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山海經 allegory
김기림. 이태준. 정지용. 샤를 보들레르. 이상
奢比尸 山海經大荒: 东经有神人面犬耳兽身珥两青蛇名曰奢比尸
海外东经: 奢比尸国在其北兽身人面大耳珥两青蛇一曰肝榆之尸在大人北
危 貳負 窫窳 : 山海經海內西經: :貳負之臣曰危危與貳負殺窫窳帝乃梏之疏屬之山桎其右足反縛兩手與髮繫之山上木在開題西北 山海經劉秀校上表 참조前漢말기劉秀
刑天: 山海經·海外西經: 形天與帝爭神載刑天與帝至此爭神帝斷其首葬之常羊之山以以乳為目以臍為口操干戚以舞
共工: 淮南子:昔人共工與顓頊爭為帝怒而觸不周之山天柱折地維絕天傾西北故日月星辰移焉;
地不滿東南故水塵埃歸焉
治水 銀河水: 淸水 積水 落水 黑水 青水 溴水 勺水 ......
地不滿東南故水塵埃歸焉
爾雅: 齸屬牛曰齝羊曰齥麋鹿曰齸
齸 [새김질할 익] 1. 새김질하다 2. 사슴이 반추(反芻)하다 3. 목구멍
齝 [새김질할 치] 1. 새김질하다 2. (소ㆍ양ㆍ사슴 등이)풀을 먹다
齥 [새김질할 설] 1. 새김질하다 2. 양이 반추(反芻)하다
齸 [새김질할 익] 1. 새김질하다 2. 사슴이 반추(反芻)하다 3. 목구멍
爾雅: 중국에서 가장 오랜 字書. 13經중 하나
고대 중국어의 어휘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쓰인다.
釋名: 기원전 202년~220년 漢나라 말 유희(劉熙, ?~?)「이아」를 모방하여
1,502개의 사물의 명칭을 27개 부문으로 분류하여 뜻풀이
夫蘙薈之翔叵以論垂天之凌夫之翔
무릇 풀숲의 새가 봉황이 밤하늘을 나는 경지를 논할 수 없고,
蹏涔之遊無以知絳虯之騰
발자국 고인 물에 노는 것이 붉은 용이 하늘에 오르는 경지를 알 수 없다.
鈞天之庭豈伶人之所躡
장엄한 음률이 울려 퍼지는 천상의 뜨락에 속된 악공이 발을 디디랴.
無航之津豈蒼兕之所涉
배 없는 나루터에서 어찌 蒼梧之山과 兕까지 건너 갈 수 있겠는가.
非天下之至通難與言山海之義矣
天下를 통달하지 않고는 더불어 山海經의 의미를 말하기 어렵다.
嗚呼 達觀博物之客 其鑒之哉
아‼ 天下를 통달한 박식한 후대사람은 이것을 거울로 삼을 것이다.
- 郭璞 -
'산해경 > 산해경은 천문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文解字學3 (0) | 2017.03.09 |
---|---|
天 文 解 字 1 (0) | 2017.03.09 |
山海經(산해경)이 천문 기록이라는 근거 (0) | 2013.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