巻頭言권두언


 

R이라는 이니셜로 총 13회에 걸쳐 권두언이 실렸다.

「문학사상」(1976.6)에 번역 소개되면서 알려졌다.

당시 R이 필명으로 된 작품13편을 전집(2), 전집(3)도 별다른 설명 없이 싣고 있다.

 

문학사상자료조사연구실은 R이 이상의 이니셜이라고 추정되는 이유로

 

이 권두언이 실린 호부터 이상이 잡지 편집에 직접 간여했다는 사실과

그 권두언이 끊긴 호가 이상이 그 편집에서 손을 뗀 시기와 일치한다는 점,

문체, 어휘, 사상, 메타포가 그 무렵에 발표한 이상의 일문시와 동일하다는 점,

건축지이면서도 내용이 예술문학 등에 관한 것이라는 점,

이 아포리즘이 뒤에 독립된 시로 쓰여진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 등을 들고 있다.



朝鮮と建築『조선과 건축』

은 일제강점기 한국에서 건축분야의 대표적 직능단체로서 1922년에 창립한 조선건축회가 1944년까지 발간한 건축도시전문 월간잡지다.

당시 한국의 건축과 도시분야의 주요한 지식과 논의가 이 잡지를 통해 전개되었다.

각 호의 목차는 시대에 따라 일부 변동이 있으나 대체로 논설, 연구, 만록(漫錄), 시보(時報), 가정(家庭), 잡보(雜報), 회보(會報), 광고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橫尾信一郞이 편집인으로 되어 있고 본문은 주택개량문제, 주택의 위생문제, 난방문제 등 주택관련 각종 현안에 대한 내용으로 꾸며져 있다.

매 호마다 조선내 중요 건축물의 평면도를 싣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사진을 첨부하여 새로운 건축물을 소개하는 경우도 있다.

매 호의 끝 부분에 건축관련 신간 잡지 및 문헌을 소개하고 있고

조선건축협회(朝鮮建築築會)의 역원(役員)과 직원(職員)의 명단을 수록한 경우도 있어 관련 분야 연구에 참조가 된다.

식민지 조선의 건축사 및 당시 일제의 건축 수준을 알려주는 자료다.    - [주해연구] [3] 『조선과 건축』 및 건축 관련 비평문(서정일) -



다음 내용은 꽃신장사의 번역본이다.




                                              바로가기    巻頭言1   권두언1

                                        















































.


 



https://www.youtube.com/watch?v=afpXyEHcuho

 



 

 

모홀리나기 László Moholy-Nagy(1895~1946)

 

라즐로 모홀리나기는 1895년 바치보르쇼드에서 태어났다.

부다페스트대학교에서 법률을 공부하였으나, 1차 세계대전에 종군하여 부상하여 요양중 회화로 전향하였다.

비엔나를 거쳐 베를린에 온 모홀리나기는 1920-23년에 다다이즘과 구성주의의 중간에 위치하는 콜라쥬와 포토몽타쥬 작품을 제작하였다.

1922년 시인 카사크와 공저로 [새로운 예술가의 책]을 간행했고 이 해부터 1928년까지 바우하우스의 교수로 초빙되어 예비반과 금속 아틀리에를 담당하였다.

1922년부터 1930년까지 각고 끝에 대형 모빌 '-공간 변조기'를 제작하였다.

바우하우스를 떠난 후, 베를린, 암스테르담을 거쳐 런던에 정착해 2년간 체류하며 '공간의 변조기'를 발표한다.

나치의 압박으로 1937년 도미, 시카고에서 디자인 연구소를 창설하였다.

광선과 조형의 관계를 추구하여 회화, 플렉시글라스 조각, 키네틱 아트의 작품, 디자인, 디스플레이, 영화, 사진 등 다양한 분야에 끊임없는 호기심을 보이며 참구작업을 벌였다.

모홀리나기는 실험적 작품으로 키네틱 아트, 옵 아트의 새로운 연구 방향을 열어 주었다.

저서로는 [새로운 시각](1946), [운동에서의 시각](1947)이 있다. 모홀리나기는 1946년 시카고에서 사망했다.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01&contents_id=5691

 

 

 

 

 

http://www.wikiart.org/en/laszlo-moholy-nagy/composition-z-viii-1924

 

 

 

 

http://www.wikiart.org/en/laszlo-moholy-nagy/composition-z-viii-1924

 

 

 

사진작가 라즐로 모홀리 나기

http://blog.naver.com/chowonjj/100194305811

 

 

 

관련 글 더보기 http://blog.daum.net/gapgol1/16155718

 

 

 

 

 

 

 

 

 

 

 

 

 

 

 

 

 

 

 

 

 

 

 

 

 

 

 

 

 

 

 

 

 

 

 

 

 

 

 

 

 

 

 

 

 

 

 

 

 

 

 

 

 

 

 

 

 

 

 

 

 

.

