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력 연호 (韓中日) |
독립운동 및 대외관계 |
일본·세계 동향 |
1887 丁亥 高宗24 光緖13 明治20 |
1 |
일본임시공사 衫村, 경상도지방의 방곡령 철폐를 요구 | |
1.20 |
美, 하와이로부터 진주만 사용권 획득 | |
2.7 |
영국 군함, 거문도 철수 |
2.14 |
경복궁 전등설비 기사 미국인 매케이가 한국인에게 저격당함 | |
2.8 |
美, 인디언에 관한 도스법안 의회 통과(인디언보유지 지정) | |
3.25 |
청국이 한성-부산간 육로전선 가설권을 조선정부에 이양 |
3.25 |
일본임시공사 衫村, 경상도지방의 방곡령 철폐요구→방곡령 해제 | |
|
4.5 |
토문감계사 이중하와 청나라 대표 진영이 정계비와 부근의 수원을 조사 |
윤4.9 |
조불수호통상조규 비준교환 : 김윤식-플랑시 |
4월 |
광무국 설치:私採, 세금 체납, 외국인 채광 업무 정리 단행 / 제주도에 침입한 일본어민 300여 명을 추방하고 일본대리공사에 엄중 항의 | |
4.4 |
영국, 제1회식민지회의를 런던에서 개최 |
4.30 |
日 憲法草案 탈고 | |
5.17 |
조일통어장정안을 일본공사에 전달하고 조인 촉구 |
5 |
정부, 해관세장정 개정 | |
|
6월 |
朝鮮電報總局 설립, 정부 주관의 전신사업 시작되어 자주적 전신 발전의 계기를 가짐 |
6.29 |
박정양-주미공사, 심상학-주영·독·러·이·불 겸임 공사로 임명→심상학을 조신희로 대치(7.29) | |
|
|
|
8.17 |
일본어선 6척이 제주목에 상륙하여 약탈하고 인명을 상해함 | |
|
9.27 |
최초의 조직교회인 서울의 새문안교회 설립 |
9 |
청, 조선의 외교사절차견 방해. 속방인정을 조건부로 전권공사파견 승인(「另約三端」) | |
9 |
日, 조약개정 연기에 대한 여론으로 井上馨 외상 사임, 伊藤博文, 외상 겸임 | |
10.2 |
주미공사 박정양과 참찬관 알렌 일행 인천 출발 |
|
| |
박정양 |
10.7 |
日, 육군대학교조례 공포 |
10.10 |
日, 고치현(高知縣) 대표, 三大事件 建白書를 원로원에 제출 |
10.17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연방 성립 |
10 |
淸, 포르투갈과 수호통상조약 체결 : 마카오 할양 | |
12.29 |
일본공사 近藤, 수산자원 약탈 강화하기 위해 조일양국통어장정, 어세기한 수정보충 및 인천에서의 소가죽세 철폐를 정부에 강요(1888.4. 철폐) | |
12.12 |
영국·프랑스·오스트리아, 제2차 지중해협상(발칸 3국동맹) 성립 | |
서력 연호 (韓中日) |
독립운동 및 대외관계 |
일본·세계 동향 |
1888 戊子 高宗25 光緖14 明治21 |
2 |
서울-부산간 전기가설공사 착공 / 미국인 다이 등이 군사고문으로 내한 | |
|
3 |
土門勘界의 재실시를 그만두고 현재까지의 경과를 청에 통고함 |
3.12 |
조병식, 미·러·이 3국 공사에게 정부 승인 외의 기독교 선교 및 학당 설립 금지 요청 |
3.18 |
일본공사 곤도 신스케가 인천연해의 어업특허장정안을 정부에 보내옴 |
3 |
화재로 『승정원일기』 300여 권 소실 | |
|
4.6 |
조병식이 곤도 신스케에게 영미어채장정의 예에 따라 일본어선의 어세 年納을 요구 |
4.19 |
군제개편, 3영(통위영·장위영·총어영)을 둠 |
4.19 |
일본공사 近藤, 평남 방곡령 실시 항의 | |
4.30 |
日, 추밀원관제 공포. 伊藤博文 초대의장 취임, 구로다기요타카(黑田淸隆) 내각 성립 | |
5 |
‘영아소동’으로 서울에서 반외국인 정서가 팽배함 | |
5.12 |
日, 육군참모본부조례 등 공포 |
5.12 |
영국, 北보르네오를 보호령으로 삼음 |
5.13 |
브라질, 노예해방법안 의회 통과 |
5.25 |
日 추밀원, 헌법제정 회의 | |
6 |
함경도 정평부 초원광점에서 봉기, 관리 9명이 피살. 함경도 영흥에서도 농민봉기(7월) | |
|
7.10 |
조병식, 일본대리공사에게 조일통상장정이 발효 후 5년이 경과하였으므로 개정 요구 |
7.13 |
조로육로통상장정의정 조인 |
7.14 |
부산일본우편국 소용물품의 면세요구 승인 | |
|
8.18 |
일본정부와 변리통연만국전보약정서 체결 | |
|
9.22 |
서울에서의 일본상인의 무명 백목 판매행위 금지를 일본공사에게 요청 | |
|
10 |
울릉도 연안의 일본잠수회사 어선들의 어로작업 단속 | |
10.24 |
日, 청국·조선국주재영사재판규칙 공포 |
10.29 |
수에즈운하조약 조인 | |
11 |
정부, 조일통상장정의 개정을 거듭 요구 |
|
|
이해 |
함경도 북청·영흥·길주에서 농민 봉기 | |
11.30 |
淸, 캉유웨이(康有爲)의 변법자강운동 |
11.30 |
日, 멕시코와 통상조약 조인 :일본 최초의 대등조약 |
12.17 |
淸, 北洋海軍 창립. 丁汝昌이 北洋海軍提督 | |
현재 북마크 되어 있습니다. 북마크를 해제하시겠습니까?
서버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십시오.
북마크 서비스 점검 중으로, 현재 북마크 읽기만 가능하오니 이용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블로거의 글이 마음에 드셨다면 네이버me에서 편하게 받아보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