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리 제7권 제6호 | |
발행일 | 1935년 07월01일 |
---|---|
기사제목 | 一問一答集 |
기사형태 | 설문 |
一問一答集
'관련인물 > 나혜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藝術家의 美人觀 (0) | 2015.01.11 |
---|---|
女市長 選擧 (0) | 2014.12.25 |
藝術家로서 世界에 나가면 무엇을 보고 도라올가 (0) | 2014.12.25 |
다시 젊어지고 십흔가, 文士心境 (0) | 2014.12.25 |
戀愛냐돈이냐, 文士心境 (0) | 2014.12.25 |
삼천리 제7권 제6호 | |
발행일 | 1935년 07월01일 |
---|---|
기사제목 | 一問一答集 |
기사형태 | 설문 |
一問一答集
藝術家의 美人觀 (0) | 2015.01.11 |
---|---|
女市長 選擧 (0) | 2014.12.25 |
藝術家로서 世界에 나가면 무엇을 보고 도라올가 (0) | 2014.12.25 |
다시 젊어지고 십흔가, 文士心境 (0) | 2014.12.25 |
戀愛냐돈이냐, 文士心境 (0) | 2014.12.25 |
삼천리 제8권 제1호 | |
발행일 | 1936년 01월01일 |
---|---|
기사제목 | 藝術家로서 世界에 나가면 무엇을 보고 도라올가 |
기사형태 | 설문 |
藝術家로서 世界에 나가면 무엇을 보고 도라올가
女市長 選擧 (0) | 2014.12.25 |
---|---|
朝鮮에 女傑이 잇서요? 新聞社나 學校를 맛길 만한... (0) | 2014.12.25 |
다시 젊어지고 십흔가, 文士心境 (0) | 2014.12.25 |
戀愛냐돈이냐, 文士心境 (0) | 2014.12.25 |
僧이되고십지안흔가 (0) | 2014.12.25 |
삼천리 제8권 제12호 | |
발행일 | 1936년 12월01일 |
---|---|
기사제목 | 다시 젊어지고 십흔가, 文士心境 |
기사형태 | 설문 |
朝鮮에 女傑이 잇서요? 新聞社나 學校를 맛길 만한... (0) | 2014.12.25 |
---|---|
藝術家로서 世界에 나가면 무엇을 보고 도라올가 (0) | 2014.12.25 |
戀愛냐돈이냐, 文士心境 (0) | 2014.12.25 |
僧이되고십지안흔가 (0) | 2014.12.25 |
1936년 12월01일 「藝術」이냐「死」냐, 文士心境 (0) | 2014.12.25 |
삼천리 제8권 제12호 | |
발행일 | 1936년 12월01일 |
---|---|
기사제목 | 戀愛냐돈이냐, 文士心境 |
설문
|
藝術家로서 世界에 나가면 무엇을 보고 도라올가 (0) | 2014.12.25 |
---|---|
다시 젊어지고 십흔가, 文士心境 (0) | 2014.12.25 |
僧이되고십지안흔가 (0) | 2014.12.25 |
1936년 12월01일 「藝術」이냐「死」냐, 文士心境 (0) | 2014.12.25 |
1937년 01월01일 著名人物 一代記 (0) | 2014.12.25 |
삼천리 제8권 제12호 | |
발행일 | 1936년 12월01일 |
---|---|
기사제목 | 僧이되고십지안흔가, 文士心境 |
기사형태 | 설문 |
僧이되고십지안흔가, 文士心境
다시 젊어지고 십흔가, 文士心境 (0) | 2014.12.25 |
---|---|
戀愛냐돈이냐, 文士心境 (0) | 2014.12.25 |
1936년 12월01일 「藝術」이냐「死」냐, 文士心境 (0) | 2014.12.25 |
1937년 01월01일 著名人物 一代記 (0) | 2014.12.25 |
삼천리 (0) | 2014.12.25 |
삼천리 제8권 제12호 | |
발행일 | 1936년 12월01일 |
---|---|
기사제목 | 「藝術」이냐 「死」냐, 文士心境 |
기사형태 | 설문 |
「藝術」이냐「死」냐, 文士心境
戀愛냐돈이냐, 文士心境 (0) | 2014.12.25 |
---|---|
僧이되고십지안흔가 (0) | 2014.12.25 |
1937년 01월01일 著名人物 一代記 (0) | 2014.12.25 |
삼천리 (0) | 2014.12.25 |
互助會. (0) | 2014.12.25 |
삼천리 제9권 제1호 | |
발행일 | 1937년 01월01일 |
---|---|
기사제목 | 著名人物 一代記 |
기사형태 | 설문 |
1936년 12월01일 「藝術」이냐「死」냐, 文士心境 (0) | 2014.12.25 |
---|---|
1937년 01월01일 著名人物 一代記 (0) | 2014.12.25 |
互助會. (0) | 2014.12.25 |
친일파 5명 (0) | 2014.12.25 |
民族正氣의 審判 民族正氣의 審判 (0) | 2014.12.25 |
1929년 6월 18일 |
남 鎭南浦 漁業同務組合員 200여명, 互助會에 고용계약에서 | 동아일보 1929. 6. 25. 일제하사회운동사자료집 4 p. 274. | |
2 | 1929년 6월 19일 | 평남 鎭南浦漁業者 互助會員과 船夫 240여명, 査定料면제 | 중외일보 1929. 6. 24. 일제하사회운동사자료집 4 p. 274. |
3 | 1929년 6월 25일 | 평남 鎭南浦 어업자 互助會員 및 船夫 동맹파업사건, | 중외일보 1929. 6. 28. 일제하사회운동사자료집 4 p. 275. |
4 | 1931년 4월 9일 | 평남 鎭南浦 수산노동조합, 긴급집행위원회 개최하고 | 동아일보 1931. 4. 13. 일제하사회운동사자료집 4 p. 279. |
5 | 1931년 4월 10일 | 평남 鎭南浦 수산노동조합·朝鮮人漁業者互助會, 船主측에 | 동아일보 1931. 4. 13. 일제침략하36년사 9 p. 784. |
6 | 1931년 4월 10일 | 평남 鎭南浦 수산노동조합 조선인 어선부, 월급제 | 동아일보 1931. 4. 13. 일제하사회운동사자료집 4 p. 279. |
7 | 1931년 4월 | 평남 鎭南浦 수산노동조합원 300여명, 일본인 어선주조직인 | 동아일보 1931. 4. 11. 일제하사회운동사자료집 4 p. 279. |
8 | 1936년 4월 28일 | 反帝同盟 互助會. 農民協會 등에 가입 친일파 암살 | 동아일보 1936. 4. 25,29. 일제침략하36년사 11 p. 318
|
1937년 01월01일 著名人物 一代記 (0) | 2014.12.25 |
---|---|
삼천리 (0) | 2014.12.25 |
친일파 5명 (0) | 2014.12.25 |
民族正氣의 審判 民族正氣의 審判 (0) | 2014.12.25 |
羅蕙錫 신문조서 (0) | 2014.12.25 |
201 | 1926년 7월 21일 | 滿鐵沿線 친일파 5명 살해후 피검된 朴尙萬. 金炳賢, | 동아일보 1926. 6. 27,7. 11,25. 일제침략하36년사 8 p. 207. |
202 | 1926년 7월 23일 | 독립군 3명, 평북 龜城郡 天摩面에서 친일파 元智養 | 고등경찰관계연표 |
203 | 1926년 7월 26일 | 滿鐵沿線 친일파 살해로 7. 21. 關東廳지방법원에서 | 동아일보 1926. 8. 1. 일제침략하36년사 8 p. 212. |
204 | 1926년 9월 8일 | 正義府 제6중대 제2소대장 金昌林. 대원 徐尙眞. 金龍活. | 한국독립운동사 4 p. 823. 일제침략하36년사 8 p. 250. |
205 | 1926년 9월 24일 | 參議府員 3명, 通化縣 친일단체 상조계장 金業平家 | 한국독립운동사 4 p. 826. 일제침략하36년사 8 p. 261. |
206 | 1927년 7월 8일 | 경남 統營 친일단체 三九會 회원 29명, 동아일보 광고부장. | 동아일보 1927. 7. 12. 일제침략하36년사 8 p. 501. |
207 | 1927년 7월 8일 | 統營 친일단체 三九會, 동아일보 광고부장 李魯泰와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
208 | 1927년 7월 10일 | 馬山記者團, 임시총회 개최하여 친일단체 三九會의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
209 | 1927년 7월 11일 | 馬山記者團, 친일단체 三九會를 폭력단체로 간주하고 | 동아일보 1927. 7. 13. 일제침략하36년사 8 p. 502. |
210 | 1927년 7월 14일 | 無名會, 긴급위원회 개최하여 친일단체 三九會의 폭행사건에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
211 | 1927년 9월 26일 | 新民府 무장단원 수명, 하얼빈 朝鮮人民會 습격하여 | 한국공산주의운동사(김창순) 고등경찰관계연표 일제침략하36년사 8 p. 551. 동아일보 1927. 9. 29. |
212 | 1927년 9월 26일 | 新民府 별동대 崔晉萬. 蔡世允 등, 하얼빈에서 친일기관 | 원호처 독립운동사 5 |
213 | 1927년 10월 24일 | 徽文高普, 親日校主 동상건립반대. 日人 교원배척. | 원호처 독립운동사 8 |
214 | 1928년 6월 14일 | 일제, 조선농민의 민족·계급의식을 마비시키기 위해 | 일제조선침략일지 |
215 | 1928년 9월 26일 | 大邱고보생 200여명, 조선사 교수·언론자유 요구 | 동아일보 1928. 9. 28·29. 원호처 독립운동사 8,9 원호처 독립운동사자료집 13 일제침략하36년사 8 p. 914. |
216 | 1928년 9월 28일 | 大邱고보 2·3년생, 교내의 학생자치·일인 및 친일 | 원호처 독립운동사 8,9 |
217 | 1928년 9월 | 滿洲 開原·淸原縣 친일한인들, 자경단체로 開淸鮮人濟民會 | 재만불량선인상황 일제침략하36년사 8 p. 917. |
218 | 1928년 10월 18일 | 참의부 제4중대 소대장 玄昌周·卓應善·金利錫 등, | 한국독립운동사 5 p. 800. 일제침략하36년사 8 p. 925. |
219 | 1928년 10월 24일 | 참의부원 金東一·李珍河 등 13명, 친일단체 鮮民府(뒤에 | 한국독립운동사 5 p. 801. 일제침략하36년사 8 p. 926. |
220 | 1929년 2월 28일 | 在滿 親日派 韓人들, 韓僑同鄕會 발기. | 한국독립운동사 5 pp. 807-810. 일제침략하36년사 9 pp. 40-44. |
221 | 1929년 7월 | 국민부 중앙집행위원회, 선언을 발표하여 친일앞잡이 | 한국공산주의운동사(김창순) |
222 | 1930년 4월 21일 | 일제, 반봉건적 유교사상 전파 위해 친일유생들의 | 일제조선침략일지 |
223 | 1930년 12월 16일 | 국민부 兪昌德·鄭一隅 등 4명, 石頭河子에서 친일파 | 동아일보 1930. 12. 24. 일제침략하36년사 9 p. 620. |
224 | 1932년 2월 | 朴錫胤 등, 在滿韓人 親日團體 民生團 조직(7월에 | 한국공산주의운동사(김창순) |
225 | 1932년 10월 20일 | 일제, 중국 동북지방거주 조선인들의 반일투쟁 탄압목적으로 | 일제조선침략일지 |
226 | 1933년 6월 1일 | 재경 일본인과 친일매국 역적들이 침략전쟁에 출동한 | 일제조선침략일지 |
227 | 1933년 8월 25일 | 在滿僑胞, 新京에서 親日系 <滿鮮日報> 창간. | 대한민국임시정부사 |
228 | 1934년 9월 | 재만친일단체 民生團, 協助會로 개칭. | 한국공산주의운동사 |
229 | 1934년 10월 | 조선혁명군 제3중대장 李英杰·소대장 金利濟, 압록강연안에 | 동아일보 1934. 10. 20. 일제침략하36년사 10 p. 735. |
230 | 1935년 3월 25일 | 무정부주의자 鄭華岩. 嚴舜奉 등, 친일단체 상해 조선인거류민회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
231 | 1935년 3월 25일 | 嚴舜奉. 李圭虎 등, 상해 조선인거류민회 부회장인 | 원호처 독립운동사 7 |
232 | 1935년 3월 25일 | 在中國南華韓人靑年聯盟 흑색공포단원 嚴舜奉. 李圭虎, | 동아일보 1935. 3. 26,5. 28. 독립운동사 7 p. 783 일제침략하36년사 11 pp. 45-46 |
233 | 1936년 2월 4일 | 駐中日本公使 有吉암살계획 및 친일파 上海 朝鮮人居留民會 | 동아일보 1936. 2. 5. 일제침략하36년사 11 p. 272 |
234 | 1936년 4월 28일 | 反帝同盟 互助會. 農民協會 등에 가입 친일파 암살한 | 동아일보 1936. 4. 25,29. 일제침략하36년사 11 p. 318 |
235 | 1936년 12월 27일 | 일제, 중국동북지방의 친일주구단체 협조회를 협화회에 | 일제조선침략일지 |