'관련인물 > 모홀리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즐로 모홀리나기  (0) 2017.08.26
[필로디자인] -김민스, 그린비, 2007   (0) 2017.08.06










https://www.youtube.com/watch?v=pMVe-PG6suQ




천재 다빈치가 인류에 남긴 것들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4440430&memberNo=15460571&vType=VERTICAL



































 

 

 


                                               卷頭言 13

                                             권두언 13
 


 

 

                                                                            조선과건축    12集第12193312

 

 

        ×                                             ×

過去めに                                                   과거를 반성하기 위해

また将来めに                                             또한 미래의 계획을 위해

こそ歳末意義める。                                        바로 연말의 의미를 인정한다.

 

        ×                                            ×

一週一箇月一箇年                                              한 주, 한 달, 한 일 년

同様に                                                                   마찬가지로

つのポイントられる                            하나의 전환점을 구해 얻어진다.

しかし                                                                   그러나

かなポイントは                                              확실한 전환점은

一週ではらない                                                    한 주일로는 안 된다.

一箇月でも一箇年でも五箇年でも十箇年でも        한달. 한해. 오년. 십년에도

同様不足。                                                        마찬가지로 모자란다.

 

        ×                                             ×

この調子めば、                                                 이 상태로 진행​​되면

確定的ポイント                                           확정적인 전환점은

であるらしい。                                              사장돼 버린 것과 같다.

 

         ×                                              ×

はそれさ不可能かもれない。                            혹은 그것만은 불가능할지 모른다.

 

 

        ×                                               ×

元来人生結論ふことが                          원래 인생에 결론을 내린다 말하는 것이

無意義なのかもれない。                                         무의미한 것 인지도 모른다.

 

        ×                                              ×

永劫なる流転のうちに                                               영원히 유전하는 가운데

いかにして終始を                                                     어떻게 시작과 끝을

めることが出来るか。                                            요구 할 수 있는가?

 

        ×                                               ×

けれども、                                                              그러나

どの一齣をとつても                                                  어느 한 토막을 취해도

それはかな                                                           그것은 확실한

歴史ではある。                                                        역사에 남는 것

 

        ×                                               ×

、                                                              대저 그러므로

人生のうちにいて                                               인생 가운데 굳이

ポイントむるならば。                                   요점을 구한다면

 

        ×                                               ×

どの瞬間も                                                              어느 순간도

かなポイントなのである。                                확실한 '포인트'인 것이다.

 

               1933歳末・・・・・・・・・・H.R.                                        1933연말・・・・・・・・・・H.R.

 

 

 

 

 

 

-작업중-




                                    권두언 처음부터 보기크릭

 


































.





Daniel Barenboim: Beethoven Piano Concerto No. 5 in E flat major Op. 73

https://www.youtube.com/watch?v=pEYajsa8NeM


 

 

 

 

 

 


                                  卷頭言 12

                                  권두언 12

 

                                                  第12集第11193311

 

経験主義排撃せよ                       경험주의를 배격하라

そして技術本道れ                         그리고 기술의 본래 길로 돌아가라.

技術とは............全科学.......               기술은...... 모든 과학의 ......

........社会への........                              .......사회에 대한.......

媒剤である........                                   중간 매개자이다......

                                                            

                                                              1933.8 11.  R

 

             

 

 

원문

[#太字][#1段階大きな文字経験主義排撃せよ[#きな文字終わり][#太字終

 

そして技術本道

技術とは............全科学...

................社会への...............

媒剤である.......................................................昭和811R

 

 

 

 

 

경험주의
경험주의의 특징과 그 영향
근대 경험주의의 선구적 인물은 베이컨이다. 베이컨은 중세기까지 서양 학문을 주도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방법을 거부하고, 과학의 실험 정신에 근거해 새로운 학문 방법을 주창하였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 논법식 연역 추리로는 결코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없으며, 기껏해야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경험과 관찰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는 귀납법을 제시하였다. 우리는 그에게서 오직 관찰과 실험을 통해서 객관적인 진리만을 추구하는 과학자의 정신을 엿볼 수 있는데, 이러한 정신은 그의 ‘우상론’을 통해서도 잘 드러난다.

▶ 경험론의 시조인 베이컨은 자연 과학적 지식의 유용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인간이 자연에 대하여 알아낸 지식을 통해 자연을 지배함으로써 생활을 개선할 수 있다고 믿었다. 베이컨 이전의 과학이 “실험은 자연을 교란시킬 수 있다.”며 실험이라는 방법을 외면했다면, 그는 자연에 조작을 가함으로써 과학을 통한 인류의 진보를 꿈꾸었다. “아는 것이 힘이다.” 라는 그의 말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 우상론: 우상(偶像)이란 나무나 돌로 만든 인형을 뜻하는 라틴어 아돌라(idola)에서 온 말로, 무조건적인 숭배 대상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베이컨은 인간이 진리를 바르게 인식하지 못하는 이유가 실험을 거치지 않은 고정된 편견과 선입견 때문으로 보고, 이를 타파할 것을 주장하였다.

▶ 경험주의의 기본 입장
인간은 자연의 하인이요 해석자에 불과하기 때문에, 일이나 생각을 통해 자연의 질서를 관찰한 만큼만 알 수 있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그 이상은 결코 알 수도 없고 행할 수도 없다.

