沈大孚심대부
생몰년 1586-1657(선조19-효종8)
본관 청송(靑松)
자 신숙(信叔)
호 가은(嘉隱)/범재(泛齋)
심대부(沈大孚)
1586(선조 19)∼1657(효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신숙(信叔), 호는 가은(嘉隱)·범재(泛齋). 영천군수 의검(義儉)의 손자이고, 경기도 관찰사 대(岱)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전라감사 최홍한(崔弘僩)의 딸이다. 정구(鄭逑)의 문인이다.
1613년(광해군 5)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623년(인조 1) 선행으로 사포서별제(司圃署別提)에 기용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그뒤 중림찰방(重林察訪)을 거쳐, 1630년 봉림대군(鳳林大君:뒤의 효종)의 사부(師傅)가 되었다.
1632년 형조좌랑이 되고, 이듬해 관직에 있으면서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이어 예조좌랑을 거쳐 정언이 되었는데, 이때 이미 사사(賜死)된 인성군(仁城君)의 세 아들이 절도에 위리안치된 것을 왕이 관용을 베풀어 방면하자 이에 찬성을 한 것이 화근이 되어 반대파의 탄핵으로 보령현감으로 좌천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그뒤 1634년 송화현감(松禾縣監)이 되었는데, 가도(椵島)에 진을 친 명나라 장수 모문룡(毛文龍)의 군사가 여러 고을을 횡행하며 민폐를 끼치자, 이들 대표와 횡포를 금하는 조약을 엄중히 체결하여 민폐방지에 공헌하였다.
뒤에 서로(西路)의 행정이 부패한 데 혐오를 느껴 한때 사직하였다가 다시 복직하였다. 이어 수찬·교리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취임하지 않았으며, 1638년 또다시 지평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돌아왔다.
그러나 그해 삼남지방에 큰 흉년이 들자 삼남도사 겸 진정사를 택정할 때 경상도사로 뽑혔으며, 이어서 수찬·헌납·종부시정을 지냈다.
1643년 성산현감으로 나갔다가 다시 들어와 응교·시강관·필선 등을 역임하였다.1649년 인조가 죽자 유계(兪棨) 등과 조(祖)자의 묘호를 반대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 회양으로 귀양갔다가 1657년에 풀려났다. 이해에 죽었는데, 사후 신원되었으며, 문경의 소양사(瀟陽祠)에 제향되었다.
http://koreandb.empas.com/koreandb/history/kpeople/person_view.html?id=0006603
기언 별집(記言別集) 제13권
애사(哀詞)
사간(司諫) 심대부(沈大孚)에게 드리는 애사 병서(幷序)
슬프다, 우리 신숙공(信叔公 심대부(沈大孚))이 평생 고서(古書)를 읽어 옛사람의 도를 즐기더니, 벼슬하여 요직에 올라서는, 옛사람의 도대로 그 임금을 섬겼습니다. 그런데 하루아침에 언사(言事) 때문에 배척을 당하여, 객지에서 시름하고 빈궁하게 곤욕을 당하면서 성내지도 않고 욕하지도 않고 이 세상을 마치니, 사람들이 모두 ‘공은 바른 도 때문에 드러났고, 바른 도 때문에 빈궁하게 되었다.’ 하며, 그 도를 슬퍼하고 그 운명을 애처롭게 여기지 않는 이가 없었습니다.
나는 ‘운수가 트이고 막히는 것은 천명이다. 대장부의 심사(心事)는 마땅히 이와 같이 뜻하는 바가 크고 뛰어나야 한다. 다만 슬퍼하는 것은 세도(世道)가 처량하여 착한 사람이 날로 다 없어져서 갈팡질팡 갈 곳 몰라 하는 나를 깜깜한 속에서 원망하며 한없이 울게 할 뿐인 것이다.’라고 여겼습니다. 그래서 애사를 지어 슬퍼합니다.
그 애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못가를 거닐고 읊조리며 / 行吟澤畔
상루를 슬퍼하노니 / 哀湘纍些
여추가 추악하고 / 謂閭娵醜
모모가 곱다 하네 / 嫫母媚些
지란은 꺾어져도 / 芝蘭萎折
꽃다움 없어지지 않으니 / 芳不滅些
이름은 백대토록 영원히 빛나는데 / 百代之名永輝光些
혼백은 서글퍼 고향을 슬퍼하노라 / 魂魄悽愴悲故鄕些
[주D-001]상루(湘纍) : 상은 소상강을 말하고 루는 자신이 지은 죄가 아닌 것으로 인하여 죽는다는 뜻으로 이 사실은 굴원의 어부사(漁父辭)에 보인다. 여기서는 심대부(沈大孚)가 쫓겨난 것이, 굴원(屈原)이 쫓겨나 못가에서 읊조리다가 소상강(瀟湘江)에 빠져 죽은 일과 같다는 뜻으로 말하였다.
[주D-002]여추(閭娵)가 …… 곱다 하네 : 간신을 가까이하고 어진 이를 멀리 한다는 뜻이다. 여추는 옛날 미인으로 《초사(楚辭)》 동방삭(東方朔) 칠간원세(七諫怨世)에 “아첨하는 무리를 가까이하고 어진 이를 멀리하며, 여추를 헐뜯어 추악하다 하네.” 하였다. 모모(嫫母)는 추한 여인으로 《열녀전(列女傳)》에 “황제(黃帝)의 제4비가 모모인데, 외모는 제일 추하지만 가장 어질었다.” 하였는데, 여기서는 추하다는 뜻만 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