236 | 1937년 7월 29일 | 新京朝鮮人民會. 協和會 등 6개 滿洲 新京在住 한국인 | 동아일보 1937. 7. 30. 일제침략하36년사 11 p. 663 |
237 | 1937년 8월 4일 | 친일파 李元錫 등 4명이 한국에 支願兵制度 시행에 | 최근의조선치안상황 일제침략하36년사 11 p. 671 |
238 | 1937년 8월 20일 | 상류여성 중심의 친일단체 愛國金釵會 결성(금비녀헌납운동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원호처 독립운동사 9 일제조선침략일지 일본제국주의의조선지배 |
239 | 1938년 1월 | 조선민족혁명당원 金東宇, 친일파 조선인민회장 李甲寧 |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11. |
240 | 1938년 3월 16일 | 일제, 친일자 자식에게 항공훈련시켜 비행사로 충당키 | 일제조선침략일지 |
241 | 1938년 4월 23일 | 전북 新泰仁 친일기독교도, 신사참배 결의. | 동아일보 1938. 4. 28.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59. |
242 | 1938년 5월 8일 | 친일기독교인 鄭春洙·金禹鉉 등, 부민관에서 황국신민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66. |
243 | 1938년 5월 8일 | 친일목사·교도들, 경성부민관에서 조선기독교연합회 | 동아일보 1938. 5. 9.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65. |
244 | 1938년 6월 4일 | 종로기독교청년회, 이사회 개최하여 일본기독교청년연맹 | 친일파의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76. |
245 | 1938년 6월 9일 | 木浦 14派 친일기독교역원, 조선기독교 목포연합회 | 동아일보 1938. 6. 14.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78. |
246 | 1938년 6월 18일 | 修養同友會 曷弘基 등 16명, 친일단체인 대동민우회에 | 최근의 조선치안사안상황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81. |
247 | 1938년 7월 6일 | 尹致昊·曺秉相 등,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상무이사에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89. |
248 | 1938년 7월 7일 | 국민정신총동원 강원도연맹, 결성 (총재 金時權).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89. |
249 | 1938년 7월 9일 | 玄永燮, 한국어사용전폐를 총독에게 제의.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90. |
250 | 1938년 7월 20일 | 조선교화단체연구회, 시국대응강연회 개최 (강사 尹致昊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93. |
251 | 1938년 10월 5일 | 시국인식 위한 강연대, 경기도 각군에 파견 (연사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135. |
252 | 1938년 10월 24일 | 기독교인, 종로기독교청년회관에서 전쟁협력강도회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140. |
253 | 1938년 11월 28일 | 李碩圭(李容九의 子), 친일단체 大東一進會 조직.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
254 | 1939년 1월 15일 | 松都航空機주식회사 창립.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179. |
255 | 1939년 2월 9일 | 尹致昊·崔麟·張德秀, 東洋之光 창간기념회 시국문제강연에서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197. |
256 | 1939년 3월 14일 | 친일단체 황군위문작가단 발단.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
257 | 1939년 4월 15일 | 金東仁·林學洙·朴英熙 등, 조선문단 대표로 중국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228. |
258 | 1939년 5월 15일 | 국민정신총동원 天主敎聯盟 결성.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252. |
259 | 1939년 7월 5일 | 사상보국연맹 京城지부, 朝鮮神宮 광장에서 결성.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279. |
260 | 1939년 8월 5일 | 친일단체 全朝鮮排英동지회연맹 조직.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
261 | 1939년 8월 5일 | 韓圭復·張德秀·徐春 등, 국민정신선양 각도순회강연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290. |
262 | 1939년 9월 21일 | 汪兆銘, 親日 신중앙정권 수립 성명.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
263 | 1939년 9월 | 친일학생단체 조선학생애국연맹 조직. | 일제하광주학생민족운동사 원호처 독립운동사 9 |
264 | 1939년 10월 20일 | 李光洙·朴英熙·兪鎭午 등 10여명, 친일문학의 문예협회발기인회 | 동아일보 1939. 10. 19, 21, 23.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327. |
265 | 1939년 10월 29일 | 친일단체 조선문인협회, 부민관에서 결성. | 원호처 독립운동사자료집 별 3 |
266 | 1939년 10월 29일 | 친일문학단체 조선문제협회 결성.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
267 | 1940년 1월 1일 | 전조선일보 주필 徐春, 친일잡지 太陽 창간.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
268 | 1940년 1월 28일 | 조선문인협회, 평양에서 문예대강연회 개최 (兪鎭午·金東煥·李孝石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388. |
269 | 1940년 1월 | 전조선일보 주필 徐春, 친일잡지 太陽 창간. | 한민족독립운동사 8 p. 417. |
270 | 1940년 2월 20일 | 李光洙, 創氏에 관한 논설을 每日新報에 발표.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404. |
271 | 1940년 7월 1일 | 李光洙, 황민화와 조선문학을 每日新報에 발표.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484. |
272 | 1940년 11월 25일 | 朝鮮文人協會, 문예보국강연회 개최 결정(金東煥·兪鎭午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556. |
273 | 1940년 12월 25일 | 친일단체 皇道學會, 부민관에서 결성.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
274 | 1940년 | 일제와 친일지주의 가혹한 약탈로 전체농가의 77%가 | 일제조선침략일지 |
275 | 1941년 6월 | 친일문인단체 國民詩歌聯盟 결성. | 한민족독립운동사 8 p. 417. |
276 | 1941년 7월 30일 | 兪鎭午, 국민문학의 工作鼎談會에 참가.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758. |
277 | 1941년 8월 4일 | 崔載瑞, 徵兵感謝와 우리의 각오라는 논문 발표.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761. |
278 | 1941년 8월 20일 | 친일단체 임전대책협의회, 부민관에서 개최.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
279 | 1941년 8월 24일 | 尹致昊·高元勳·朴興植 등 50여명, 황국정신 앙양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769. |
280 | 1941년 9월 3일 | 총독부, 친일파·매판자본가 규합하여 어용단체인 | 일제조선침략일지 |
281 | 1941년 10월 | 친일문예지 國民文學 창간. | 한민족독립운동사 8 p. 417. |
282 | 1941년 11월 15일 | 친일단체 言論報國會 창립(회장 崔麟).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
283 | 1941년 11월 22일 | 친일단체 조선임전보국단을 부민관에거 결성.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
284 | 1942년 2월 12일 | 協和會 機構에 朝鮮人輔導委員會 특설됨.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3 p. 35 |
285 | 1942년 5월 | 잡지 <삼천리>가 친일지 <대동아>로 改題.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
286 | 1942년 11월 4일 | 親日文人들이 대동아문학자대회 개최.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
287 | 1943년 1월 23일 | 일제, 친일파들로 경찰예비원제 실시. | 일제조선침략일지 |
288 | 1943년 4월 17일 | 친일단체 조선문인보국회가 부민관에서 결성됨.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
289 | 1943년 4월 17일 | 親日文化團體를 통합한 半島文人報國會 결성. | 매일신보 1943. 4. 13. 일제침략하36년사 13 p. 475 |
290 | 1943년 11월 4일 | <新韓民報>, 한민족의 독립운동이 정신적인 운동에서 | 친일파군상 p. 47 일제침략하36년사 13 pp. 544-545 |
291 | 1944년 11월 5일 | 李光洙. 金基鎭이 南京文學者大會 조선대표로 선출됨. | 친일파군상 일제침략하36년사 13 p. 780 |
292 | 1945년 2월 3일 | 친일단체 대화동맹 발기.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일본제국주의의조선지배 |
293 | 1945년 2월 11일 | 尹致昊. 秦學文 등이 內鮮一體를 목적한 大和同盟 | 친일파군상 p. 152 일제침략하36년사 13 p. 812 |
294 | 1945년 2월 | 在日 親日朝鮮人들이 東京에서 조선동포처우개선 감사간담회 | 한민족독립운동사 8 p. 494 |
295 | 1945년 6월 8일 | 친일단체 조선언론보국회 결성.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일제하민족언론사론 일본제국주의의조선지배 |
296 | 1945년 6월 23일 | 朴春琴 등이 府民館에서 친일단체 大義黨을 결성함.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일제하광주학생민족운동사 |
297 | 1945년 6월 24일 | 朴春琴 등이 친일단체 大義黨 창당.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개항100년연표 친일파군상 p. 42 일제침략하36년사 13 p. 865 |
298 | 1945년 7월 23일 | 李鍾麟. 李鍾郁. 安貞植. 崔載瑞 등이 韓民同志會를 | 친일파군상 p. 155 일제침략하36년사 13 p. 867 |