 

 

 

 

 

 

 

 

 

 

 

 

 

 

 

 

-작업중-


 


 


                                         권두언 13 바로가기
































,



Beethoven Sonata N° 29 '"Hammerklavier"' Daniel Barenboim 
피아노  https://www.youtube.com/watch?v=FwZsDzGY1XA




                          卷頭言 11
                          권두언 11
 
                                                                 조선과건축 12集第10193310

 

どんどんすばらしい圧力してるもんだから』          점점 굉장한 압력으로 눌러 오는 것이니까"

つてら                                                           고 그는 말하면서

一歩一歩後退して。                                                  한발 한발 물러선다.

그가

れに対抗力量もないのだが、                                 대체로 대항 할 수 있는 역량도 아니지만,

対抗意思さへえない。                                    대항하겠다는 의사마저도 보이지 않는다.

 

 

は                                                                              그는

後退してゐることには気付かぬかの                           후퇴하고 있는 걸 눈치 채지 못한 것 같다

、                                                                           혹은

事実くそうなのかもれない、                                    사실이 모두 그럴지도 모른다.

々に後退してゐるとえるのは、                                    우리가 후퇴하고 있다고 보는 것은

しい平和歩道を                                                   사실 새로운 평화로운 산책로를

んだのかもれない。                                                   선택한 것인지도 모른다.

 

とにかく                                                                       그나저나

是非今後された問題だが、                                그의 시비는 향후에 남겨진 문제지만

ふ                                                                       그가 말하는

そのすばらしい圧力しては                                         그 멋진 압력에 대해서는

々の意味、                                                               여러 가지 의미로

礼讃してかう。                                                      지금은 예찬해둔다.

 

 

                                                                  1933년 8월10일

 

 

 

 

 

 

 

 

 

 

 

 

 

-작업중-


                                                  권두언 12 바로가기











































,

 

Daniel Barenboim plays Beethoven Sonata No. 8 Op. 13 (Pathetique)

다니엘 바렌보임             베토벤 소나타 No.8, Op.13  비창


 

 

 

 

                      卷頭言 10
                      권두언 10
 

 

 

 

 

                                                      조선과건축 日文  第12集第819338

 

 

ホモリー・ナギー                                       1. 라슬로 모홀리 나기 Laszlo Moholy-Nagy, 1895~1946 

                                                              2종교적인 사람・・・・・ (homo religiosus = "uomo religioso")

 

                                                          

 

静力学的リズムのみが、                             정역학적 rhythm리듬만이

芸術要素たりるとふ                          예술의 요소로 볼 수 있다고 말하는.

エヂプト時代からする Egypt                     이집트 시대부터 존재하는

数千年来誤謬から、                                수천 년 동안의 오류에서

々は解放されねばならいない。                 우리는 해방 되지 않으면 안 된다.

 

々は時間感覚根本形式として、              우리는 시간감각의 근본 형식으로

芸術主要要素、                          예술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活動的なリズムであるとふことを宣言する  활동적인 리듬이라는 것을 선언한다.

                                                 

 

生物的構成生命現象形態であり、           생물적 구성은 생명의 현상 형태이다.

あらゆる人間的及宇宙的展開原則である  모든 인간적 및 우주적 전개의 원칙이다.

                                                                           

                                                                               1933. 8. 21   R.







 

 


 


-작업중-





                                         권두언 11 바로가기



 


























































.


 

 


 

                 

 

                     卷頭言9

                         권두언 9
 
                                                

                                                               조선과건축 12集 第719337

 

 

どうにかせねばならない                                    어떻게든 하지 않으면 안 된다

                    

そう意思だけでも助長したい                                    그렇게 의사만 조장하고.

それの集積されるとき                                                   그것이 쌓여갈 때

々の全経験が                                                            우리들의 전체 경험이

協力して発展的な                                                         협력하여 발전적인

智識形成する・・・・・・                                                    지식을 형성한다・・・・・・・・・

・・・・・建築発展段階て                                             ・・・・・・건축의 발전 단계에서

要求するところの智識は                                                요구하는 곳의 지식은

 

建設的経験のみでは不充分。                         건설적인 경험만으로는 불충분하다

   

                                                                                  1933R.

 

 

 

 

http://m.blog.daum.net/gapgol1/16155378

 

 

 『조선부락조사특별보고(朝鮮部落調査特別報告) 제1책 민가(民家)』(조선총독부, 1924)는

일본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건축학과 교수 곤 와지로(今和次郞, 1888-1973)가 조선총독부의 의뢰를 받아

1922년 9월부터 10월까지 한 달 동안 개성, 평양, 함흥, 김천, 전주, 대구, 경주 등의 살림집을 조사한 보고서이다.

