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력 연호 (韓中日) |
독립운동 및 대외관계 |
일본·세계 동향 |
1894 甲午 高宗31 光緖20 明治27 |
1.10 |
전라도 고부 군민, 군수 조병갑의 탐학에 항거하여 전봉준 영도하에 고부관아 점령→이용태를 안핵사로 임명하여 민란 수습 지시(2.15) | |
|
2.22 |
金玉均이 상해 공동조계 내의 일본여관 동화양행에서 홍종우에게 암살됨 | |
|
3.21 |
전봉준, 동학교도와 농민군을 끌고 고부 백산 봉기 : 4대 강령 발표 → 홍계훈이 양호초토사에 임명. 북접동학교도들도 최시형의 통문으로 청산에 집결(4.2) → 동학군, 부안·금구 점령(4.4) → 동학 포고문 발표(4.11) → 동학군의 전주 점령(4.27) → 충청도 동학군 봉기. 동학군 진압을 위해 청국에 원병 요청(4.28) → 청군 제독 섭지초가 1,500명을 이끌고 인천 도착(5.2) → 일본 해군중장 이토 스케유키(伊東祐亨)이 군함 2척을 인솔하고 인천 상륙(5.6) → 전주화약 성립(5.7) → 동학군, 전라도관찰사에게 13조의 시정책을 건의 → 전국에 집강소 조직(6.) → 동학군 재차 봉기(9.3) → 최시형도 무력 봉기 선언(9.18) → 목천 세성산전투에서 동학군 패배(10.21) → 우금치전투에서 일군에 대패(10.22~11.12) → 전봉준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12.2, 양 12.28) → 북접주력부대는 충주에서 해산(12.24) → 동학군 진압 완료(12.27) | |
3.1 |
日, 임시중의원총선거 |
3.6 |
日 神宮, 승려들의 정치활동을 금지 | |
|
|
5.7(양 6.9) |
일본군 혼성여단 선발대대 800명이 인천에 상륙, 오오도리 공사가 특전대를 끌고 서울 침입→5.23 일본공사 왕에게 내정개혁을 건의 | |
5.5 |
영국·이탈리아, 동아프리카에 관한 영이협정 조인 |
5.15 |
日, 제6회 제국의회 개회 |
5.22 |
인도, 간디가 남아프리카에서 나탈인 인도국민회의 결성 |
5.31 |
日 중의원, 내각탄핵상주안 결의, 중의원 해산(6.2) | |
6 |
일본공사 내정개혁안 5개조 제시(6.1) → 내정개혁에 대한 국왕의 윤음 공포(6) → 일본 독단으로 경인 경부간 군용전선공사 착공(8) → 내정개혁을 담당할 교정청 설치(11) → 갑오변란(일본군의 경복궁 침입, 왕궁의 보물 약탈, 대원군 집권, 민씨일파 축출 21) → 청일전쟁 도발(23) → 군국기무처 창설(25, 양 7.27~12.17) → 군국기무처에서 의정부 관제안과 12개조의 사회정치적 개혁안 심의채택(28, ‘갑오경장’ 시작) → 일본공사 이노우에 가오루가 2차 내정개혁신안 20조 제의(10.23) → 제2차 김홍집 내각 성립(중추원 신설)(11.21) |
6.23 |
일본군함이 풍도 앞바다에서 청국군함을 격침 → 청일양국선전포고(7.1) : 청일전쟁의 시작 → 청군이 평양에서 일군에 대패(8.17) | |
6.4 |
日, 한국에 출병 |
6.7 |
淸·日 한국에 출병 |
6.8 |
日 상비함대사령관 해군중장 이토 유코(伊東祐亨), 군함 松島·千代田 2척 인솔하고 인천에 도착 |
6.15 |
日 내각회의, 청나라와 협상이 파괴되는 경우에도 군대 철회할 수 없다는 방침을 결정. 조선에 내정개혁을 추진시킬 대책 강구 |
6.24 |
프랑스 대통령 카르노, 이탈리아인 아나키스트에게 암살됨 | |
7.16 |
일본공사 大鳥 강요로 정부가 공문으로 내정개혁에 대한 회답, 공문에서 일본군 철수를 요구하고 개혁은 스스로 진행할 것임을 통보 |
7.20 |
