碧珍伽倻 벽진가야의 천문적 의미를 보자.

 

 

 

 

 

碧珍벽진: 푸른 구슬이라는 뜻이다.

푸른 구슬이란

하늘에 푸른 구슬 푸른 별이다

하늘에 푸른 별은 직녀성 베가별을 이르는 말이다.

고대 가야의 천문학자는  밤하늘의 별자리를 9구야로 나누고 거기에 맞춰

성주의 벽진에베가별 지명을 부여한 것이다.

 

 

 

그 좌측 아래쪽에 견우성별 자리가 있다.

견우성별이 곧 伽倻가야이다.

 

碧珍伽倻벽진가야의 천문적 의미는 직녀 견우라는 뜻이다.

댜시 말하면

고대 碧珍伽倻벽진가야라는 국가는 천문을 관장한 天子國이었다는 말이기도 하다.

별자리 이름 그대로를 나라이름으로 정한 것이다.

 

牽牛견우란 소를 이끈다는 뜻이고 지역으로는 伽倻山가야산의 위치이다.

伽倻가야:는 산스크리스트 언어로 गव- gava "가야"- cow  소 라는 의미이다.

 

                                                                 BC 1.4000 북극

칠석 전날 저녁 장독대에 정화수와 백설기 떡을 차려놓고 북쪽 하늘을 바라보며 가족의 장수나 집안의 평안과 풍농을 기원하였다.

칠석날 밤하늘에 남중하는 별은 직녀성이다.

칠석날 밤에 직녀성에 자신의 소원을 기원한 것이다.

그 기원은 14.000년 전이다.

직녀성은 

 

織女星직녀성

 

베가 Vega αLyrae अभिजित् abhijit 七星娘娘칠성낭랑

베가는 거문고자리의 알파별이다.

알파별인 베가는 푸른색 하늘에서 네 번째로 밝은 별

직녀성 베가는 BC 12.000년에는 천구의 북극이었다.

그러니까 칠석날의 별자리의 야야기는 14.000년 전으로 거스른다.

그래서일까?

성주군 지역에는 칠월칠석을 위하는 풍습이 남다르다

 

 

.            

 

 

성주부근의 고대지명과 별자리 관련---더보기

 

 

 

 

 

  

 

 

 

 

 

 

 

 

 

 

 

 

 

 

 

 

 

 

 

 

 

 

 

 

 

 

 

 

 

 

 

 

 

 

 

 

 

 

 

 

 

 

 

 

 

 

 

 

 

 

 

 

 

 

 

 

 

 

 

 

 

 

 

 

 

 

 

 

.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