그러나

이 보고서는 조선민가 조사를 통해 일본민가나 사찰의 기원을 찾는 데 방향을 두어, 조선민가의 유형을 일반형과 북부형으로 분류한 다음,

일본민가의 유형이 조선민가의 북부형과 유사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그는 조선의 온돌문화를 이동민족들에 의해 조선에 전파된 세계사적으로 발달된 문화양식으로 높이 평가하여

조선총독부의 ‘온돌폐지론’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1920년대 당시 온돌에 대한 일본인들의 생각은 에너지효율이나 위생 등 기능적인 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온돌은 너무 많은 열이 전달되어 조선인들의 행동을 둔화시키고 게으르게 만든다고 평하여

일본인들은 ‘온돌망국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http://luckcrow.egloos.com/m/2520491

 

 

 

 

 

 

 

 


 

원문

12集第719337

 

[#1段階大きな文字どうにかせねばならない

そう意思だけでも助長したい

それの集積されるとき

々の全経験協力して発展的智識

形成する・・・・・・・・・・・・・・・・・・・・・・・・

・・・・・・・・建築発展段階要求

るところの智識建設的経験のみで

不充分。[#きな文字終わり]    昭和8. 7. R.



-작업중-

 

 

 

                                        권두언 10 바로가기

 

 

 

 

 

 

 

 

 

 

 

 

 

 

 

 

 

 

.

Johann Strauss - Loreley-Rhein-Klänge, Waltz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Zubin Mehta)                  

요한 슈트라우스 1세   로렐라이와 라인의 메아https://www.youtube.com/watch?v=EXbQFeUkt5E

 

 

 

 


 

 


          

 

                        卷頭言 8

                           권두언 8
 
                                                                                      조선과건축 12集第619336

 

 

吾々は猿類から進化し、                                  우리는 원숭이류에서 진화하고

一つの原理に引摺られて                                  하나의 (진화론)원리에 이끌려

生きて来たと云ふ観方と                                  살아 왔다라는 견해와

 

吾々は太陽と地球の或る特定の状態に応じて       우리는 태양과 지구의 어느 특정 상태에 따라서

原形質が生命化し、                                        원형질이 생명화 했고,

その後刹那刹那に適応しつゝ                            그 이후 찰나 찰나에 적응하며

生きつづけて来たと云ふ観方とが                      살아 왔다라는 견해이다.

今吾々のうちで混乱してゐる・・・・・R                  지금 우리는 내심 혼란을 격고 있다.・・・・・・ R


 

 

 

 

 

 

 

 

 

 

 

 

 

 

吾々は猿類から進化し、一つの原理に引摺られて

生きて来たと云ふ観方と

吾々は太陽と地球の或る特定の状態に応じて原形

質が生命化し、その後刹那刹那に適応しつゝ生き

つづけて来たと云ふ観方とが

今吾々のうちで混乱してゐ



 

 

-작업중-

 

 

                                   권두언9 바로가기

 

 

 

 

 

 

 

 

 

 

 

 

 

 

 

 

 

 

 

 

 

 

 

 

 

 

 

 

 

 

 

 

.


 

 

Mozart - Piano Concerto No. 21, K.467 / Yeol Eum Son     손열음1986년 

 

 

 

            

                                                   卷頭言 7

                                                   권두언 7
 
                                                                           조선과건축 12集第519335

 


[#太字]創造・・・・・・・・・・・・・・                             창조・・・・・・・・・・・・・・

一面に於て直観を要し・・・・・・・                                   한편으로는 직관을 필요로한다.・・・・・・・        

他面に於て 直観を培養するところの                       다른 한편에서는 직관을 배양하는 곳의

科学的基礎を要する。                                            과학적 기초를 요한다.


そのことが 芸術であるか                                    그 것이 예술인지

非芸術であるかは問題でない。                                비예술인지는 문제가 아니다.

仕事をしつゝあるとのにもつては・・・・                         일을 하고 있다는 속성은 ....

創造することのみで充分だ・・・・R[#太字終り]     창조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R

                                      

 

                                      László Moholy-Nagy - Olly and Dolly Sisters, ca. 1925

                                                                                        올리 돌리 자매 1925

 

 

 

[#太字]創造・・・・・・・・・・・・・・

一面に於て直観を要し・・・・・・・・・・・・・・

他面に於て 直観を培養するところの

科学的基礎を要する。

そのことが 芸術であるか 非芸術で

あるかは問題でない。

仕事をしつゝあるとのにもつては・・・・

創造することのみで充分だ。・・・・・・・・R[#太字終り]

 전집(2), 전집(3)에서 누락됨.

 

 


 


   -작업중-



                                                  권두언 8 바로가기


















.


 

 

 

 





 

                    卷頭言6           권두언 6
 
                                                                         




おい                                                여보세요

誰れか                                             거기 누구

灯をつけて呉れよ                              불 좀 켜주오


手さぐりで ようやく                        손으로 더듬어서 간신이

此処まで来たんだ                              여기까지 왔어요

こんなに真暗らじや                           이렇게 깜깜하니

もう駄目だ                                     이제다 틀렸나


恐ろしくつて足が出ないや                  무서워 발이 떨어지지 않아


おい                                                이봐요

誰れか                                             거기 누구

灯をつけて呉れよ                              불 좀 켜주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조선과건축 1932년 11월호   第11集第11号(1932年11月)

おい 誰れか灯をつけて呉れよ

手さぐりで ようやく 此処まで来たんだ

こんなに真暗らじや

もう駄目だ 恐ろしくつて足が出ないや

おい 誰れか灯をつけて呉れよ


               1932...........11...........R



1932년 시대적 배경

 

31일      관동군은 열하에서 만주국 건국을 선언한다.

