뭍별들 중 가장 밝게 빛나는 것을 제왕으로 삼아 별자리모양을 만들고 천문도상에 적위 선분을 100度씩 3단으로 하고  북극 주변의 별자리는 제왕이 다스리는 별로삼고

그 아래 쪽100度에는 大夫대부가 다스리는 별로  더 아래 지평선 부근의 별자리는 元士원사가 관장하는 것으로 하늘과 인간이 하니라는 사상을 도입시켰다.

둥근 적위 선분만을 등분한 것이 아니라 子午의 적경 선분도 나누었는데 북극 부분에서는 360도를 9등분하고

남쪽 하늘부근 쯤은 27등분하고 지평선 쪽은 81등분하여 천문도 기반 그림을 완성했다는 말이다.
그림2


斗衡太微攝提之屬百二十官
적경 적위의 선분이 그려진 천문도 바탕 그림 위에 맨 먼저 시간을 제는 별 북두칠성을 그리고  태미원에 섭제 별에 속한 별자리는 120궁을 그려 넣었다.
북두칠성의 국자모양과 마주한 w자모양의 “카시오페아”별자리는 그 상대적 위치가 변하지 않아 예로부터 시간을 측정하는 하늘의 큰 시침 역할을 해왔다.


斗衡太微攝提之屬百二十官 

 고대의 천문이 시작되는 위치를 그려 넣은 것이니 태미원이란 북두칠성 아래쪽에 위치한 단문이 있는 곳이다.

서양 별자리 사자자리에 있는 섭제 별 아래쪽으로 120개의 별을 그려 넣은 것이다.
천문의 시작점이 될 만한 의미를 찾아보면 “端門”은 별자리가 아니면서도 단문이라는 門의 의미를 부여했다.
단문의 글자의 의미는 “시작과 끝의 문”이라는 의미이다.

바로 좌측이 28수의 시작점인 角宿이 위치 한 곳 이기도하다.
하늘을 9구역으로 나눈 그 중앙이 되는 곳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바로 위쪽에는 우리은하의 북극점이 있는 곳 이기도하다.
고대 은하수의 모양 변화를 이용한 은경환으로도 천문을 한 것이니 천문의 모든 시작점이 이곳에 모여 있는 곳이다.



河圖하도가 무엇인가?  1234567890숫자의 배열이 온 우주를 주관하는 배열이란다.
河圖하도는 다름 아닌 천문도
정확히 말하면 은하수 河

우리 은하의 은경도를 말하는 것이다.

河圖하도라는 천문도를 얻어 인류를 이롭게 하기 시작 했다는 말이다.


그림3

 


二十八宿各布列下應十二子
28팔수를 각각의 자리에 정해 나열하고 아래쪽으로 12별 자리를 정하였으니
28 * 12 = 336개의 별을 360도의 원 안에 1년을 기준한 별자리를 배열 했다는 말이다.
바로 정확한 시간 값을 계산하는 기준 별이 되는 것이다. 
현재에도 원자시계가 개발되기 이전에는 300여 개의 標準星표준성을 정해서 子午儀자오의 망원경을 통한 측정을 한 후 계산에 의해 時報를 알려왔다.


.   -- 계속 --

'천문서 > 後漢書天文 解釋本' 카테고리의 다른 글

後漢書天文志 解釋本 2  (0) 2013.10.13
後漢書天文志 解釋本 5  (0) 2013.10.13
後漢書天文志 解釋本 4  (0) 2013.10.13
後漢書天文志 解釋本 3   (0) 2013.10.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