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8월 달

合朔:     New moon 8621:50

上弦:     First quarter 81410:55

滿月:     Full moon 82101:44

下弦:     Last quarter 82809:34

 

 

 

太陰逆生倒成

先天而后天

旣濟而未濟

一水之魂

四金之魄

胞於位成度之月初一度

 

胎於一九度

養於十三度

生於二十一度

度成道於三十

終于位成

度之年初一度하고

復於位成度之年十一度니라

復之之理一八七

 

 

太陰逆生倒成    태음은 거꾸로 생겨나서 뒤집어 이뤄진다.

先天而后天       앞선 하늘이 뒤에선 하늘이 되고

旣濟而未濟       기존의 가지런히 맞춰진 자리가 어지러워진다.

 

이 글의 의미는 달의 위상변화와 월령을 설명한 내용이다.

 

-이은성 저- 曆法原理分析(정음사) p259에 자세한 내용이 있다.

 

太陰逆生倒成

지구에서 볼 때 태양과 달의 각거리는 그 계산 방법이 혼란스럽게 바뀐다는 말이다.

달이 지구를 공전하면서 태양빛을 반사하면서 달의 모양이 변한다.

달과 태양의 각거리 변화로 생기는 것이다.

 

이를 離角이각이라 부르고 月齡월령은 離角이각과 관계가 깊다.

즉 달의 삭망주기가 29.53일이고 이 동안에 태양은 달의 주위를 1회전하며 쬐어주는 셈이 되므로 월령1에 대한 달의 평균이각 Q

Q= 360° / 29.53= 12°19가 된다.

달이 매일 태양에 대해 12°19씩 앞서 나가며 밤하늘에서 50분씩 늦게 떠오른다.

천체가 1시간에 15° 동에서 서로 도니까

서에서 동으로 12°를 돌게 되면, 50분이 늦어진다.

 

우주에서 달과 지구가 공전하는 것을 보면 하루에 13°1764를 돈다.

하루에 13°1764씩 한 바퀴를 돌면 27.3일 만에 지구를 한 바퀴 도는데 이를 항성월이라고 한다. 하지만 달이 도는 동안 지구도 같은 방향으로 0°.9856돌기 때문에

지구의 입장에서 보면 지구의 공전속도만큼 느려지는 것처럼 보인다.

13°.1764-0°.9856=12°.1908

따라서 보름달에서 다음 보름달까지의 주기가 29.5일로 길어진다.

이것을 朔望月삭망월이라한다.

 

이 의미를 설명한 내용이

太陰逆生倒成        태음은 거꾸로 생겨나서 뒤집어 이뤄진다.

先天而后天           앞선 하늘이 뒤에선 하늘이 되고

旣濟而未濟           기존의 가지런히 맞춰진 자리가 어지러워진다. 라고 했다.

 

 

一水之魂              새벽 水星별을 으로 삼고

四金之魄               초저녁 金星으로 삼는다.

이 말의 의미는 太陰이 죽어 水星金星을 혼백으로 삼았다는 말이다.

太陰이 죽었다는 뜻은 달이 죽었다는 말이며

이는 곧 달이 뜨지 않는 그믐날 朔望을 이르는 말이다.

달이 뜨지 않는 날의 밤하늘은 새벽과 초저녁에 水星金星별이 魂魄으로 남아 밤하늘을 지킨다는 의미의 우주 생명론이다.

참고로

一六水의 의미는

一水: 새벽 水星

六水: 초저녁 水星

四九金

四金: 새벽 金星

九金: 초저녁 金星

二七火

二火: 새벽 火星

七火: 초저녁 火星

三八木木星

三木: 새벽 木星

八木: 초저녁 木星

五土: 地球

十土: 土星의 방위이다.

 

 

胞於戊位成度之月初一度

               戊의 위치에서 가 완성된다. 달의 수는 처음 1부터 셈해나간다.

胞於戊位의 위치는 그믐날 날合朔으로부터 초사흘이 지난

에서 가 완성됐다는 말이다.

 

胎於一九度       탯줄에는 0°.19가 붙어있다.

一九度19가아니고 0°.19를 말한다.

0°.19의 의미는 달이 매일 태양에 대해 12°19씩 앞서가는데

12°에에 덧붙은 정수가 아닌 0°.19의 소수가 탯줄처럼 붙어 있다는 말이다.

 

養於十三度        이 탯줄이 날을 더해가며 자라나면 13°가 된다.

매일 0°.19씩 더해지면 6일 이 되면 12°가 아닌 13°가 된다는 말이다.

0°.19 * 6=1°.14

1.     2.      3.      4.      5.     6. (13°)  7.       8.       9.....

合朔    12°19   24°38   36°57   48°76   60°95      72°114    85°33   97°52 ...

                                                                        73°14

 

生於二十一度        태어나는 곳은 21° 에서부터이다.

合朔그믐날 달이 보이지 않다가 달이 태양으로부터 21° 의 이격이 생기면 인간의 눈으로

대략 달의 형태를 볼 수 있는 때부터를 달의 을 인정한 것이다.

21° 즈음의 초이틀부터이다.

21° 의 위치는 예전 초승달 라 하였다.

 

 

度成道於三十

30° 초삼일 쯤 되는 初吉의 위치 초생달부터 달의 위상변화가 시작된다.

 

終于位成                     마침내 의 위치에서 완성된다.

그믐날合朔 부터 15일 후의 간지번호 己卯滿月이 됐다.

 

度之年初一度                    1년을 수로 따지자면 첫날을 부터 시작하여

復於位成度之年十一       다시 의 자리로 되돌아온 1년은 11일이 된다.

이 말은 태양일과 달의 삭망일의 차이는 11일이다.

태양 365.2422 - 354.367= 10.873

 

復之之理一八七    다시 의 자리로 되돌아온 이치는 마지막 하루는 0.873일이기 때문이다.

八七187이 아니고 11일 중 하루0.87일이라는 뜻이다.

에서 시작해서 의 자리로 되돌아온 이유는 바로

치윤을 위함이다.

달과 태양의 10.873일의 차이를 극복하기위해 윤달을 끼워 넣는다.

절기를 맞추고 간지일자를 가지런히 하는 것이다.

 

 

                                                       오늘 달보기

 

'일부정역 > 一夫正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化翁親視監化事 天文解  (0) 2013.09.21
一夫 乾坤之策 2   (0) 2013.09.15
月極體位度數  (0) 2013.09.13
日極體位度數  (0) 2013.09.13
天皇地皇人皇  (0) 2013.09.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