 

430일    안창호가 윤봉길사건에 연관해서 구속된  후

                이광수(香山光郞가야마 미쓰로) 시대가 열린다.

                 이후 노골적 친일파 들이 엄청나게 등장한다.

629일    사이토 마코토(齋藤實) 내각은 경시청에 특별 고등경찰부를 설치한다.

710일    방응모가 조선일보를 인수

    그 이후 이광수는 조선일보 부사장 겸 이사 편집국장, 학예부장, 정리부장등을 겸직하여 

    조선 신문계의 무솔리니'라는 별명을 얻는다.

1026일    이등박문을 추모하는 박문사가 완공되었다.

                 낙성식에는 조선총독 이광수, 최린, 윤덕영 등의 친일부역자 등 천 여명이 참석한다.

                 많은 조선의 지식인들이 자포자기한다.

1128      드디어 일제는 대륙을 위협하는 상해사변을 일으킨다.

 


어렵게 어렵게 총독부 건축기사가 된  22세의 - 이상- 또한

                                      친일부역 세력에 합류하라는 협박에 시달리는 때였다.

 





                                       -작업중-




                                                                  권두언7 바로가기



 

 

 























.

  http://program.sbs.co.kr/builder/endPage.do?pgm_id=22000003328&pgm_build_id=3401&pgm_mnu_id=13946&contNo=22000120253

 


 

                                 Composition XX 1924 László Moholy-Nagy  모홀리 나기 구성 20   1924

 

 

 




                                      卷頭言 5

                                              권두언 5

                                                                                     第11集第10号(1932年10月)

 

 


×                                                              ×  

 

ふたゝび・・・・                                               또 다시

ホモリー、ナギイ・・・・・・・・・・                      1. 라슬로 모홀리 나기 Laszlo Moholy-Nagy,

                                                            2. 종교적인 사람・・・・・ (homo religiosus = "uomo religioso")

 

 

感覚的訓練。                                               감각적 훈련。

触覚習練。                                                  촉각 습련

材料の経験、構造、                                      재료의 경험、구조、

組織、組成、集合体。                                   조직、조성、집합체。

創作活動の方法としての生物工学。                 창작 활동의 방법으로써 생물 공학

・・・・・・原則                                                   ・・・・・・원칙

・・・・・・責任                                                   ・・・・・・책임

・・・・・・形式者の自由。                                    ・・・・・・format's 구성 방식의 자유。


 

 ×                                                        ×  

 

装飾。                                                         장식。

古代にあつては、                                          고대에 있어서

オーナメントは、                                          ornament장식품은

しばしば機能と融合して居た。                        때때로 기능과 융합했다.

平面編成。                                                   평면 구성

コンポヂシヨン。                                          composition 구성 요소

コンストラクシヨン。                                    construction 작도 양식

伝説。                                                         전설

古典美の公理。                                             고전미의 Axiom공리

アカデミイ教育。                                          academy아카데미 교육.

芸術は上部構築をなす。                                 예술은 최상의 가치를 마련한다.

              

 1932...........10...........R                                    1932...........10...........R

 

 

                                ---------------------------------------------------------

 

 

 

Bauhaus 바우하우스 academy아카데미 교육

 

1919년 건축가 그로피우스를 중심으로 독일 바이마르에 설립된 국립 조형 학교.

공업 기술과 예술의 통합을 목표로 하여 현대 건축디자인에 큰 영향을 끼쳤으나,

1933년 나치스의 탄압으로 폐쇄되었다.

 

독일어로 '집을 짓는다'는 뜻의 하우스바우(Hausbau)를 도치시킨 것이다.

주된 이념은 건축을 주축으로 삼고 예술과 기술을 종합하려는 것이었다.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예비과정에서 반년간 기초 조형훈련을 받고 토목·목석조각·금속·도자기·벽화·글라스그림·직물·인쇄의 각 공방으로 진급한다.

거기서 형태교사에게 조형 이념을 배우면서 공작교사에게 실제적인 기술을 배워 익히는 것이다.

초기에는 공예학교 성격을 띠다가 1923년에 이르러서야 예술과 기술의 통일이라는 연구성과를 평가받기 시작하였다.

 

새로운 생산방식에 따른 디자인 방식의 도입은 물론,

공업화를 추구해 실제로 산업계와 제휴하기도 하였다.

 

이 시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1926년 그로피우스가 설계한 교사(校舍), 공업시대 특유의 구조와 기능미가 잘 나타난다.

그리고 1925년부터 바우하우스 총서14권을 간행하여 디자인 사고의 형성에도 기여한다.

1928년 그로피우스가 떠난 뒤에는 스위스 건축가 한네스 마이어(Hannes Meyer)가 그 자리를 이어받아

바우하우스는 다시 한 번 그 성격을 바꾸게 된다.

마이어는 바우하우스의 형식주의적인 면을 공격하고, 민중에 대한 봉사야말로 디자인의 역할이라는 것을 강조하면서,

건축이 모든 의미의 미적 과정이라고 역설하였다.

 

1930년 마이어가 데사우시와 관계가 좋지 못하여 바우하우스를 떠난 후에는 미스 반 데어 로에(Mies van der Rohe)가 교장으로 부임하였다.

