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차이나] 천재학자 왕국유의 투신

청대 고증학을 집대성한 중국 국학계의 큰 스승 왕국유.
“천재는 일반 사람들보다 더 불행하며 그가 받는 고통은 훨씬 심하다. 왜냐하면 천부적 능력으로 누구보다 세계를 깊게 통찰하고 세계의 본질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남다른 감수성으로 그것을 훨씬 더 고통스럽게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그 이전 300년 학술 업적을 총결하고 그 이후 80년 학술계의 기초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 중국 국학계의 큰 스승이자 천재학자였던 왕국유(王國維), 그의 수수께끼 같은 죽음을 떠올리면 이 말은 더욱 실감나게 다가온다.

1927년 6월2일 오전, 칭화(淸華)대학교수였던 왕국유는 학교 근처에 있던 이화원의 곤명호(昆明湖)에 뛰어 들어 그의 생을 마감하였다. 그의 유서에는 “50년의 인생, 이제 남은 것은 죽음뿐이로다. 변해가는 세상, 의는 없고 치욕만 계속되는구나.(五十之年,只欠一死;經此世變,義无再辱) 라고 적혀 있었다.

1877년 저장(浙江)성 하이닝(海寧)에서 태어난 왕국유는 어렸을 때부터 재능이 뛰어나 수재로 불렸다. 23세 되던 1899년 무술정변이 일어나자 그 동안 준비하던 과거공부를 포기하고 상하이로 건너가 시무보(時務報) 서기로 취직하였다. 여기에서 그는 칸트, 니체, 쇼펜하우어 등의 독일관념철학 등을 공부하고 평생 동지인 나진옥을 만나게 된다.

1901년 나진옥과 함께 일본 유학길에 오르지만 병으로 인해  곧 귀국하여 강단활동과 함께 저술활동에 들어간다. 1906년 청나라 정부 산하의 연구소에서 재직하면서 부의(溥儀)에게 문학수업을 하였으며 한족이면서도 청의 유신(遺臣)을 자처하며 평소 장포와 변발 등 청조 복장을 즐겼다. 이 시기 왕국유는 문학비평의 규범으로 뽑히는 <인간사화人間詞話>를 집필하기도 한다. 1911년 신해혁명 이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갑골문과 고문 등에 대한 연구를 하다가 1916년 귀국한다.

1924년 풍옥상(馮玉祥)이 베이징정변을 일으켜 마지막 황제 부의를 몰아내자 왕국유는 그 치욕을 참지 못하고 나진옥과 청의 신하들과 함께 자금성 앞의 금수하에 투신하려 하였으나 주변사람들의 만류로 성공하지 못했다. 결국 그의 죽음은 끝없는 몰락의 길을 걷는 청조에 대한 비관이었으며 멱라수에 투신한 굴원과 고려 말의 충신 정몽주에 견줄 만한 충신의 우국적 순국으로 평가받을만하다.

또한 왕국유는 중국에서는 처음으로 서양철학과 미학의 관점에서 중국의 고문을 재해석해 내며 고전문학, 미학, 고고학, 음운학, 금석학, 갑골문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광대한 학문적 성과를 남겼으며 고전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준 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무술변법운동을 주도한 강유위(康有爲) 등을 개량주의자라고 비난하고 늘 현실을 외면한 불가지론과 보수적인 사상을 견지하면서 끝까지 청조와 구체제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했던 왕국유의 일생에 대한 평가는 그다지 긍정적이지 못하다. 급격한 시대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자신이 믿던 진리를 끝까지 지키며 실천한 한 천재의 고뇌만이 아름다운 글 속에 남아 있을 뿐이다.

‘묻건데 그 어느 곳에 이 몸 의지할 수 있을까.
큰 길을 찾고자 하나 갈림길만 많아지는구나.
인생의 지나가는 곳곳마다 후회만 쌓이고
아는 것이 늘어 갈수록 의심만 더 생겨나는구나.’

베이징=국정넷포터 김대오 dae55555@hanamail.net

<김대오님은> 베이징에 살며 오마이뉴스, 뉴스메이커등에 중국관련 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북경바닷가'] myhome.naver.com/jindawu <데일리차이나>는 그날 그날의 중국 소사(小史)를 전하며 중국 역사 속의 오늘의 의미를 되새겨 보는 난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