洪範九疇 天文解 5

 

五行 첫 번 째 오행은

一曰水 첫 째는 수이고

二曰火 둘 째는 화이고

三曰木 세 째는 목이고

四曰金 네 째는 금이고

五曰土 다섯 째는 토이다.

水曰潤下 수는 밑으로 스미는 것이고

火曰炎上 화는 위로 쏟는 불꽃이고

木曰曲直 목은 굽음과 곧음이고

金曰從革 금은 가로 세로이고

土爰稼穡 토에서 심고 거둠이다.

 

五行의 이론은

고대 天地人三合의 이론을 바탕으로 세밀한 사물 관찰에서 터득한 이론의 벼리이다.

五行

하늘에서는 시간의 변화요

땅에서는 공간의 변화요

인간에 있어서는 생노병사 삶의 변화를 상징한다.

 

땅에 서있는 인간이 바라본 하늘의 천문은 별자리 운행에 따라 맞춰가는

방향. 시간. 좌표이동이 를 중심으로 한 변화이다.

 

1. 潤下作鹹 윤하는 짠맛이 되고

2. 炎上作苦 염상은 쓴맛이 되고

3. 曲直作酸 곡직은 신맛이 되고

4. 從革作辛 종혁은 매운맛이 되고

5. 稼穡作甘 가색은 단맛이 되니라

맛으로써 五行을 정의함에 있어서도 고대인들의 세밀한 사물관찰중 인간의 신체구조의 세밀한 관찰 결과로 얻어진 이론이다.

맛의 변화는 혀끝의 움직임을 표현한 것인데

이것은 천문에서는 관측기의 사유환과 규형의 변화를 상징하는 것이다.

 

1. 潤下作鹹 혀끝에 짠맛이 느껴지면 혀는 목구멍 속으로 말려든다.

이를 潤下목구멍 밑으로 스민다 한 것이다

 

 

천문에서는 황도환의 좌표가 가을이 되면 아래쪽으로 내려간다.

물밑으로 가라앉는다고 표현한다. 潛淵이라한다.

: 春分而登天秋分而潛淵이라한 말이다.

은 천문도구의 상징이다.

주역에서 潛淵勿用의 의미는 가을이후 추울 때 천문 도구의 활용 위치를 말한 것이다.

 

2. 炎上作苦 혀끝에 쓴맛을 느끼면 누구나 혀끝을 밖으로 내민다.

는 위로 솟구친다는 말의 의미는 혀를 밖으로 내민다는 말이다.

천문에서 하늘로 솟구치는 것은 봄이 되면 황도환의 좌표 방향이 하늘 위쪽으로 올라간다.

炎上人間事天文의 의미이다.

 

   

3. 曲直作酸 혀끝에 신맛을 느끼면 누구나 혀끝이 진저리를 치며 흔들어댄다.

혀를 굽혀다 폈다하는 다양한 모양세가 曲直이다.

 

木曲直作酸의 천문적 의미는 나무막대로 규표를 세워 그 해 그림자의 다양한 변화를 살피는 것이다. 앙부일구의 다양한 해 그림자 변화를 한다.

정오 때가되면 해 그림자는 이 된다.

 

4. 金從革作辛 혀끝에 매운맛을 느끼면 누구나 혀끝을 상하좌우로 흔들어댄다.

從革가로 세로의 의미이다.

천문에서 가로 세로의 의미는 赤經赤緯線分을 말한다.

은 선을 긋는다는 의미이다. 전각 칼로 목판에 가로세로 줄을 긋는다는 뜻이다.

천문도의 기본 틀을 만든다는 말이며 관측기구에서 별자리의 이동에 따라 규형이 전후좌우로 움직이는 모양을 뜻한다.

 

 

 

 

 

 

 

 

 

5. 土稼穡作甘 혀끝에 단맛을 느끼면 누구나 혀끝을 쩝쩝거리며 입 안팎을 들랑거리며 입술을 훑는다.

매 해 땅에 씨앗을 넣고 수확하는 순환을 의미한다. 土作甘의 순환 원리이다.

천문에서 北極을 정의하는 지표이다.

별자리는 北極을 중심으로 떠올랐다가 지는 영원한 순환을 반복한다.

             

 

 

 

 

                                               ------ 계속----------

 

 

 

 

'홍범구주 > 홍범구주 천문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洪範九疇  (0) 2014.02.12
洪範九疇 天文解 1  (0) 2014.02.11
洪範九疇 天文解 1  (0) 2013.12.06
洪範九疇 天文解 2  (0) 2013.12.06
洪範九疇 天文解 3  (0) 2013.12.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