그는 1932년 나치스의 탄압으로 데사우를 쫓겨나면서도 베를린에 사립 바우하우스를 설립하였으나 1933년 나치스는 이마저도 완전히 폐쇄하였다.

 

 

 

 

 

 



 

 

바티칸 미술관의 보물들 1편 https://www.youtube.com/watch?v=v4rzRGtqr7I

 

 

 

루브르 박물관 1/3-꿈의 궁전 루브르 https://www.youtube.com/watch?v=_Z8sTptGs1U

 

 

 


 


 






 

light paintings 빛 그림

 

 


원문

×

ふたゝび・・・・ホモリー、ナギイ・・・・・・・・・・

感覚的訓練。

触覚習練。

材料の経験、構造、組織、組成、集合体。

創作活動の方法としての生物工学。

・・・・・・原則・・・・・・責任・・・・・・形式者の自由。

       ×

装飾。

古代にあつては、オーナメントは、しばしば機

能と融合して居た。

平面編成。

コンポヂシヨン。

コンストラクシヨン。

伝説。

古典美の公理。

アカデミイ教育。

芸術は上部構築をなす。

               1932...........10...........R



조선과건축    1932년  10월호     日文
 

                                                             --해설  작업중---

.


                                           권두언6 바로가기












































































.

 

 

                                 Leda und der schwan      모홀리-나기  레다와 백조 1925

 



Beethoven - Symphony No. 2
다니엘 바렌보임 (Daniel Barenboim) 피아니스트, 지휘자

1942년생  아르헨티나  2002년 스페인 아스투리아스 왕자상

                             2000년 슈타츠카펠레 베를린 종신수석지휘자   공식사이트


 

 

 

                                           卷頭言 4

                                                    권두언 4


                                                                          

                                                                       조선과건축  朝鮮と建築    第11集第9号(1932年9月)


 

   ×                                                                         ×



ホモリー―ナギイ・・・・・・・・・・・                                   1. 라슬로 모홀리 나기 [László Moholy-Na gy 

                                                                       

 

 

 

×                                                                              ×

最初の不分別な原経験から                                        처음 불분별 한 원경험에서

継続的増加で生活全体が生じ・・・・・・・・                         지속적인 증가로 삶 전체가 발생 ········

基礎経験が発展し変形して                                        기초 경험이 발전하고 변형하고

精神的となり                                                          정신적으로 이룬

他のあらゆる経験と関聯して・・・・・・・・                          다른 모든 경험과 관련하여·······

建築にまで到達する。                                               건축까지 도달

 

   ×                                                                             ×

教育問題・・・・・・・・・・・・・・・・                                          교육문제 ········

      

  ×                                                                          ×

扇形の人間・・・・・・・・                                                   부채꼴 인간 ·······

原始人は一人で猟師 工芸家・                                       원시인은 외로운 사냥꾼 공예가

建築師・医師を兼ねた・・・・・・・・                                     건축사 의사를 겸한 ········

現代人はそ一つを選む。                                            현대인은 그 하나를 선택.

      

  ×                                                                            ×

未来は全的な人間を要求する。                                   미래는 완벽한 인간을 요구하는

     

  ×                                                                           ×

対照では人間は目的である。                                       비교에 있어서는 인간은 목적물이다.

      

     ×                                                                           ×

人間から性慾を控除すること。                                    인간에게서 성욕을 빼버리는 것

人間から繁殖を停止すること。                                    인간에게서 번식을 막는 것

人間は何れを希望するか。                                          인간은 어느 것을 바라는가.

 

        ×                                                                           ×

そのことを吾々は忘れてゐるかの様だ。                        그 일을 우리는 잊고 있는 듯하다.

      

       ×                                                                                                  ×


                                                                                                   1932.……9.……R





 

 

 

 

 

https://artblart.com/tag/budapest/

 

 

 

     

 

 

 

원문

ホモリー―ナギイ・・・・・・・・・・・・・・・・

       ×

最初の不分別な原経験から継続的増加で生活全体が

生じ・・・・・・・・基礎経験が発展し変形して精神的とな

り他のあらゆる経験と関聯して・・・・・・・・建築にまで

到達する。

       ×

教育問題・・・・・・・・・・・・・・・・

       ×

扇形の人間・・・・・・・・原始人は一人で猟師・工芸家・

建築師・医師を兼ねた・・・・・・・・現代人はそ一つを選む。

       ×

未来は全的な人間を要求する。

       ×

対照では人間は目的である。

       ×

人間から性慾を控除すること。

人間から繁殖を停止すること。

人間は何れを希望するか。

       ×

そのことを吾々は忘れてゐるかの様だ。

       ×

               1932.……9.……R





 

 

--해설 작업중---





                                  권두언   5   바로가기








                     

 

                    卷頭言3

                           권두언 3

                                            朝鮮と建築 第11集第8号(1932年8月)   조선과건축    1932년  8월호     日文

 

 

 

                  

8月は、スポーツに暮れた。                         8월 Los Angeles Olympics경기도 끝나가고 있다.

