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足烏와 뽕나무

? 삼족오는 발이 세 개이고

뽕나무는 세 닢일까?

 

동지 시각을 측정하는 방법

동지시각은 금방 측정되는 것이 아니라 계산에 의해서 찾게 된다.

수직막대 . 圭表. 등을 세워 그림자 길이를 측정한다.

 

 

 

동지일시 s에 가까워졌다고 생각되는 날 쯤 일남중 때인 날짜 a에서 규표그림자 길이 p를 측정해둔다.

이후 그림자 길이가 점점 길어졌다가 다시 짧아져 갈 때 1일 차이를 두고 각각 일남중 때의 그림자 길이 qr을 측정하는데 p>q>r이 되는 날짜 b.c를 택한다.

b.c사이에서 그림자 길이가 p가되는 날짜를 x라고 할 때

B.C를 직선이라고 보면 동지일시는 다음 식에서 구해진다.

q-p/p-r = x-b/c-x x = b(p-r) + c(q-p)/q-r

만일 시각을 일 단위로 표시하면 c = b+1이므로

x = b + q-p/p-r

그림자 길이를 나타내는 곡선 ABC가 동지점 M을 중앙에 두고

좌우 대칭이라고 하면 동지 일시 Sa x 와의 상가 평균이 된다.

s = 1/2[ a + b + (q-p/q-r)이 된다.

- 이은성. 역법의 원리 분석 - 중에서

 

A.M.B 점 좌표의 측정이 우선 정확해야한다.

이를 정확히 하기위해서는 태양이 가장 높이 뜨는 일남중 그림자를 찾아야한다.

이때 세 개의 발이 필요하다.

규표의 꼭대기에 삼지창처럼 세 발을 正東쪽을 향해 펼쳐 놓는다.

동쪽에 떠오를 때의 해 그림자는 세 개의 발모양이지만

남중 했을 때의 세 발은 일직선상의 그림자를 그리게 된다.

이 때가 정남의 방향이 됨을 알 수 있다.

이것이 세발의 기능이요.

삼족오의 기능이요. 자의 본래 기능이다.

즉 고대 삼족오의 기능과 자의 쓰임새는 천문에서 비롯된 것이다.

 

扶桑

論衡 說日中 왕충의 논형 해이야기 중에서

儒者說 선비들의 말에 의하면

在海外東方有湯谷 바다 밖의 동쪽에는 탕곡이 있어

上有扶桑 위로는 부상이 있다 한다.

十日浴沐水中 해가 열흘 물속에서 목욕을 하는데

有大木九日居下枝 큰 나무가 있으니 9일은 아래가지에 머물고

一日居上枝 하루는 윗가지에 머문다고 한다.

 

여기서 十日은 열 개의 해가 아니라. 十日 = 열흘로 해석 되어야한다.

 

해가 떠오르는 扶桑나무는 규표를 의미한다.

 

 

 

 

 

 

 

湯谷이란 규표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부어놓은 관측기 아래 물을 말한 것이다.

十日浴沐水中 이 말은 10일 간격마다 규표를 측정한다는 말이다.

은허의 갑골판에 每旬 10일마다 관측한 기록이 있다.

一日居上枝 태양이 그 담당하는 일자에 관측기 꼭대기 까지 올라온다는 말이다.

 

뽕나무자의 나무위에 있는 3좌표가 일직선상에 놓일 때 남중이 된다는 의미이다.

 

 

곧 부상나무는 관측기구 圭表의 또 다른 이름이요.

삼족오의 기능이다.

 

日中三足烏 태양 속에 三足세발이 있으면 검다는 뜻이다.

태양을 향해 동전을 들고 보면 밝은 빛 때문에 동전이 검게 보인다.

인간의 육안으로 태양사이에 놓고 보면 모든 사물은 검게 보인다.

일식은 달이 검게 보이는 것이며 三足 세 발이 검은 이유이다.

日中桑烏 또한 그럴러니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