299 | 1945년 7월 24일 | 大韓愛國靑年黨 趙文紀 등이 친일단체 大義黨 주최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개항100년연표 일제하민족언론사론 독립운동사 8 일제하광주학생민족운동사 |
1 | 民族正氣의 審判 | 民族正氣의 審判 |
2 | 民族正氣의 審判 | 民族正氣의 審判 서문 |
3 | 民族正氣의 審判 | 民族正氣의 審判 목차 |
되돌아가기에서 - 검색어에 - 제목입력
개벽 제18호 | 1921-12-01 | 藝術界의 回顧 一年間 | 曉鍾 | 논설 | 원문제공 | |
2 | 동광 제29호 | 1931-12-27 | 新聞戰線總動員, 「大合同日報」의 幹部公選, 萬一 朝鮮文 3新聞이 다 解消하고 一大理想 新聞이 出現한다면... | 설문 | 원문제공 | |
3 | 동광 제35호 | 1932-07-03 | 混迷低調의 朝鮮美術展覽會를 批判함 | 美術家諸氏 | 문예평론 | 원문제공 |
4 | 별건곤 제26호 | 1930-02-01 | 金雨英氏 夫人 羅蕙錫氏, 訪問 가서 感心한 婦人 | 金起田 | 소식 | 원문제공 |
5 | 별건곤 제30호 | 1930-07-01 | 弟九回 朝鮮美展 | 金周經 | 문예평론 | 원문제공 |
6 | 삼천리 제4호 | 1930-01-11 | 雜談室 | 잡저 | 원문제공 | |
7 | 삼천리 제6호 | 1930-05-01 | 諸氏의 聲明 | 설문 | 원문제공 | |
8 | 삼천리 제6호 | 1930-05-01 | 喫煙室 | 잡저 | 원문제공 | |
9 | 삼천리 제6호 | 1930-05-01 | 新兩性道德의 提唱 | 尹聖相, 黃信德, 羅惠錫, 鄭錫泰 | 대담·좌담 | 원문제공 |
10 | 삼천리 제8호 | 1930-09-01 | 名流婦人과 産兒制限 | 설문 | 원문제공 | |
11 | 삼천리 제16호 | 1931-06-01 | 新女性總觀(2) 百花爛漫의 己未女人群 | 회고·수기 | 원문제공 | |
12 | 삼천리 제3권 제11호 | 1931-11-01 | 나를 잇지 안는 幸福, 帝展入選後感想 | 羅蕙錫 | 문예기타 | 원문제공 |
13 | 삼천리 제4권 제1호 | 1932-01-01 | 아아 自由의 巴里가 그리워, 歐米 漫遊하고 온 후의 나 | 在東京 羅蕙錫 | 회고·수기 | 원문제공 |
14 | 삼천리 제4권 제3호 | 1932-03-01 | 巴里의 모델과 畵家生活 | 東京 羅蕙錫 | 기행문 | 원문제공 |
15 | 삼천리 제4권 제4호 | 1932-04-01 | 巴里畵家生活, 巴里의 모델과 畵家生活 | 在東京 羅蕙錫 | 논설 | 원문제공 |
16 | 삼천리 제4권 제7호 | 1932-05-15 | 佳人春秋 | 소식 | 원문제공 | |
17 | 삼천리 제4권 제7호 | 1932-07-01 | 朝鮮美術展覽會 西洋畵總評 | 羅蕙錫 | 문예평론 | 원문제공 |
18 | 삼천리 제4권 제12호 | 1932-12-01 | 쏘비엣露西亞行, 歐米遊記의 其一 | 羅蕙錫 | 기행문 | 원문제공 |
19 | 삼천리 제5권 제1호 | 1933-01-01 | 半島에 幾多人材를 내인 英·美·露·日 留學史 | 회고·수기 | 원문제공 | |
20 | 삼천리 제5권 제1호 | 1933-01-01 | CCCP, 歐米遊記의 第二 | 羅蕙錫 | 기행문 | 원문제공 |
21 | 삼천리 제5권 제3호 | 1933-03-01 | 伯林과 巴里 | 羅蕙錫 | 기행문 | 원문제공 |
22 | 삼천리 제5권 제3호 | 1933-03-01 | 畵室의 開放, 巴里에서 도라온 羅蕙錫女史 女子美術學舍 | 婦人記者 | 소식 | 원문제공 |
23 | 삼천리 제5권 제4호 | 1933-04-01 | 作家日記 | 문예기타 | 원문제공 | |
24 | 삼천리 제5권 제9호 | 1933-09-01 | 그랫스면 集 | 잡저 | 원문제공 | |
25 | 삼천리 제5권 제9호 | 1933-09-01 | 伯林에서 倫敦까지, 歐美遊記의 續 | 羅蕙錫 | 기행문 | 원문제공 |
26 | 삼천리 제5권 제10호 | 1933-10-01 | 滿州國行의 廉想涉氏 | 소식 | 원문제공 | |
27 | 삼천리 제5권 제10호 | 1933-10-01 | 晩婚打開 座談會, 아아, 靑春이 아가워라! | 대담·좌담 | 원문제공 | |
28 | 삼천리 제6권 제5호 | 1934-05-01 | 朝鮮에 태여 난 것이 幸福한가 不幸한가 | 羅蕙錫 | 설문 | 원문제공 |
29 | 삼천리 제6권 제5호 | 1934-05-01 | 三千里人生案內 | 소식 | 원문제공 | |
30 | 삼천리 제6권 제5호 | 1934-05-01 | 熱情의 西班牙行(世界一周記 續) | 羅蕙錫 | 기행문 | 원문제공 |
31 | 삼천리 제6권 제7호 | 1934-06-01 | 人生揭示板 | 소식 | 원문제공 | |
32 | 삼천리 제6권 제7호 | 1934-06-01 | 내가 서울 女市長된다면? | 羅蕙錫 | 설문 | 원문제공 |
33 | 삼천리 제6권 제7호 | 1934-06-01 | 春園 出家放浪記, 朝鮮日報 副社長 辭任 內面과 山水放浪의 前後 事情記 | 소식 | 원문제공 | |
34 | 삼천리 제6권 제7호 | 1934-06-01 | 女人獨居記 | 羅蕙錫 | 문예기타 | 원문제공 |
35 | 삼천리 제6권 제8호 | 1934-08-01 | 離婚告白狀, 靑邱氏에게 | 羅蕙錫 | 문예기타 | 원문제공 |
36 | 삼천리 제7권 제1호 | 1935-01-01 | 女流名士의 男便調査狀 | 잡저 | 원문제공 | |
37 | 삼천리 제7권 제1호 | 1935-01-01 | 新生活에 들면서 | 羅蕙錫 | 문예기타 | 원문제공 |
38 | 삼천리 제7권 제2호 | 1935-02-01 | 新生活에 들면서 | 羅蕙錫 | 문예기타 | 원문제공 |
39 | 삼천리 제7권 제3호 | 1935-03-01 | 三千里機密室(The Korean Black Chamber) | 소식 | 원문제공 | |
40 | 삼천리 제7권 제3호 | 1935-03-01 | 靑春을 앗기는 佳人哀詞 | 문예기타 | 원문제공 | |
41 | 삼천리 제7권 제5호 | 1935-06-01 | 異性間의 友情論 아름다운 男妹의 記 | 羅蕙錫 | 문예기타 | 원문제공 |
42 | 삼천리 제7권 제5호 | 1935-06-01 | 조선녀성의게, 歐米女性을 보고 半島女性에게 | 羅蕙錫 | 논설 | 원문제공 |
43 | 삼천리 제7권 제5호 | 1935-06-01 | 李光洙, 許英肅兩氏間 戀愛書翰集 | 문예기타 | 원문제공 | |
44 | 삼천리 제7권 제6호 | 1935-07-01 | 나의 女敎員時代 | 羅蕙錫 | 회고·수기 | 원문제공 |
45 | 삼천리 제7권 제9호 | 1935-10-01 | 三千里機密室 The Korean Black Chamber | 소식 | 원문제공 | |
46 | 삼천리 제7권 제9호 | 1935-10-01 | 獨身女性의 貞操論 | 羅蕙錫 | 문예기타 | 원문제공 |
47 | 삼천리 제7권 제10호 | 1935-11-01 | (戱曲) 巴里의 그 女子 | 羅蕙錫 | 희곡·시나리오 | 원문제공 |
48 | 삼천리 제8권 제1호 | 1936-01-01 | 英米婦人參政權運動者 會見記 | 羅蕙錫 | 대담·좌담 | 원문제공 |
49 | 삼천리 제8권 제1호 | 1936-01-01 | 十萬圓의 朝鮮舘經營하는 金珊瑚珠女士(女社長을 차저) | 대담·좌담 | 원문제공 | |
50 | 삼천리 제8권 제4호 | 1936-04-01 | 倫敦救世軍托兒所를 尋訪하고 | 羅蕙錫 | 대담·좌담 | 원문제공 |
51 | 삼천리 제8권 제11호 | 1936-11-01 | 三千里 機密室 | 소식 | 원문제공 | |
52 | 삼천리 제8권 제12호 | 1936-12-01 | 玄淑 | 羅蕙錫 | 소설 | 원문제공 |
53 | 삼천리 제10권 제5호 | 1938-05-01 | 나의 東京女子美術學校 時代 | 羅蕙錫 | 회고·수기 | 원문제공 |
54 | 삼천리 제10권 제5호 | 1938-05-01 | 戀愛觀 批判, 毛允淑·羅蕙錫씨의 | 安德根 | 논설 | 원문제공 |
55 | 삼천리 제10권 제5호 | 1938-05-01 | 女流 文士의 『戀愛 問題』會議 | 대담·좌담 | 원문제공 | |
56 | 만국부인 제1호 | 1932-10-01 | 萬國婦人싸론 | 회고·수기 | 원문제공 | |
57 | 동명 제18호 | 1923-01-01 | 母된 感想記 | 羅蕙錫 | 목차제공 | |
58 | 동명 제19호 | 1923-01-07 | 母된 感想記 | 羅蕙錫 | 목차제공 | |
59 | 동명 제20호 | 1923-01-14 | 母된 感想記 | 羅蕙錫 | 목차제공 | |
60 | 동명 제21호 | 1923-01-21 | 母된 感想記 | 羅蕙錫 | 목차제공 | |
61 | 동명 제23호 | 1923-02-04 | 觀念의 襤褸를 벗은 悲哀-羅蕙錫女史의 ‘母된 感想記’를 보고- | 百結生 | 목차제공 | |
62 | 동명 제24호 | 1923-02-11 | 觀念의 襤褸를 벗은 悲哀-羅蕙錫女史의 ‘母된 感想記’를 읽고- | 百結生 | 목차제공 | |
63 | 동명 제29호 | 1923-03-18 | 百結生에게 答함 | 羅蕙錫 | 목차제공 | |
64 | 서광 제6호 | 1920-07-05 | 婦人問題의 一端 | 羅蕙錫女史 | 목차제공 | |
65 | 여자계 | 목차제공 | ||||
66 | 학지광 제3호 | 1914-12-03 | 理想的 婦人 | 羅蕙錫 孃 | 목차제공 |
1904년 8월 20일 | 宋秉畯,尹始炳등 輔安會에 대항,친일단체 <維新會>를 | 개항 100년 연표자료집 | |
2 | 1904년 8월 20일 | 宋秉畯,尹始炳 등이 친일단체 維新會 조직.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최민지) p. 619. |
3 | 1904년 11월 30일 | 일제 지시로 친일단체 일진회, 정치개혁을 정부에 | 일제조선침략일지 p. 65. |
4 | 1907년 5월 15일 | 일제육군, 친일단체 일진회에 10만원의 정치 자금을 | 일제조선침략일지 |
5 | 1910년 8월 25일 | 일제통감부, 한국인의 일체 집회금지. 친일단체 <일진회>까지 | 일제조선침략일지 |
6 | 1916년 12월 29일 | 閔泳綺등 친일단체, 大正實業친목회 조직.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
7 | 1916년 | 친일단체 <대정실업 친목회> 조직 | 일본제국주의의 조선지배(박경식) |
8 | 1919년 12월 4일 | 閔元植 協成俱樂部, 국민협회로 개편 時事新聞 발간 | 고등경찰관계연표 p.12 |
9 | 1920년 1월 18일 | 국민협회(친일단체 회장 閔元植,협성구락부의 개칭) | 독립운동사 9 |
10 | 1920년 1월 18일 | 국민협회(친일단체,회장 閔元植,協成俱樂部의 개칭) | 한국공산주의운동사(김창순) |
11 | 1920년 1월 18일 | 閔元植, 협성구락부를 국민협회로 개칭(한.일 양민족의 | 고등경찰관계연표 p.16 |
12 | 1920년 4월 13일 | 블라디보스톡에서 조선인 거류민회(친일단체) 조직 | 한국공산주의운동사(김창순) |
13 | 1920년 5월 1일 | 니콜라예프스크에 친일단체인 朝鮮人民會 조직. | 고등경찰관계연표 p.25 |
14 | 1920년 10월 26일 | 일제, 친일단체인 大東同志會 조직. 평양을 중심으로 | 고등경찰관계연표 p.45 |
15 | 1920년 10월 26일 | 金興健 등, 평양에 친일단체 大東同志會 조직. | 고등경찰보 제1호 p.182 |
16 | 1920년 10월 31일 | 평양 大東同志會(회장 鮮于鎬) 결성. 韓·日人 공존공영 | 高等警察要史 일제침략하 36년사-5 p.694 |
17 | 1921년 1월 13일 | 친일단체 大正親睦會 한일 융화를 위한 主義,綱領 | 每日申報 1921.1.14 일제침략하 36년사-6 p.7 |
18 | 1921년 3월 27일 | 대한민국임시정부, 만주의 친일단체 保民會 간부 임살을 | 대한민국임시정부사 |
19 | 1921년 8월 27일 | 조선소작인상조회(친일단체) 조직-회장 宋秉畯 | 한국공산주의운동사(김창순) |
20 | 1921년 8월 27일 | 宋秉畯, 친일단체인 소작인상조회를 결성(친일지주의 | 원호처독립운동사 p.421 |
21 | 1921년 | 재일친일단체 상애회 결성 | 일본제국주의의 조선지배(박경식) |
22 | 1923년 2월 3일 | 시베리아에서 특별결사대로 파견된 獨立軍 10명이 | 東亞日報 1923.1.21 일제침략하 36년사-7 p.1 |
23 | 1924년 3월 13일 | 相愛會(친일단체) 부산본부 조직 | 한국공산주의운동사(김창순) |
24 | 1924년 3월 25일 | 재경 친일단체 國民協會·維民會·少作人相助會·朝鮮經濟會 | 독립운동사 9 |
25 | 1924년 3월 25일 | 재경 친일단체 國民協會,維民會,소작인상조회,조선경제회 | 한국공산주의운동사(김창순) |