全人類の盛んな成長のうちに。                     전 인류의 왕성한 성장 중에

スポーツが単に                                          스포츠가 단지

勝敗を目途とする間                                    승패를 목표로 하는 것이라면

人類は何等寄与しない。                              인류는 어떤 기여도 하지 못한다.

しかし全人類の進化の要因として                  그러나 전 인류의 진화 요인으로

生存競争を掲げた。                                    생존 경쟁을 내걸었다.

・・・・それは後に夫れの結果としての               ・・・・그건  뒤에 대체적인 결과로

淘汰に書き改められたけれども                     심판 기록을 다시 고쳤다하더라도・・・・


これだけならば                                           이것 만 있다면

吾々は勝てばよいことになる。                      우리들은 이기면 그만이다.

夫れでは敗者は生存権を失ふか                       대부분 패자는 탈락해도

決して失なはない                                         결코 허물은 없다.

・・・・・・・・下等な生物のうちでも・・・・。               ・・・・하등인 생물 중에서도・・・・。

敗者は敗者としての                                      패자는 패자로서의

生存過程を形成しつゝある                             생존 과정을 형성하고 있다.


・・・・・・・・転位、                                            ・・・・위치가 바뀜

変形・・・・                                                     형식이 달라짐 ・・・・


例へば                                                        예를 들어

或る民族が滅失減少したと                             어느 민족이 멸실 감소했다고

吾々は信じてゐる                                         우리는 믿고 있다.

そして夫れが、                                            그리고 대개는

生存競争、淘汰に基因すると                          생존 경쟁, 심판에 기인한다고

考へることは間違ひである、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다. 

 

夫れ等は適応の原理により変形、                     대체적으로 적응의 원리에 따라 형식이 달라졌고

転位したに止まる。                                       위치가 바뀐 것에 불과하다.

生物が高等になればなるほど、                        생물이 고등이 되면 될수록

生存競争・・・・                                                생존 경쟁・・・・

淘汰は生物の進化の上には                             심판은 생물의 진화에는

何等の重要性も認められない・・・・                     아무런 중요성도 인정되지 않는다.・・・・


8.1932. R)                                                     (8.1932. R)








                   ◇

8月は、スポーツに暮れた。

      

                   ◇

全人類の盛んな成長のうちに。

     

                 ◇

スポーツが単に勝敗を目途とする間人類は何等寄与しない。

      

                    ◇

しかし全人類の進化の要因として生存競争を掲げた。

・・・・・・・・それは後に夫れの結果としての淘汰に書き改められたけれども・・・・・・・・

      

                     ◇

これだけならば吾々は勝てばよいことになる。

     

                    ◇

夫れでは敗者は生存権を失ふか

決して失なはない・・・・・・・・下等な生物のうちでも・・・・・・・・。

      

                       ◇

敗者は敗者としての生存過程を形成しつゝある・・・・・・・・転位、変形・・・・

・・・・例へば或る民族が滅失減少したと吾々は信じてゐるそして夫れが、

生存競争、淘汰に基因すると考へることは間違ひである、夫れ等は適応

の原理により変形、転位したに止まる。

生物が高等になればなるほど、生存競争・・・・・・・・淘汰は生物の進化の上

には何等の重要性も認められない。

                                   ・・・・・・・・(8.1932. R)


 


김연아 - 아디오스 노니노 https://www.youtube.com/watch?v=yUUwPuyZDtY

 




Los Angeles 1932 Summer Olympics

                                                            1932년 7월 30일  - 8월 14일


중화민국이 처음으로 올림픽에 참가하게 되었다.

193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남자만을 위해 따로 선수촌이 지어졌다.

그리고 여자들이 못 들어가게 경비가 삼엄했는데, 카우보이들이 지킬 정도였다고 한다.

총 127명이었던 여자들은 호텔을 이용했다.


조선의 선수 (황을수, 권태하, 김은배)들이 일장기를 달고 처음으로 올림픽에 참가하였다.

김은배 선수는 마라톤에서 6위에 입상하였다.

동아일보에서 김은배 6위 입상 소식을 보도하면서 일장기를 지운 일장기 말소사건이 일어났다.


이번 대회는 사상 최초로 사진판독이 실시됐다.

미국의 흑인 단거리 육상 선수 에디 톨란이 100m와 200m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남자100m결승에서 미국의 톨란과 멧커프가 거의 동시에 결승테이프를 끊었지만,

육안으로는 도저히 분간할 수가 없어서 결국 사진판독을 통해 톨란이 1인치(2.54cm) 앞선 것으로 판명됐다




                                                                     


 

                                                                      --해설 작업중---


                                                                  권두언4 바로가기

























.





朝鮮と建築『조선과 건축』

일제강점기 한국에서 건축분야의 대표적 직능단체로서 1922년에 창립한 조선건축회가 1944년까지 발간한 건축도시전문 월간잡지다.

당시 한국의 건축과 도시분야의 주요한 지식과 논의가 이 잡지를 통해 전개되었다.

