河圖出處
河 강 이름 하; 강 이름, 황하, 내, 강, 운하
河圖 河龍馬負圖
옛날 伏羲氏복희씨 때에 黃河황하에서 八卦를 등에 괘고 용마가 지고 나왔다는 그림
河圖洛書의 고문자 상형에서 보듯
洛낙의 의미가 水 + 各: 물을 각각 부분으로 나눈다는 뜻이라면
河하의 의미는 水 + 可: 물을 끌어 앉는다는 뜻이다.
천문에서 밤하늘을 海라한다.
밤하늘에 물을 끌어 앉고 있는 곳은 우리은하수이다.
釋名석명에 河下也隨地下處而通流也이라했다.
땅을 따라 아래쪽 있는 곳으로 통해 흐른다. 라고 하였다.
천문도 상의 은하수 모양을 이르는 말이다.
說文:河水出焞煌塞外昆侖山發原注海人人水可聲乎哥切 설문해자에
은하수는 焞煌돈황의 사이가 벌어진 바깥쪽 곤륜산에서 발원해서 밤하늘에 흘러간다. 라고 했다.
은하수는 거리를 두고(塞양쪽으로) 기세가 찬란한 빛(焞煌)이 나는 곳이다.
바깥쪽에 있는 곤륜산에서 시작하여 밤하늘에 흐른다.
焞煌돈황이란 천문에 있어서는 도시이름이 아니다.
기세가 찬란한 빛이 나는 곳: 焞煌돈황
焞煌돈황 이곳이 천문도상 은하수의 발원지라는 의미이다.
은하수의 발원지는 우리은하수의 중심방향을 말한다.
은하수는 거리를 두고(塞양쪽으로)있는 바깥쪽이 昆侖山이라했다.
昆侖山은 천문도상의 파란색 ∩형 은하수 모양을 말한다.
伏羲氏복희씨 때 河圖가 나왔다는 말은 곧
복희씨 때에 우리은하수를 중심으로 천문을 했다는 뜻이다.
昆侖山의 위치를 알았으니 昆侖山軒轅之宮헌원궁에 산다는 西王母의 위치는 뻔하다.
西王母의 위치는 우리 은하의 중심점을 말한다.
본인이 昆侖山은 은하수의 모양이라는 주장을 편지 20년이 됐다.
은하수는 거리를 두고(塞양쪽으로)있다고 했다.
천문도 그림 좌측 우리은하의 중심방향 양단으로 나뉘어있다.
우리의 은하수는 두 판으로 이루어졌다.
현대천문학이 우리의 은하수의 구조가 두 판으로 이뤄졌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은 불과 100년 전의 일이다.
그런데 伏羲氏복희씨 때에 이미 우리의 은하수의 구조가 두 판으로 이뤄졌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은하수의 구조가 두 판으로 이뤄졌다 사실을 河圖의 그림을 분석 하면서 찾아보자.
河圖洛書공히 中央五土의 위치를 정했다.
中央五土의 의미는 지구의 관측자의 위치를 의미한다.
그런데 河圖에는 밖으로 또 다른 中央五土가 자리하고 있다.
또 다른 관측자가 더 있다는 말이다.
숫자의 배열은 방위의 표시이다.
그런데 하도에는 방위 또한 이중의 방위가 겹쳐있다.
왜 이런 모양이 나올까?
땅에서 관측자가 본 동쪽과 동북쪽 사이에는 45°의 각 거리가 나타난다.
이때 제3의 관측자가 우주 밖에서 이 모양을 보면 동쪽과 동북쪽은 일직선상에 놓인다.
이것이 河圖의 8-3-5-5 배열이 된 것이다.
河圖는 다름 아닌 은하수 중심의 배열이라는 말이다.
조물주의 입장이 되어서 우주 밖에서 은하수를 타고 지구의 변화를 관측하는 그림이다.
은하수의 구조도 중심과 남북극이 존재한다.