26 | 1924년 3월 25일 | 親日團體 國民協會·朝鮮小作人相助會·維民會·勞動相愛會· | 東亞日報 1924.4.2 일제침략하 36년사-7 p.293 |
27 | 1924년 4월 2일 | 친일단체인 각파유지연맹 朴春琴,李喜侃,金明濬,蔡基斗등 | 한국공산주의운동사(김창순) |
28 | 1924년 4월 2일 | 친일단체인 각파 유지 연맹 박 춘금(朴春琴).이 희간(李喜侃). | 독립운동사 9 |
29 | 1924년 4월 2일 | 朴春琴 등 親日團體代表,東亞日報社 宋鎭禹 金性洙를 | 東亞日報 1924.4.2 일제침략하 36년사-7 p.304 |
30 | 1924년 4월 2일 | 朴春琴 등 친일단체 대표, 동아일보사주 김성수와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
31 | 1924년 4월 9일 | 親日團體 東亞日報 폭행사건에 대해 민간 유지 40명이 | 東亞日報 1924.4.11 일제침략하 36년사-7 p.306 |
32 | 1924년 4월 15일 | 申錫麟 등, 서울에서 친일단체 同民會를 조직. | 고등경찰보 제1호 p.182 |
33 | 1924년 4월 22일 | 친일단체 각파 유지연맹 규탄 민중대회, 일경이 강압금지-조선 | 한국공산주의운동사(김창순) |
34 | 1924년 7월 | 국민협회(친일단체)간부 金明濬 외 3명,회원 1만 7천여명이 | 한국공산주의운동사(김창순) |
35 | 1924년 7월 | 친일단체 국민협회 간부 金明濬 외 3명, 회원 1만 | 독립운동사 9 |
36 | 1924년 8월 13일 | 金聖旭 등, 서울에 친일단체 甲子具樂部를 조직. | 고등경찰보 제1호 p.182 |
37 | 1925년 1월 8일 | 시둑대동단(친일단체 : 각파유지연맹 및 普天교도 | 한국공산주의운동사연구 |
38 | 1925년 6월 18일 | 일선융화 표방한 친일단체 同民會, 同化事業 추진. | 한국독립운동사 p. 212 일제침략하36년사 p. 688 |
39 | 1926년 9월 24일 | 參議府員 3명, 通化縣 친일단체 상조계장 金業平家 | 한국독립운동사 4 p. 826. 일제침략하36년사 8 p. 261. |
40 | 1927년 7월 8일 | 경남 統營 친일단체 三九會 회원 29명, 동아일보 광고부장. | 동아일보 1927. 7. 12. 일제침략하36년사 8 p. 501. |
41 | 1927년 7월 8일 | 統營 친일단체 三九會, 동아일보 광고부장 李魯泰와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
42 | 1927년 7월 10일 | 馬山記者團, 임시총회 개최하여 친일단체 三九會의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
43 | 1927년 7월 11일 | 馬山記者團, 친일단체 三九會를 폭력단체로 간주하고 | 동아일보 1927. 7. 13. 일제침략하36년사 8 p. 502. |
44 | 1927년 7월 14일 | 無名會, 긴급위원회 개최하여 친일단체 三九會의 폭행사건에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
45 | 1928년 10월 18일 | 참의부 제4중대 소대장 玄昌周·卓應善·金利錫 등, | 한국독립운동사 5 p. 800. 일제침략하36년사 8 p. 925. |
46 | 1928년 10월 24일 | 참의부원 金東一·李珍河 등 13명, 친일단체 鮮民府(뒤에 | 한국독립운동사 5 p. 801. 일제침략하36년사 8 p. 926. |
47 | 1932년 2월 | 朴錫胤 등, 在滿韓人 親日團體 民生團 조직(7월에 | 한국공산주의운동사(김창순) |
48 | 1934년 9월 | 재만친일단체 民生團, 協助會로 개칭. | 한국공산주의운동사 |
49 | 1935년 3월 25일 | 무정부주의자 鄭華岩. 嚴舜奉 등, 친일단체 상해 조선인거류민회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
50 | 1937년 7월 29일 | 新京朝鮮人民會. 協和會 등 6개 滿洲 新京在住 한국인 | 동아일보 1937. 7. 30. 일제침략하36년사 11 p. 663 |
51 | 1937년 8월 20일 | 상류여성 중심의 친일단체 愛國金釵會 결성(금비녀헌납운동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원호처 독립운동사 9 일제조선침략일지 일본제국주의의조선지배 |
52 | 1938년 6월 18일 | 修養同友會 曷弘基 등 16명, 친일단체인 대동민우회에 | 최근의 조선치안사안상황 일제침략하36년사 12 p. 81. |
53 | 1938년 11월 28일 | 李碩圭(李容九의 子), 친일단체 大東一進會 조직.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
54 | 1939년 3월 14일 | 친일단체 황군위문작가단 발단.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
55 | 1939년 8월 5일 | 친일단체 全朝鮮排英동지회연맹 조직.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
56 | 1939년 10월 29일 | 친일단체 조선문인협회, 부민관에서 결성. | 원호처 독립운동사자료집 별 3 |
57 | 1940년 12월 25일 | 친일단체 皇道學會, 부민관에서 결성.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
58 | 1941년 8월 20일 | 친일단체 임전대책협의회, 부민관에서 개최.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
59 | 1941년 11월 15일 | 친일단체 言論報國會 창립(회장 崔麟).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
60 | 1941년 11월 22일 | 친일단체 조선임전보국단을 부민관에거 결성.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
61 | 1943년 4월 17일 | 친일단체 조선문인보국회가 부민관에서 결성됨.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
62 | 1945년 2월 3일 | 친일단체 대화동맹 발기.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일본제국주의의조선지배 |
63 | 1945년 6월 8일 | 친일단체 조선언론보국회 결성.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일제하민족언론사론 일본제국주의의조선지배 |
64 | 1945년 6월 23일 | 朴春琴 등이 府民館에서 친일단체 大義黨을 결성함. | 원호처 독립운동사 9 일제하광주학생민족운동사 |
65 | 1945년 6월 24일 | 朴春琴 등이 친일단체 大義黨 창당. | 일제하민족언론사론 개항100년연표 친일파군상 p. 42 일제침략하36년사 13 p. 865 |
66 | 1945년 7월 24일 | 大韓愛國靑年黨 趙文紀 등이 친일단체 大義黨 주최 |
20세기 초 화가이자 문필가였던 그녀는 여자이기 전에 한 인간이었고 인간이기 전에 예술가였다.
예술가로서 그녀의 삶은 예술 자체였다. 그러나 그녀의 해방론에 가까운 여성관은 전통적인 여성관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것이었다.
남성 중심 사회에 대한 그녀의 대범한 도전은 불행의 신호탄이었다.
근대 신여성들의 삶이 그랬듯이 그녀의 화려했던 삶은 한순간에 사라졌다.
동아일보 羅蕙錫 (0) | 2014.12.25 |
---|---|
한국여성운동사 (0) | 2014.12.25 |
한서율력지 (0) | 2011.07.31 |
[스크랩] 삼탄 이승소의 문집(삼탄집)과 시, 문장 (0) | 2010.03.19 |
[스크랩] 재미있는 한자여행 (0) | 2007.04.14 |
한서율력지
한국여성운동사 (0) | 2014.12.25 |
---|---|
나해석 v 이상 (0) | 2014.12.18 |
[스크랩] 삼탄 이승소의 문집(삼탄집)과 시, 문장 (0) | 2010.03.19 |
[스크랩] 재미있는 한자여행 (0) | 2007.04.14 |
이렇게 부려뜨려도 되는 건가요? (0) | 2007.01.20 |
삼탄 이승소는 조선조 초기 집현전 출신 학자로 대표적 관각문인이다. 公의 묘는 본래 서울 상도동에 있었으나 1968년 도시계획 확장으로 천장하게 되어 직계후손들이 많이 살고 있는 충주시 이류면 완오동으로 옮기고 이류면 매현리 서당동에 제실인 청간사(淸簡祠)를 지었다.
한편 이승소는 충청도관찰사 시절 충청 일대를 돌며 많은 시를 남겼다.
공의 유고문집인 삼탄집에는 500여편의 시와 문장이 실려 있는데 현재 국역된 것은 50여편 정도다.
三灘集序(삼탄집서)
三灘先生은 文章으로 世上을 울린 분이다(以文章鳴干世). 같은 시대의 文章大家에는 金守溫(字는 文良, 號는 乖崖), 徐居正(字는 剛中, 號는 四佳亭), 姜希孟 (字는 景醇, 號는 私淑齊) 같은 이가 있는데 모두 문단(文壇)을 주도한 인물들이다.
문장의 특징을 들면 괴애(김수온)는 雄渾(웅장하고 막힘이 없음)하고 사가정(서거정)은 圓滑(매끄러움)하며 사숙제(강희맹)는 淸頸(맑고 힘참)하여 각기 그 아름다움을 專有하고 있지만 정밀하고 뜻이 깊으며 따스하고 넉넉하며 훈훈하고 문장의 법도가 한치의 어긋남이 없는 점에 이르러서는 모두가 삼탄(三灘)을 추앙하며 그에 미치지 못함을 자인하였다. 나는 나이 어려 그 어른의 모습을 직접 뵙고 음성을 들어보지는 못했으나 선비들 사이에서 그 어른의 풍모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니 훤칠한 키에 얼굴은 白玉같이 희고 수염은 신선 같았으며 善을 실천함에 부지런하고 즐겼으며 사람을 끌어올려 씀에 지칠 줄을 몰랐다 하니 참으로 儒林의 泰山北斗이셨다. 내 壯年이 되어 四方에 노닐 때 곳곳에서 題詠(제목을 정하여 詩歌를 지음)하는 사이에 선생의 작품을 얻어볼 수 있었는 바 읽어본즉 처음에는 어렵다고 느껴지지 않았으나 생각을 펼쳐 적절한 표현을 해보려고 온종일 사색에 잠겨 신음해도 선생의 措辭(적당한 문구사용과 배치)에는 도저히 근접할 수 없음을 알고 선생의 높은 재주를 더욱 절실하게 깨달았다. 선생께서는 文藝의 극치에 이미 도달하였음에도 마음이 흡족하지 못하시고 작품을 이룩하시고는 곧 원고를 버리곤 하셨는데 마침내 선생이 세상을 뜨시매 上(成宗大王)께서 문장의 모범을 보고자 사신을 집으로 보내어 선생의 遺文을 求하매, 선생의 아들 熙가 흩어져 있던 若干編을 수습하여 정리해 올리니 上께서 깊이 歎賞(감탄하고 칭찬함)하시고 간행하려 하던 차에 미처 그 말씀을 내리지 못하시고 승하하시니 안타깝기 그지없는 일이다. 더구나 문집의 소재마저 알 길이 없어 識者들 모두 몹시 애석하게 여기고 있었는데 甲戌年에 선생의 外孫으로 현재 함경도 都事로 있는 李君이 任地로 떠남을 알리려 나에게 와서 청하여 말하기를 나의 外祖父님 詩文이 아직 발간되지 못하였으니, 이름을 내세워 後世에 전함이 비록 外祖父의 뜻은 아니지만 그러나 子孫된 자로는 차마 그 시문이 아주 없어져 버려 전해지지 못하게 방치할 수는 없는 일이요. 나의 外叔(삼탄공의 장남 李熙)은 현재 杆城郡守로 있고 나 또한 함경도 수군절도사의 幕僚로 있어 相去가 불과 수백리라. 외숙과 생질이 힘을 합치면 成事할 수 있을 것 같으니 그대 한마디 베풀어주시면 編首의 머리말로 삼겠오(序文을 부탁한 말) 내 응하여 말하되 선생의 문장은 人口에 膾炙(사람들 입에 오르내린지)된지 오래요. 굳이 간행하지 않아도 될 일이니 序文은 또 무슨 필요가 있겠오? 그러나 刊出하지 않으면 永傳할 수 없고 서문은 간행하게된 사유를 기술하는 것이니 내 어찌 굳이 사양하겠오? 우리나라 문헌은 예로부터 전해내려온 바 있으니 저 文昌侯 催致遠같은 이는 아주 오래전 인물이요. 文烈公 金富軾이하 名文章家도 열분이나 되고 小說類까지도 간출되지 않음이 없고l 지금까지도 세상에 유포되어 일반인이 얻어볼 수 있게 되었으니 당시의 문학 崇尙熱을 알 수 있도다. 朝鮮朝의 文治의 盛함은 高麗朝에 비해서도 몇배나 높아 뛰어난 큰 재주들이 앞뒤 연이어 일어나 그 작품이 인쇄되어 널리 전해지는 책이 날로 뒤섞여 나오니 지금 三灘集이 李君의 勞苦를 기다려 출판되려는 것도 이 추세의 한 증거이다. 今世의 재주 후세에 전할만한 이 어찌 적다 할 수 있으랴 또한 지금 세상의 관습이 점점 옮겨가 옛날로 가는 것은 아닐까?