조일잠정합동조관 체결 |
7.25 |
지방군제 개혁 : 각도의 병영·수영 폐지 |
7 |
군국기무처가 신식화폐발행장정을 채택, 은본위체 실시하고 전환국에서 새 화폐를 발행하고 금납제 결정 / 4건의 전선 절단투쟁이 『東京朝日新聞』에 나타남(~8) : 경성-마포(7.8), 용산 부근(7.15), 용산-양화진(7.18), 대구근방(8.18~19) / 안동에서 서상철의 의병이 거의(갑오의병, 25) → 태봉에서 일본군과 전투(음력 9.1) → 정부-일본 연합군과 교전(10.15) → 청풍 곤지암에서 교전(10.18) → 계속된 패배로 곤지암 부근에 피신 / 安承禹, 지평에서 의병모집(여름) / 영해에서 농민 봉기 | |
7.4 |
하와이 임시정부, 하와이 공화국 성립 선언(8.7. 영국 승인) |
7.16 |
英·日개정통상항해조약 조인 |
7.23 |
淸日兵, 서울부근에서 충돌 |
7.29 |
일본군 혼성여단장 오오시마 요시마사(大島義昌), 청국 聶士城 부대와 成歡에서 접전, 청국군대를 격파하고 아산에 진격 | |
8 |
경북 영해와 영천에서 농민 봉기. 경북 용궁과 석문에서 농민군이 일본군과 격전. 일본군이 평양전투에서 청군을 격파 | |
8.1 |
日, 淸에 선전포고(청일전쟁) |
8.7 |
영국, 청일전쟁에 중립 선언 |
8.9 |
러시아, 중립선언 |
8 |
아르메니아, 반 투르크 봉기 | |
9.7 |
외무아문, 일본공사의 요청에 의해 경기·충청·경상 3도에 공문을 보내 일본 군용전선의 절단행위를 엄금 |
9.19 |
張元石, 전신선 절단죄로 황해 감영에서 사형 집행됨 | |
9.1 |
日, 임시중의원 총선거 |
9.15 |
일본군, 평양전투에서 승리 |
9.17 |
日, 黃海大海戰 | |
10.11 |
일본 서원사의 내한 답례로 의화군 堈을 일본보빙사로 파견 |
10 |
군국기무처, 새도량형법 실시 결정 |
|
| |
유성의병장 문석봉 |
10.6 |
영국, 독·불·러·미에 극동에 대한 공동간섭 제안. 미·독의 반대로 실패 |
10.15 |
프랑스 유대계 불군참모장교 알프레드 드레퓌스, 스파이 혐의로 체포됨 |
10.18 |
日 제7회 제국의회 廣島에서 소집 |
10.19 |
日 중의원, 임시군사비예산안전원일치로 가결 | |
11.20 |
보호청상규칙 반포 시행 |
11.21(양 12.17) |
일제의 강요로 군국기무처 해산되고 제2차 金弘集내각 성립 |
11 |
文錫鳳, 양호소모사에 임명됨 |
|
| 사발통문
전봉준 |
11.1 |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3세 죽음. 니콜라이 2세 즉위 |
11.4 |
淸, 恭親王이 영·미·독·불·러의 공사에게 청일전쟁의 휴전조정을 요청 |
11.8 |
연합함대, 대련 점령 |
11.12 |
주일미공사가 청국의 요청으로 강화조건을 이론에 제의 |
11.21 |
日本軍, 청의 旅順 점령 |
11.22 |
日, 美日개정통상항해조약 조인 |
|
|
|
|
|
|
|
|
|
| |
12.2(양12.28) |
동학농민군 지도자 전봉준, 변절자의 밀고로 전라도 순창 피로리에서 체포됨 |
12.3 |
일본공사, 일본군대 철회 통고 |
12.12 |
고종이 홍범14조와 독립서고문을 종묘에 고함 |
12.27 |
김홍집-박영효 연립내각 출범, 2차 김홍집 내각-2차 갑오개혁(12.27) |
12 |
지평의 안승우가 모병활동 펼침 / 홍범도, 철원에서 의병 계획 |
|
|
이해 |
開國紀元을 사용 / 李濟馬가 四象醫學을 체계화하여 『東醫壽世保 元』을 씀 | |
12 |
淸, 쑨원(孫文)이 하와이에서 홍중회(興中會) 조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