그러나 지구에서 본 관측자는 은하수의 방위를 동서남북으로 구분하지 못한다.
그 이유는 지구와의 기울기가 62˚6 기울어 있기 때문이다.
은하적도의 천구적도에 대한 기울기는 62˚6 이다(1950년 분점)
따라서 은하수의 움직임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또는 서쪽에서 동쪽으로라는 방향만을 말할 수 있다.
河圖의 8-3-5-5 배열은 은하수의 동쪽에서 서쪽으로의 흐름을 중심으로 나타낸 그림인 것이다.
伏羲氏복희씨 때 태양 중심의 12 黃道帶 천문과 아울러
은하중심의 28宿帶천문을 병행 하고 있었다는 말이다.
說文:河水出焞煌塞外昆侖山發原注海人人水可聲乎哥切 설문해자에 이라했다.
은하수는 焞煌돈황의 사이가 벌어진 바깥쪽 곤륜산에서 발원해서 밤하늘에 흘러간다.
여기서
기세가 찬란한 빛(焞煌)이 나는 곳은 우리은하의 중심을 표현한 글이다.
이 은하중심 주변의 별자리에는 전설이 담긴 별자리 이름이 많이 있다.
魚. 傳說. 天策=天簀. 尾九. 南斗. 龜五. 등의 별자리이다.
魚: 쌍어의 눈이 되는 곳이다. 고대그림의 쌍어는 은하수 은경의 펼친그림이다.
傳說: 은나라 때 성인으로 부열은 죽어서 箕星별을 타고 하늘에 올라 傅說별이 되었다.
天策=天簀: 하늘의 지팡이라는 말이다. 여기를 하늘의 중심으로 삼는 다는 말이다.
左传·僖公五年에 鶉之賁賁天策焞焞火中成军虢公其奔
尾九: 전갈의 꼬리별이다. 두 남매가 호랑이를 피해 잡고 올라가던 밧줄이다.
항상 서왕모를 보필하는 꼬리가 아홉 개인 구미호이기도 하다.
서왕모는 우리의 생명을 주관한다.
南斗. 북두칠성과 반대로 생명을 주관한다는 별자리이다.
서왕모가 가지고 있는 천도복숭아 먹으면 죽지 않는다는 복숭아
아들 나달라고 남두육성에 빌엇단다.
龜五: 거북은 천문도구의 둥근 환을 의미하고 천문도의 바탕을 의미하는 말이다.
기세가 찬란한 빛이 나는 곳: 焞煌돈황
한여름 밤 은하수가 떠오르면 찬란하다.
찬란하다 못해 은빛 모래밭이라 표현한다.
기세가 찬란한 빛이 나는 곳 焞煌돈황
천문도상 은하수의 중심 은하의 발원지라는 의미이다.
焞煌돈황의 지리적 위치는 실크로드의 중심지였다.
焞煌돈황이 하늘의 중심으로 설정했다면
또한 焞煌돈황을 지리적 교역의 중심. 지구의 중심으로의 설정이 가능하다.
본시 천문. 지리. 역사가 함께 어우러져 쓰여 있는 글이 山海經이다.
하도는 은하를 중심으로 그린 그림이다.
하도를 짊어지고 나온 龍馬는 다름 아닌 천문 도구를 이르는 말이다.
고대 천문도구에는 동서양 모두 용의 문양을 장식했다.
馬의 의미는 천문도구의 둥근 환이 별자리를 따라 돌아가는 모양을 천마가 하늘을 난다고
표현한 것이다.
계절과 시간의 변화에 맞춰 위치가 변하는 천마의 좌표이동을 八風이라한다.
'하도낙서 > ---하도낙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洛書의 出處 2 (0) | 2013.12.05 |
---|---|
河圖의 出處 (0) | 2013.12.04 |
洛書의 出處 한글2002 (0) | 2013.11.27 |
天皇地皇人皇의 의미- (0) | 2013.10.13 |
龍馬飛天 (0) | 2013.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