옛사람이 말하기를 文章은 世道(세상을 올바르게 다스리는 도리)와 함께 오르내린다 하였으니 때문에 세상의 治亂(다스려짐과 어지러움)을 占치려는 자 반드시 문장에서 그 실마리를 찾았던 것이다. 이 삼탄집이 전해짐으로써 조선조 文明의 다스림이 중국의 당(唐)나라 송(宋)나라 보다도 우뚝 솟아있고 久久한(오랜 역사의) 고려 보다도 뒤지지 않다는 것을 더욱 알게 되리니 李君의 출판의 공적 세상에 裨益됨이 어찌 많지 않으랴! 李君의 이름은 壽童이요. 나와는 두 번이나 같은 관직에 있었는 바 그릇이 크고 취향이 高遠하며 글 또한 잘하는 분이다. 外家의 법도를 지켜 선생의 외손된 직분을 멋지게 수행한 이 바로 이분이 아니겠는가?
甲戌年 十月上旬에 宜寧 南袞 삼가 序하노라
[註]: 삼탄집 서문은 申用漑의 서문과 南袞의 서문이 있는데 이는 남곤의 서문이다. 남곤은 佔畢齊 金宗直의 문인이며 대제학, 영의정을 지낸 문필이 뛰어난 인물인데 이 서문에서 삼탄공의 시문은 일견 쉬운 것 같으나 생각을 펼쳐 표현함에 있어 도저히 따를 수 없는 높은 경지에 있다고 격찬하고 있다. 더욱이 그는 삼탄집을 읽어봄으로써 조선조의 문학(文明) 수준이 중국의 문학 황금기였던 당, 송 보다도 오히려 높고 고려시대 문인들 보다 결코 뒤지지 않는 높은 수준임을 깨닫게 되리라고 자부하고 있음은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이 서문을 쓴 甲戌년은 1514년 中宗9년이다.
世宗挽詞五首(세종만사5수)
三聖(太祖, 定宗, 太宗) 이어받아 王位에 오르니
그 어른들 서로 전해주심은 오직 한마음
(中庸의 大德으로 天下를 다스려야 한다는)
民心은 德있는 이를 사모하고 따르며
하늘 또한 진심으로 도우셨지요.
다만 千歲누리시기만 기원하였는데
八音 고요히 멎을 줄 어찌 알았으랴
백성들 靈前에 너도나도 눈물 흘리니
大王의 恩澤 마음속 깊이 사무침일세
周나라는 代代로 德을 쌓아 國運 오래 이어졌고
商나라도 德을 닦아 상서로움 나타났듯
公子들 모두 厚德하시고
子孫들 많이 멀리 퍼지셨네
대왕은 진심으로 九族과 敦睦하시고
三聖의 陵寢찾아 政事 물으셨는데
마침내 아드님께 왕도정치 물려주시니
그다지도 빨리 가심은 세상일 싫어지셨나이까
千고개 넘어 太平盛代 여시고
在位 30여년에
나라 경영의 아름다운 계책 확실히 세우셨네
事大의 정책 항상 독실하였고
交隣에는 信義 베풀어 믿음 얻으셨지
부지런하고 검소함은 禹임금 본받았고
周文王의 大謨 크게 드러냈지요.
五月喪期 임박하니
힌 상복에 지팡이 짚고
높은 山(대왕릉) 바라보며 달려가네
箕子의 洪範九疇 가슴에 안고
백성들 五福 누리도록 힘쓰셨으며
대왕의 光革은 堯 임금과 合致(합치)하셨네
태평에 기여하는 농사의 功(공) 익히 알으시고
꼴꾼 나무꾼에게도
물으셨다오.
禮樂은 주나라 雅樂같은
아름다운 음악 일으키시고
衣冠제도는 漢나라를 앞질렀다네
위대한 이름 아름다운 책에 실려
햇빛 별빛처럼 萬古에 빛나오리
대왕의 학문은 하늘이 내린 재주로 이룩하셨으며
神妙한 功德은 조화의 中樞를 잡으셨네
天文보아 天機에 맞는 政事 베푸셨고
사냥그물 칠 때에도 한쪽은 열어놓고
세 방위만 그물로 막으셨다네
德은 하늘과 땅만큼 넉넉하셨고
恩惠는 깊어 雨露처럼 백성들 적셔주셨네
小臣 생각할 수록 망극하여
피눈물 흘리면서
먼 하늘 바라보며 긴 한숨짓네
[註]: 八音은 金, 石, 絲, 竹, 匏(박), 土, 木, 革 등 재료로 만든 8종의 악기 즉, 모든 악기를 말함. 書經舜典에 “帝乃殂落커시늘 百姓은 如喪考妣하고 三載를 四海遏密八音하니라”하였다. 즉, 堯 임금이 승하하자 백성은 부모상을 당한 것처럼 슬퍼하였고 三年동안 온 세상에 음악소리가 끊어져 고요하였다.
箕範: 箕子가 周나라 武王에게 일러준 洪範九疇(홍범구주는 禹가 曉舜 이래의 사상을 집대성한 천지의 大法, 즉 정치 도덕의 기본적 九法
삼탄공은 세종대왕의 陵을 지금의 여주 영릉으로 옮길 때 遷陵誌石文을 썼고(왕의 묘지문은 당대의 최고문장이 쓰는 법) 또 이 만장 다섯수를 지었는 바 세종대왕의 정치는 중국의 聖君 堯, 舜, 禹王, 湯王, 文王, 武王의 善治에 비유하고 학문은 天縱之聖 孔子에 비유했다.
立石釣魚(漢都十詠中一)/立石浦에서 고기 낚으며
우뚝 솟은 큰바위 강물을 굽어보고
바위아래 강물은
百頃(백경)의 澄潭(징담)되어 유리처럼 푸르렀네
물가 이끼 낀 돌 위에 앉아
한가로이 낚시대 드리우면
노니는 물고기들 미끼를 희롱하며
잠겼다 뛰었다 오르내리고
옥빛 쌀가루 나물죽 먹음직 해도
아무렴 맛있는 회무침을 어이 당하리
좋은 술 가득가득 銀병 기울여
강가에 흠뻑취해 누어 밝은 달 바라보니
酒德頌 이름높은 伯倫의 멋 닮았구료
[註]: 漢都十泳은 서울 十勝을 읊은 詩.
藏義尋僧(장의심승), 濟川翫月(제천완월), 楊花踏雪(양화답설), 盤松送客(반송송객)
木覓賞花(목멱상화), 箭串尋芳(전관심방), 麻浦泛舟(마포범주), 興德賞蓮(흥덕상련)
鍾街觀燈(종가관등), 立石釣魚(입석조어)를 일컬음인데 箭串(전관)은 ‘살곶이’
立石浦는 지금의 성수대교 북단 응봉 아래쪽의 깍아지른듯한 岩石이 있는 곳.
頃(경)은 전답의 면적단위 一頃은 百畝(백묘), 一畝는 百步, 步는 坪, 즉 一頃은 萬坪. 劉伶(유령) 字는 伯倫, 晋의 詩人 술을 즐겼으며 玩籍(완적), 嵆康(혜강)과 교유, 竹林七賢의 한사람, 酒德頌의 作者, 그는 주덕송에서 ‘幕天席地(하늘을 막으로 땅을 자리로 삼다’라 하였다.
[감상]: 낚시터에서 갓 잡아올린 농어회쯤 안주하여 좋은 술에 흠뻑 취해 강가에 누어 明月을 바라보니 劉伶이 酒德頌에서 幕天席地라 읊은 심정 가슴에 와 닿아 卽吟한 詩이다. 大自然과 하나되는 醉中仙趣 아니런가
無 題
老境에 詩狂되니
술과 어울리면 더욱 미쳐버리지
醉中에 神仙되는 우와한 멋
진정 가히 없어라
그대의 집 술 익거들랑
모름지기 날 부르게나
하루에 千잔을 기울이며
人生百年 보내리라.
[감상] : 三灘公의 詩는 씹으면 씹을수록 단 맛을 더한다더니 과연 그렇도다. 어려운 말 하나 쓰지 않고 平淡하게 쓴 글인데 어쩌면 훈훈한 뒷맛이 이렇게도 오래갈까? 특히 끝귀 ‘日飮千杯 送百年’은 李太白의 ‘會須一飮 三白杯’를 능가하는 멋과 여운을 남기는 絶唱이 아닐수 없다.
이 시는 사위 學正 李孟思의 詩에 次韻한 詩인데 翁壻간의 훈훈한 情까지 담겨있다. 學正은 성균관 8品職.
매미그림에 붙여(題 畵蟬)
비 개인 시냇가 수양버들엔
파란 내 가로 껴있고
매미들 높은 가지에서
늦게나마 날개임 즐기며 노래하네
일평생 바람과 이슬만 먹고
깨끗하게 살 줄 스스로 아니
伯夷의 淸白함에 비길만 하네
古書앞에 香피우고 쓸쓸이 앉아
黃庭經(황정경) 內外篇 다 읽고나니
오직 자연의 天眞속에 빠져들어
말 나눌 상대없이
다만 그림 속에서
바람만 마시고 사는 저 神仙(蟬)과 마주 대할 따름일세.
[註] : 黃庭은 黃庭經, 道敎의 경서.
[감상] : 바람과 이슬만 먹고사는 매미의 깨끗함을 伯夷의 청백함에 비기고 道敎的인 無慾이 無我境에서 그림속의 風露神仙 매미와 상대한다는 詩畵一如의 仙風넘치는 詩이다.
매 화(梅花)
羅浮山 神仙이런가
눈 서리같은 하얀 자태
해 저문 싸늘한 하늘아래
대나무 가지에 기대있네
마지막 물총새 梅花 香氣속에서
아름다운 노래 부르다 그치고
뜰 가득 매화가지 성긴 그림자
달 서쪽 하늘에 기우러가네
[註] : 羅浮山은 廣東省 增城山 동쪽에 있는 산으로 그 산록은 매화의 명소로 유명하다. 라부산 신선이란 바로 梅花나무를 뜻한다.
