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을 크릭해서 글 옆에 놓고 음미하세요!
하늘의 三垣
太微垣 紫微垣 天市垣
三垣의 이해에 앞서
垣원자의 천문적 의미부터 음미하자.
垣담 원: 담, 담장(-牆) . 울타리 . 관아(官衙) . 별자리, 별 이름. (담을)두르다, 에워싸다.
垣원자 의 상형과 고문자를 보면
垣원 = 土 + 二 + 日
二의 상형은 하늘과 땅의 의미이다.
土토 지구 땅에서 二 하늘과 땅 사이에 日해를 가두어 놓았다.
땅에서 하늘과 땅 사이의 태양을 인간이 가두어 놓을 수 있을까?
가능하다.
천문도가 그것이다.
그림1의 우측의 작업 내용을 상형화 한 것이다.
사마천의 사기 [귀책열전]에 자세히 표현해놓았다.
천문의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은 북극점을 찾는 작업이다.
정확한 북극점을 찿은 연후 모든 별자리를 그린 것이 천문도다.
넓다란 광목천 위에 둥근 원을 그리고 하늘의 뭍 별들의 위치를 표시한다.
하늘의 별들은 둥근 원 안에 가둬두는 작업이다.
垣원 의 천문적 의미는 천문도에 등근 원으로 적위 값을 표시하고 해가 가는 길 黃道황도를 그려놓은 모양이다.
이 적위를 기반으로 뭍 별들의 좌표를 그려 넣은 것이 천문도다.
垣원 = 울타리. 두르다, 에워싸다.의 의미는
별자리를 에워싼 별자리의 울타리이라는 말이다.
桓檀환단이라는 자형에서도 같은 모양이 보인다.
桓환은 규표의 해그림자 높낮이로 천문도를 그린 인류최초의 기초천문학의 의미인 반면
檀단은 혼천의를 개발해 더욱 발전된 천문을 시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형이다.
이 고대 천문은 天子만이 할 수 있는 학문이요. 天符천부란 곧 桓檀환단이다.
단군은 桓檀환단으로 나라를 세운 것이다.
모든사건의 정확한 사실을 알기위해서는 何原則 하원칙
when where who what how
언제 어디서 누가 무었을 어떻게 했는지
why
왜 그랬는지 알아야 정확한 사실 논증이 된다.
三垣의 의미를 何原則하원칙으로 접근해 보자.
-작업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