[감상]: 눈이나 서리같은 淸楚한 매화의 자태며 달 아래 성긴 가지 그림자 고요한 대지위에 아른거리는 광경. 마음 가라앉히고 명상에 잠기게 하는 꿈같은 詩境늘 불과 28字로 멋지게 그려내고 있다.
題 畵屛(그림병풍에 붙여)
1. 騰王閣(등왕각)
山顚傑閣俯江堧(산전걸각부강연) 更向高秋敞綺筵(경향고추창기연)
座上何人揮彩筆(좌상하인휘채필) 盡收佳景八詩聯(진수가경팔시련)
강가를 굽어보는
산마루 웅대한 殿閣에서
드높은 가을하늘 아래
큰 잔치 벌렸구려
좌상에 고운 붓 휘두르는 이 누구이런가
아름다운 경치
모조리 붓으로 쓸어담아
멋진 詩句로 펼쳐놓았네.
[註]: 등왕각은 唐高祖 李淵의 아들 元嬰이 江西省 南昌縣의 洪州刺史로 있을 때
지은 전각인데 그때 원영은 勝王에 봉작되었으므로 등왕각이라 이름하였던 것이다. 그 뒤 당고조 咸亨2年에 閻伯嶼(염백서)가 洪州守護가 되었을 때 등왕각을 중수하고 구월구일에 빈객을 초대하여 큰 연회를 베풀었다. 염백서는 미리 그의 사위 吳子章에게 序文을 짓게하여 놓고 당일 연석에서 사위자랑을 하려고 하였다. 좌중의 빈객들에게 紙筆을 내어주고 등왕각 서문을 짓도록 청하였으나 아무도 지어내는 이 없었다. 이 때 最年少靑年 王勃은 아버지 王福畤의 任所인 交趾로 가다가 이 잔치에 참석하였는데 紙筆이 자기 손에 들어오자 一筆揮之로 써내려 간 것이 그 유명한 만고의 명문 ‘등왕각 서문’이며 다음 詩로 끝맺음 하였다.
騰王高閣臨江渚(등왕고각임강저) 佩玉鳴鑾罷歌舞(패옥명란파가무)
畫棟朝飛南浦雲(화동조비남포운) 朱簾暮捲西山雨(주렴모권서산우)
閑雲潭影日悠悠(한운담영일유유) 物換星移度幾秋(물환성이도기추)
閣中帝子今何在(각중제자금하재) 檻外長江空自流(함외장강공자류)
勝王의 高閣 강가에 臨해 있으나
몸에 佩玉 차고 수레에 방울 단
貴人들의 歌舞는 그친지 오래다.
아침에는 丹靑의 기둥에 나드는 남포의 구름
저녁이면 주렴밖에 흩뿌리는 서산의 비
한가로운 구름 물에 비추는 그림자
날로 유유한데
세사는 바뀌고 성상은 흘러
몇 춘추가 지났느냐
각중의 帝子는 지금 어느곳에 있는가
난간 밖의 장강만
하염없이 흘러가누나
[감상]: 삼탄공은 이 畵題에서 天才文士 王勃(왕발)이 승왕고각에서 강물을 내려다보며 一筆揮之로 名文名詩를 쏟아내는 광경을 곁에서 지켜보듯 생동감 있게 묘사해냈다.
2. 廬山瀑布
煙起香爐接五峯(연기향로접오봉) 飛流直下掛長紅(비류직하괘장홍)
驚雷殷殷鳴幽壑(경뢰은은명유학) 冷雨蕭蕭새半空(냉우소소새반공)
향로봉에 雲煙 이니
五老峯에 이어지고
나는 듯 떨어지는
긴 냇물 붉게 걸려있네
폭포의 우람한 우뢰소리
그윽한 골자기에 울려퍼지고
싸늘한 비(폭포수의 泡沫)
쓸쓸히 반공간에 뿌리네
[註]: 려산은 강서성 성자현 서북에 있는 山. 최고봉인 오로봉은 절경으로 이름남. 향로봉은 려산 서북에 있는 봉우리.
[참조]: 李 太白의 望廬山瀑布
日照香爐生紫煙(일조향로생자연) 遙看瀑布掛前川(요간폭포괘전천)
飛流直下三千尺(비류직하삼천척) 疑是銀河落九天(의시은하낙구천)
햇살 향로봉을 비추니
붉은 煙霧 일고
멀리 폭포수 바라보니
앞에 냇물 걸려있는 듯
나는 듯 三千尺을 곧장 흘러내리니
혹시 은하수 구만리 장천에서
떨어짐이 아닐는지
[감상]: 이태백의 廬山瀑布詩는 시각적인 면만 거시적으로 묘사하였으나 삼탄공의 시는 시각적인 면 뿐만 아니라 청각적인 면도 또한 폭포수의 포말이 사늘한 빗방울처럼 半空에 뿌려지는 섬세한 부분까지도 묘사하였다.
畫 四景
一江春水碧於藍(일강춘수벽어람) 江上靑山削玉簪(강상청산삭옥잠)
隔岸桃花開處處(격안도화개처처) 武陵桃園正難尋(무릉도원정난심)
山色空濛翠欲流(산색공몽취욕류) 村家依約樹陰稠(촌가의약수음조)
風帆萬里隨潮落(풍범만리수조락) 興入江南白鷺州(흥입강남백로주)
秋容如洗碧天高(추용여세벽천고) 楓落吳江湧雪濤(풍락오강용설도)
一陣西風吹正急(일진서풍취정급) 似聞山木響颼颼(사문산목향수수)
千林萬壑白皚皚(천림만학백애애) 天地中間絶點埃(천지중간절점애)
想得剡溪明月夜(상득섬계명월야) 有人乘興棹船回(유인승흥도선회)
사계절 풍경을 그림
봄 강물 쪽빛보다 푸르고
강가에 있는 푸른 산은 옥비녀 깍아놓은 듯
저 건너 강기슭 곳곳마다 복사꽃 피니
어드매 무릉도원이런가 진정 찾기 어려웠네
비 갠 뒤 산색은 푸르름이 흘러내릴 듯
마을 속 집집마다 약속이나 한 듯 녹음 져 우거졌네
물때 맞추어 순풍에 돛달면 만리도 금방 갈 듯
흥이 난 김에 강남의 백로주나 찾아볼거나
가을하늘 모습 씻은 듯 푸르고 높아
단풍잎 오강에 지고 파도는 눈발처럼 용솟음 치네
한바탕 서녁바람(추풍) 급히 불어오니
산골 나무들 쉬쉬 흔들리는 소리 들려오는 듯
千숲 萬골짜기 하얗게 눈덮이니
하늘과 땅 사이 티끌 한점 없어라
剡溪의 달 밝은 밤 생각에 떠오르니
뉘 있어 달밤의 흥 못이겨 노저어 돌아올까
題壻李學正藏 八畫二篇(사위 이학정 집에 있는 여덞 그림중 두편)
1. 伯牙彈琴(백아탄금)
松陰滿地坐彈琴(송음만지좌탄금) 流水高山趣自深(류산고산취자심)
物我從來同一理(물아종래동일리) 當時六馬亦知音(당시육마역지음)
지면 가득한 솔그늘 아래 앉아 거문고 타니
흐르는 물 높은 산 곡조에 담긴 뜻 깊기도 하여라
사물이나 사람이나 본래 이치는 같은 것.
곡조의 깊은 뜻 어찌 鍾子期만 알았으랴
당시 임금의 수레 끌던 여섯 말도 알았다 하네
[註] : 六馬-임금의 수레를 끌던 여섯 마리의 말. “六馬不和하면 造父(周나라 穆王의 마부로 말을 잘 부리던 사람)도 不能以致”란 말이 있는데 마음이 맞지 않으면 일을 할 수 없다는 뜻이다.
“流水高山”은 다음 글을 참조
列子曰 伯牙善鼓琴(백아선고금) 鐘子期善聽(종자기선청) 伯牙鼓琴(백아고금) 志在高山(지재고산) 子期曰 善哉(선재) 峨峨乎若泰山(아아호약태산) 志在流水(지재류수) 子期曰 善哉 洋洋兮若江河(양양혜약강하) 伯牙所念(백아소념) 子期必得之(자기필득지) 呂氏春秋曰 鍾子期死(종자기사) 伯牙破琴絶絃(백아파금절현) 終身不復彈琴(종신불복탄금) 爲無足爲鼓琴者(위무족위고금자)
‘열자’에 이르기를 백아는 거문고를 잘 타고 종자기는 듣기를 잘했다. 백아가 거문고를 탈 때에 뜻이 ‘높은 山’에 있으면 종자기가 말하기를 ‘좋구나 높고 높은지고 태산과 같음이여’라 하고 뜻이 ‘흐르는 물’에 있으면 종자기가 말하기를 ‘좋구나 넓고 넓은지고 江河같구나’라고 하니 백아가 생각하는 바를 종자기가 반드시 해독했던 것이다. ‘여씨춘추’에 이르기를 종자기가 죽자 백아가 거문고를 부수어 줄을 끊고 종신토록 다시는 거문고를 타지 않았다고 하니 누군가를 위하여 거문고를 탈만한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 글이 ‘知音’의 출전. 즉 知音은 음악의 곡조를 잘 안다는 뜻으로 ‘자기의 속마음을 잘 알아주는 친한 벗’을 이르는 말.
2. 太白邀月(태백요월-이태백의 달맞이)
寀石江頭艤酒船(채석강두의주선) 更邀明月上靑天(갱요명월상청천)
雖然江月兩奇絶(수연강월량기절) 爭似金鑾殿上仙(쟁사금란전상선)
채석강에 배대어 술 싣고 푸른 하늘에 떠오르는 달맞이 하러가네
강과 달 모두 기막힌 절경이지만 허나 강과 달은
금방울 울리며 殿上에 오르는 酒仙의 멋진 모습 하도 맘에 들어
다투어 닮으려 시샘하였다 하네
이태백은 한말 술에 詩 百篇, 마시다 취하면 長安거리 술집에서 잠들어 天子께서 부르셔도 배에 오르지 않고 스스로 일컬어 臣은 酒中仙이라 하였다네.
李白이 술꾼들과 시중에서 취해 술집에서 잠들었는데 白蓮池에서 宴樂中인 唐玄宗이 이백으로 하여금 樂章을 짓게 하려고 불렀다. 그러나 이백은 만취상태라 좌우에서 물을 뿌렸다. 自稱 臣是酒中仙이라 하며 이끌려 천자앞에 나아가 단숨에 十四章의 시를 지었다 한다.
[감상] : 三灘公의 詩는 겉보기엔 쉬운 것 같으나 故事가 담기지 않은 것이 거의 없어 古今을 왕래하며 깊은 상념에 잠기게 한다. 특히 종자기만 知音했으랴!
六馬도 知音했다며 物我一致 사상을 일깨워 줌이라할지 강과 달, 自然美의 극치이지만 萬物의 靈長인 사람의 멋이 보다 더 우월하다는 기상천외의 발상을 그려내니 참으로 상상력 풍부한 大詩人이다.
領議政朴文憲公行壯(抄)-영의정 문헌공 박원형의 행장
公의 諱는 元亨 字는 之衢(지구) 號는 晩節堂(만절당)이니 신라의 宗姓이다. 遠祖 三重大匡 諱 奇悟가 계림에서 竹山으로 이거하여 자손들이 연이어 번연하여 드디어 죽산의 大姓이 되었다. 曾祖의 諱는 文瑤이니 고려에 벼슬하여 通直郞 起居郞 知制敎에 이르고 純誠佐理功臣 匡靖大夫 政堂文學 藝文館大提學 知春秋館事 上護軍 竹山君에 追贈되었으며 祖父의 諱는 永忠이니 우리 태조(이성계)를 섬겨 原從功臣 正憲大夫 判漢城府事를 지내고 물러나 崇祿大夫 議政府左贊成에 추증되었다.
아버님의 諱는 翶(고)이니 通政大夫 兵曹參議를 지내고 純忠補祚功臣 大匡輔國 崇祿大夫 議政府左議政 延興君에 추증되었다. 어머니는 陽城李氏 通政大夫 判司僕寺事 澣(한)의 따님으로 貞敬夫人에 봉해진 분이다. 永樂九年辛卯(1411 태종11년)八月初十日己亥에 公을 낳으시니 총명함이 월등하였다. 네 살 때에 유모가 이웃집 책읽는 소리를 듣고 공에게 말하기를 ‘남자는 장차 반드시 책을 읽어야 하는데 네 일이 걱정이구나’ 하였더니 공이 말하기를 ‘남들이 모두 읽으면 나도 읽을 것인데 무얼 걱정하오’ 라 하였으니 공의 기지와 총명이 이와 같았다.
성장하여 학문에 나아가매 한번 보면 곧 외우고 詩文 잘하기로 소문이 자자했으며 특히 科文에 뛰어나니 지금까지도 과거공부를 하는 이 모두 전해 외우며 모범으로 삼고 있다. 아버지 연흥군이 두 번 귀양가니 공이 모시고 따라가 아침 저녁 곁에서 떠나지 않고 요리를 스스로 담당하여 가장 맛있고 영양있는 음식을 마련해 드리도록 전력하니 고을 사람들 칭찬하지 않은 이 없었다.
[註] : 李澣 陽城李氏 八世孫으로 侍中公 諱 春富의 第四子, 孫子에 세종조 최고의 천문학자인 靖平公 諱 純之와 曾孫에 刑曹判書 弘文館提學을 지낸 文質公 諱 芮를 두셨으며 박원형은 본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 어른의 外孫이다.
世宗十四年壬子春(1432)에 司馬試에 합격하여 성균관에서 공부할 때 權採가 名儒로 大司成이 되어 공을 보고는 공의 도량과 능력을 퍽 존중하여 通鑑 綱目 宋元播芳 杜詩 등 서책을 주니 관중제생이 영광으로 여겼으며 이로부터 명성이 크게 떨쳤다. 甲寅春(1434)에 上께서 성균관에 납시어 先聖들을 뵙고 諸生들에게 친히 시험을 보였는데 公이 三等으로 뽑혀 啓功郞 禮賓直長 벼슬을 받고 여러차례 옮겨 宣敎郞 都梁暑令에 이르렀다. 丙辰(1436)에 아버지 延興君의 상을 당하니 禮를 넘을만큼 심히 슬퍼하여 몸을 상할 지경이었다. 아우 元貞과 三年 시묘하니 무릇 장례와 제사 법도는 모두 朱子家禮에 다라 행하였다.
戊午六月(1438)에 탈상하여 의금부도사가 되고 己未(1439)에 사헌부감찰로 正朝使의 서장관이 되어 북경에 가니 사신이하 모두가 공의 淸直함을 거려했다. 庚寅(1440)에 先務郞 承文院副校理에 오르고 辛酉(1441)에 병조좌랑으로 옮기고 壬戌(1442)에 承訓郞이 가자되었는데 임기가 차 바뀔 무렵 나라에서 長城을 쌓고 백성들을 城邊으로 이주시킬 때 兵曹사무가 몹시 바빠졌다. 判書 鄭淵이 공이 아니면 능히 다스릴 수 없다고 여겨 공을 머무르게 해달라고 특별 상계를 올렸다.
공이 판서의 거처로 들어와 일을 의논할 때면 판서가 반드시 얼굴 모습을 가다듬어 큰 손님 대하듯 하였고 물러갈 때에도 目送의 禮를 갖추었으며 ‘이 사람은 우리들이 한발짝 비켜주어야 할 사람이다’라고 까지 말한 적이 있었다.
伊川에 호종하였을 때 임금의 수레가 막 귀로에 올랐는데 돌아보니 行宮이 불에 타 화염이 솟구쳤다. 상께서 크게 놀라 공을 보내어 조사케 하였다. 공이 돌아와 아뢰기를 ‘밭갈이 하던 농부가 밭에 불을 지른 것이 뜻밖에 번진 것이었습니다’ 하니 상께서 공을 침실 안까지 불러들여 이르시되 ‘나는 백성들이 임금의 행차가 너무 자주 있어 이를 싫어한 나머지 불을 지른 것으로 여겼는데 이제 네 말을 들으니 안심이 되는구나 너의 명석함이 아니였으면 어찌 실정을 파악할 수 있었겠느냐’ 라 하셨다. 癸亥(1443)에 議政府 司僕提調로 임명되니 馬政을 능히 맡을 만한 사람을 천거할 때 모두가 공을 적임자로 지목했기 때문이다. 특별히 承議郞에 가자되고 司僕判官이 제수되었다. 이 해에 북경간 사신이 장계를 급히 올려 ‘우리나라 羅州사람이 표류하여 蘇州 杭州에 이르렀는데 중국 황제가 본토로 환국할 것을 명하였다 합니다’ 라 하니 상께서 공에게 명하여 羅州官吏가 상계하지 않은 죄를 국문하라 하시었다. 공이 가서 조사해 보았으나 처음에는 실정을 파악할 수 없었다. 再審해 본 결과 표류한 사람의 이름이 濟州사람과 같았다. 즉시 상계하기를 ‘이는 틀림없이 濟州사람인데 처음에 사실대로 고하지 아니했던 것입니다. 지금 敬差官 鄭光元이 濟州로 돌아가니 그로 하여금 실상을 조사케 하소서’라 하니 상께서 윤허하셨다. 공은 또 전라도 사람들은 遠行할 때에 반드시 錦城堂에 訴願狀을 바친다는 점을 상기하여 사람을 시켜 이 訴願狀을 모두 거두어 살펴보게 하였더니 한 訴願狀에 漂流人 이름이 나오고 특히 이 사람이 제주사람임이 확인되니 사람들 모두 그 神明함을 칭찬하였다. 표류인이 도착하자 상께서 ‘너 무슨 까닭으로 처음에 나주사람이라 하였는가’ 물으시니 대답하기를 ‘제주는 본시 중국땅이라 들었습니다 만일 사실대로 말하면 또 달리 추궁당할까 걱정스러워 그리 하였던 것입니다’ 라 하였다. 上께서 公을 불러 기뻐하시며 ‘너의 조사가 잘 이뤄졌다’ 라고 하시었다. 李思儉이 下三道牧場(충청 전라 경상의 목장)을 순찰할 때에 공을 추천하여 從事官으로 삼았다. 乙丑(1445)에 吏曹正郞 으로 전직되었다. 상께서 馬政을 중요시하여 다시 司僕判官을 제수하고 奉訓郞에 特加되었다.
[주]: 李思儉, 양성이씨 九世孫으로 靖節公 諱沃의 第三子 知中樞院事를 지냈으며 崇祿大夫 議政府左贊成 양성부원군에 추증되고 諡號는 恭昭이다. 朴元亨은 이 어른의 숙부의 외손자.
景泰二年 辛未(1451)에 文宗이 즉위하여 朝敬大夫司僕寺尹으로 특가되었다. 상께서 공을 중히 여겨 공을 이름으로 부른 적이 없으셨다. 壬申(1452)에 威毅將軍大護軍 知司僕院事 知製敎가 되고 癸酉(1453)에 中直大夫 守判僕寺事에 올랐다. 이해 十月에 世祖가 내란을 평정하고 공을 副承旨로 명하면서 宰相에게 이르기를 ‘朴아무개는 公事가 아니면 私門에 이르는 일이 없고(사사로이 나를 찾는 일 없고) 正道로만 다니는 사람이다’라 하였다. 물망에 오른대로 여러 벼슬을 거쳐 左承旨가 되었는 바 모두 知刑曹事를 겸하니 당시 죄를 논하여 아룀이 분명하고 진실하다는 칭을 받았기 때문이다. 乙亥(1455)에 세조가 왕위를 물려받아 都承旨에 오르고 推忠左翼功臣에 책훈되었으며 田80結 노비8口 白銀20兩 채단1表裏(겉옷과 속옷) 내구마 한필을 하사 받았다. 丙子三月(1456)에 공이 상계하기를 ‘매년 宰相과 耆老(70세 이상 정2품 이상의 문신원로)들이 3월3일과 9월9일에 宴會를 갖는 바 이를 耆英會라 하며 여기에서 마음껏 마시고 즐김이 오래전부터 내려온 관례입니다. 老臣들 여생이 얼마 남지 않았으니 위로의 예의를 폐할 수 없사옵니다’ 하니 상께서 그 말을 쫒아 司僕寺에 명하여 날짐승을 많이 사냥하여 하사하도록 하고 공에게 술과 안주를 내려 후하게 위로하라 명하시니 이 모임에 참석한 원로들 모두 感泣하였으며 耆英會에 內相(도승지)을 파견함이 이로부터 비롯되었다. 壬午(1462)에 吏曹判書로 癸未에 禮曹判書로 옮겼으며 새로 弘文館을 설치하여 공이 大提學을 겸하였다. 甲申(1464)에 명나라 給事中 金湜과 舍人 張城이 왔을 때 공이 또 接伴使가 되었는데 湜이 篆書로 晩節堂이라 써주고 城이 記를 지어 이로 인하여 호를 만절당이라 하게되었다. 崇政大夫議政府右贊成에 오르고 예조판서를 겸하였다. 成化元年乙酉(1465)에 知成均館事, 丙戌(1566)에 義禁府判事를 겸직하고 모두 贊成도 겸하였다. 하루는 상께서 묻기를 ‘요즘 학자들 취향이 어떻한가?’ 공이 대답하기를 ‘상께서 자주 諸生들을 끌어올려 經書를 講하게 하니 이는 近古에 드문 일입니다. 그러나 九流(아홉갈래의 학파)의 서적을 講하는 자도 있어 학자들이 자못 孔孟之道 외의 길로 가는 의혹이 있습니다’ 라 하니 상께서 한참 묵묵히 듣다가 이르기를 ‘이는 나의 죄이다’ 하시고 또 盧思愼을 불러 물으시니 대답하기를 박원형의 말이 맞습니다 선비들 심지어는 佛書를 읽는 자도 있습니다’ 하였다.
상께서 또한 어느땐가 술이 얼큰하게 오르자 공에게 ‘내가 부처를 좋아하는 임금인가?’ 하고 물으시니 ‘그렇습니다’ 라고 대답하였다. 상께서 ‘梁武帝와 비교하면 어떻한가’ 라고 또 물으시니 공이 감히 대답하지 못하였다. 상께서 또 다구쳐 물으시니 좌우가 모두 불안해 하던 차에 공이 서서히 대답하였다. ‘전하는 양무제 처럼 捨道奉佛 하고 神에 빠지는 제물을 식물성 일색으로 하지는 아니하실 것입니다’ 라 하니 상께서 웃으셨다. 四月初에 大匡輔國 崇?相梭? 議政府右議政 世子傅(세자의 스승)를 제수하였으며 공에게 전라 경상도 목장을 살펴보고 아울러 경상도 굼비상황도 고찰해보라고 명하였으며 延城君으로 君號를 바꾸고 예조판서를 겸하도록 하였다. 丁亥(1467)夏에 咸吉道 이시애가 군중을 모아 역모를 꾸며 절도사 관찰사 수령 등을 모조리 죽이고 험난한 지형을 이용하여 반역하니 상께서 장수를 파견하여 토평케 하였으나 유언비어가 그치지 않고 반란군 측에 붙는 자가 많아 특별히 공을 파견하여 순무하게 하면서 말씀하시되 ‘백성들이 전쟁에 휘말려 유리,방황하고 있으니 구휼대책을 크게 펼치지 않으면 군민간에 사망자가 한없이 나올 것 같으니 경은 감사이하를 상벌함에 상황에 알맞도록 조치하되 반드시 나의 뜻을 물어 할 필요는 없느니라’ 하셨다. 戊子三月(1468)에 좌의정을 배수하였다. 四月에 明皇帝가 姜沷, 金浦 등을 파견하니 상께서 太平館에서 연회를 베풀었다. 연회가 파하자 更衣室로 가셨는데 공이 그 때에도 접반사직을 맡고 있어 사무보고하러 들어가던 차에 상께서 冠帶를 하고 있지 않음을 보고 머뭇거리며 어전에 나아가지 못하고 있었다. 상께서 이를 바라보시고는 곧 좌우에게 관대를 가져오도록 명하면서 ‘이 사람은 나의 波黯(漢武帝의 諫臣, 직간으로 유명함)이다’ 라 하시며 공에게 말씀하시되 ‘내가 좌의정의 높은 자리에 있는 경을 굽히게 하여 접반사의 낮은 직책을 맡게 하였는데 경은 이를 어찌 생각하오’ 하시니 공이 대답하기를 ‘신이 비록 내세울 만한 것 없는 사람이오나 三公의 벼슬자리에 있는 몸입니다.(그러하니 적어도 다음과 같은 사리는 알고 있습니다) 중국 조정에서 만약 조선의 좌의정이 접반사를 맡았다는 들으면 전하의 事大之誠을 더욱 믿게될 것입니다’ 상께서 ‘사람들 이를 바꾸고자 하였으나 내 굳이 듣지 아니한 것도
또한 이 뜻이오‘ 하셨다.
乙丑(1469)정월초팔일 저녁에 아들 安性을 등잔아래 불러 이르기를 ‘오늘이 너의 생일이니 나에게 祝壽의 잔을 올릴만 하구나’ 하며 絶句 한수를 부르니
今夜燈前酒數巡(금야등전주수순) 汝年三十六靑春(여년삼십육청춘)
吾家寶物唯淸白(오가보물유청백) 好把相傳無限人(호파상전무근인)
‘오늘밤 등잔앞에서 술을 몇순배 들며 생각하니
너도 이젠 36세의 청춘나이 되었구나
우리집 보물은 오직 ‘淸白’ 뿐이니
내가 너에게 줄 것 이 밖에 또 무엇이 있으랴
고히 간직하여 자손만대 무궁토록 전할지어다
하였는데 公의 詩가 바로 公의 마음이로다. 그달 二十二日 丁丑에 正寢에서 卒하니 五十九世였다. 부고 전해지자 상께서 몹시 슬퍼하시고 三日동안 저자와 조정을 닫고 禮官과 弔祭官을 파견하여 葬事를 감싸고 도왔다. 公은 품성이 엄격하고 무게가 있었으며 도량이 넓고 너그러웠다. 평소에는 말을 빨리하지 않고 느긋하고 태연한 얼굴빛이였으며 따듯하고 훈훈하여 사람들 모두 친해질 수 있었으나 큰일 에 임하여 큰 결정 내릴 때에는 의젓하게 정의롭게 위협에 굴하지 않고 이익에 흔들림 없이 우람한 바위처럼 범할 수 없는 기상이 있었다. 매양 어전에서 군신들이 문제를 논의할 때 각기 소견을 고집하여 시비가 날카로울 무렵 공이 천천히 한마디로 실정과 이치에 맞는 결정을 내리니 아무도 반대하지 못하였다.
비록 세조와 같이 활달하고 常規에 구애받지 않은 호걸이라 할지라도 관대를 하지 않고서는 공을 보지 못하였으며 심지어 나의 汲黯이라 까지 찬양하였으니 公의 사람됨을 가히 짐작할 수 있도다.
題 三灘集後(삼탄집 뒤에 부치는 跋題)
文筆은 국가의 氣脈이다. 사람이 기맥이 없으면 그 몸을 보존할 수 없어 病이 날로 깊어갈 것이요. 나라에 기맥이 없으면 그 기강을 잡을 수 없어 다스림이 날로 저하될 것이다. 이 때문에 옛사람들은 文章의 순수함과 조잡함으로 世道의 興衰를 가늠하였던 것이니 治世의 音은 조화롭고 평온하며 衰世(쇠망해가는 세상)의 音은 衰傷에 차고 답답하며 亂世의 音은 원망이 턱까지 치밀면서도 표현하지 못하나니 이는 사람의 가슴속에 쌓여있는 것은 가릴 수가 없어서 呻吟(신음)하거나 글을 읽으면서도 읽기만 하고 듯을 몰라 답답해하는 心情들이 부지부식간에 言語와 文字 사이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公은 文治의 全盛期 에 詩文짓기를 배워 詩와 文의 어느쪽도 부족함이 없이 넉넉하며 同輩들보다 월등하게 뛰어나 四佳亭 서거정, 乖崖 김수온, 私淑齊 강희맹 등 三大家와 한 時代를 함께 달리며 名聲이 서로 오르내렸지만 문학의 여러 분야와 流派를 集大成한 면에 이르러서는 세 분 모두가 公을 으뜸이라 칭하였다. 나는 後進으로 공의 문하에서 공의 훌륭한 빛을 받들며 공의 餘香을 은혜 입음이 하루 이틀이 아니었는 바, 공의 몸가짐과 행동은 한가로우면서도 우아하시고 風貌는 白玉, 白雪처럼 하얀 光彩를 발하여 마치 神仙界에 사는 사람과 같았다. 사람들이 敬慕하여 精鍊된 金이나 美玉과도 같은 公의 一言半句라도 얻으면 모두 읊조리며 玩賞하여 손에서 놓아버릴 수기 없었다.
애석하도다! 사람이 떠나면 주변의 사물도 함께 가버리고 그 멋진 풍류와 담론도 다시는 접할 수 없음이여! 다만 없어지지 않고 남는 것은 오직 메아리 번지는 遺作 뿐인데 전술한 三代家의 詩文은 모두 선발의 혜택을 입어 이미 세상에 간출되었지만, 오직 공의 작품은 收錄하는 이 없었으니 어찌 識者의 큰 한탄이 아니랴! 이제 公의 詩稿 若干帙을 보니 온화하고 담백하며 넉넉하고 훈훈하며 語句 한 걸음마다 윤택하고 大篇은 태연 침착하고 短韻(짧은 시)도 정밀하고 아름다워 이를 읽으면 마치 사탕수수를 씹듯 씹을 수록 그 맛을 더하고 야들야들하여 싫증이 나질 않는다. 그 시를 보면 공의 높은 理想을 想起하게 되고 공의 마음을 느끼게 되는도다. 다행히 없어지지 않았던 것을 널리 들추어내어 간행하게 되면 그 아름다운 소리 笙簧(생황)이나 큰 종소리처럼 사람들 귀에 울려퍼질 것이고 사람들 입에 膾炙되어 儒道를 닦는 後生들로 하여금 그 위대한 본보기를 우러러 바라보며 詩經의 雅(아)와 頌(송)같은 正樂을 짓게되리니 국가의 氣脈을 북돋는데 기여하는 바 적지 않으리라
弘治 壬戌(1502년 연산8년)九月下旬에 昌寧 成俔 謹書하노라.
[註] : 成俔은 조선 성종때 예조판서 공조판서 대제학을 지내고 慵齊叢話(용제총화)를 지은 학자. 용제총화는 조선초기의 정치, 사회, 제도, 문화를 두루 살피는데 필수 불가결한 중요한 문헌.
西紀 二千三年癸未秋 李民成謹譯
한국여성운동사 (0) | 2014.12.25 |
---|---|
나해석 v 이상 (0) | 2014.12.18 |
한서율력지 (0) | 2011.07.31 |
[스크랩] 재미있는 한자여행 (0) | 2007.04.14 |
이렇게 부려뜨려도 되는 건가요? (0) | 2007.01.20 |
한국여성운동사 (0) | 2014.12.25 |
---|---|
나해석 v 이상 (0) | 2014.12.18 |
한서율력지 (0) | 2011.07.31 |
[스크랩] 삼탄 이승소의 문집(삼탄집)과 시, 문장 (0) | 2010.03.19 |
이렇게 부려뜨려도 되는 건가요? (0) | 2007.01.20 |
이 사건의 주체 추종자들과 ㅇㄴ터넷상에서 어지간히 다투었다.
국새(國璽)
“‘대한민국’ 4자의 마지막 ‘국’자의 받침 ‘ㄱ’을 두 획으로 나눠 쓴 것이 심사위원 10명 전원에게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전통 동양사상에서 20획은 ‘파괴’ ‘파멸’을 뜻하고, 21획은 ‘만물이 평안히 자라남’을 상징하기 때문”이란다. 1. 한글의 劃數로 오행상의 숫자로 길흉을 판단하는 동양사상의 출발은 언제 누구로부터 시작 된 전통사상인가? 이해할 수 없는 궤변이다. 2. ‘대한민국’ 획수가 20획이라 파멸의 의미가 있다고? 억지로 국새에 21획을 만들어 놓으면 국운이 평안해지겠는가? 3. 본질적으로 동양사상을 도입한다면 20획인 ‘대한민국’의 국호 자체를 “만물이 평안해지는”21획으로 바꿔야 할 것 아닌가?
( 21획 ---- 태한민국. 대한만국? ㅎㅎ ) 4. 세종대왕 이후로 “ㄱ"자가 2획이 되는 꼴은 前代未聞이다. 예술적 가치를 모른다 할 것인가? 5. 이시대의 “전통 동양사상가들”은 모두 휴가 중인가? 아니면 그들 또한 같은 생각일까?
6. 새로운 “한글 作名學”의 시대가 ? 열리려나보다.
보도내용에 따르면 당선작의 “국”자의 “ㄱ”자는 발표당시 동양사상 운운하며 분명 2획으로 충 21획으로 했다고 발표했다.
전대미문의 "ㄱ"자를 2획 만든 제작의도에 대한 논란이 일어나자 행자부는 해명에 나섰는데 작가는 마지막 글자인 '국'자에 힘을 받쳐주기 위하여 한 것이나 2획이라는 논란의 소지가 있으므로, 작가의 창작성도 존중하고 2획으로 보이는 점도 보완하기 위하여, '국'자의 받침 'ㄱ'부분의 약간 솟아있는 부분을 보다 완화하여 일부 수정하기로 하였으며, 향후 국새의 글자 획수에 대한 문제는 논의하지 않기로 하였음 “'ㄱ'부분의 약간 솟아있는 부분을 보다 완화하여 일부 수정하기로 했다”지만 끊어짐이 없이 각지게 제작되지 않고 조금이라도 솟은 부분이 보인다면 제작자가 의도한 2획 說의 미봉책에 불과하고 불난의 여지는 계속 될 것이다. 또한 “작가는 마지막 국자의 힘을 받쳐주기 위하여 한 것”이라고 말을 바꿨다. 구차한 변명에 불과하다. 아무리 미술, 전각, 도형, 건축등의 문외한이라도 첫눈에 잘 못된 이론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형상 힘을 받쳐주는 것은 안정감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래 왼쪽 그림을 자세히 보면 “국”자의 “ㄱ"모양은 대들보 역할을 하는 가로획이 기둥의 옆에 붙어있는 것처럼 보여서 힘을 느끼기는커녕 “국”자가 무너져 내릴 것 같은 불안한 그림으로 보인다.
그 후 21획은 ‘만물이 평안히 자라남’을 상징하는 전통 동양사상이라구? 으 ! ㅎㅎㅎ 21세기 박쥐 이빨 가는 소리 강은 썩고 뒤집히고 백조는 날아갔다.
혁대 조이기는 배고플 때 하는 행동이다. 어떤 다짐의 의미이다. よし요시 = よし 오냐 !. よし니들 두고보자 ! 혁대의 의미는 여기서도 보인다. 밥공기와 혁대 그리고 J e s u s 예수 이니셜일까? 장노님 쿼바디스 도미네요! https://youtu.be/I5s-Efu0unQ?t=17m30s |
한국여성운동사 (0) | 2014.12.25 |
---|---|
나해석 v 이상 (0) | 2014.12.18 |
한서율력지 (0) | 2011.07.31 |
[스크랩] 삼탄 이승소의 문집(삼탄집)과 시, 문장 (0) | 2010.03.19 |
[스크랩] 재미있는 한자여행 (0) | 2007.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