각 호의 목차는 시대에 따라 일부 변동이 있으나 대체로 논설, 연구, 만록(漫錄), 시보(時報), 가정(家庭), 잡보(雜報), 회보(會報), 광고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橫尾信一郞이 편집인으로 되어 있고 본문은 주택개량문제, 주택의 위생문제, 난방문제 등 주택관련 각종 현안에 대한 내용으로 꾸며져 있다.

매 호마다 조선내 중요 건축물의 평면도를 싣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사진을 첨부하여 새로운 건축물을 소개하는 경우도 있다.

매 호의 끝 부분에 건축관련 신간 잡지 및 문헌을 소개하고 있고

조선건축협회(朝鮮建築築會)의 역원(役員)과 직원(職員)의 명단을 수록한 경우도 있어 관련 분야 연구에 참조가 된다.

식민지 조선의 건축사 및 당시 일제의 건축 수준을 알려주는 자료다.    - [주해연구] [3] 『조선과 건축』 및 건축 관련 비평문(서정일) -



이상이 잡지 편집에 직접 간여했다.


잡지에 실린 권두언의 내용은 시인 이상의 또다른 작품이다.

다른 작품과 연관지어  번역 해석해본다.




                         卷頭言2

                         권두언 2
 
                                  第11集 第7号(1932年7月)조선과건축 1932년 7월호




◇基本的な型体、或は色彩は、                           기본적인 형체 혹은 색채는

決して我々の創造では、生れない。                        결코 우리의 창조로 태어나지 않는다.


◇幾千、幾万年かの全人類の                             수천수만 년의 모든 인류의

原経験の堆積である。                                          원시경험의 축적이다.


◇けれども夫等が組合わされるところに、           그러나 대체적으로 같은 의견이 합치되는 곳에서

我々は、                                                            우리는

創造の境地を見出す。                                          창조의 경지를 찾아낸다.


◇鑑賞の範囲と、                                              감상의 범위와

自ら決定され様                                                    저절로 결정된 냥

若し建築のうちに、                                              만약 건축 중에

鑑賞的態度が許るされるならば。                            감상적 태도가 허락 된다면

               

             1932.7. R                                                                1932.7. R





第11集第7号(1932年7月)


◇基本的な型体、或は色彩は、決して我々の創造では、生れない。

◇幾千、幾万年かの全人類の原経験の堆積である。

◇けれども夫等が組合わされるところに、我々は、創造の境地を見出す。

◇鑑賞の範囲と、自ら決定され様 若し建築のうちに、鑑賞的態度が許るされるならば。

                                                                                            1932.7. R











 



































 








                                      번역  해설   -작업중-




                                                                        권두언3    바로가기
















































.


































































.



朝鮮と建築『조선과 건축』

은 일제강점기 한국에서 건축분야의 대표적 직능단체로서 1922년에 창립한 조선건축회가 1944년까지 발간한 건축도시전문 월간잡지다.

당시 한국의 건축과 도시분야의 주요한 지식과 논의가 이 잡지를 통해 전개되었다.

각 호의 목차는 시대에 따라 일부 변동이 있으나 대체로 논설, 연구, 만록(漫錄), 시보(時報), 가정(家庭), 잡보(雜報), 회보(會報), 광고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橫尾信一郞이 편집인으로 되어 있고 본문은 주택개량문제, 주택의 위생문제, 난방문제 등 주택관련 각종 현안에 대한 내용으로 꾸며져 있다.

매 호마다 조선내 중요 건축물의 평면도를 싣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사진을 첨부하여 새로운 건축물을 소개하는 경우도 있다.

매 호의 끝 부분에 건축관련 신간 잡지 및 문헌을 소개하고 있고

조선건축협회(朝鮮建築築會)의 역원(役員)과 직원(職員)의 명단을 수록한 경우도 있어 관련 분야 연구에 참조가 된다.

식민지 조선의 건축사 및 당시 일제의 건축 수준을 알려주는 자료다.    - [주해연구] [3] 『조선과 건축』 및 건축 관련 비평문(서정일) -


이상이 잡지 편집에 직접 간여했다.


잡지에 실린 권두언의 내용은 시인 이상의 또다른 작품이다.

다른 작품과 연관지어  번역 해석해본다.

 

 

 

Left: Laszo Moholy Nagy Self Portrait, c. 1910-1920, pen brush and ink on ivory wovepaper. /

Right: Laszlo Moholy-Nagy. Behind Back of God, Between Heaven and Earth. 1925

왼쪽 :     모홀리 나기 자상화 1,910-1,920 사이, 아이보리 종이에 펜 브러시 및 잉크. /

오른쪽 모홀리 나기. 하늘과 땅 사이에 하나님 몰래   1925

             출처:  http://www.widewalls.ch/laszlo-moholy-nagy-artist-of-the-week-june/

 

 

 


 


                               巻頭言권두언


 

R이라는 이니셜로 총 13회에 걸쳐 권두언이 실렸다.

「문학사상」(1976.6)에 번역 소개되면서 알려졌다.

당시 R이 필명으로 된 작품13편을 전집(2), 전집(3)도 별다른 설명 없이 싣고 있다.

 

문학사상자료조사연구실은 R이 이상의 이니셜이라고 추정되는 이유로

 

이 권두언이 실린 호부터 이상이 잡지 편집에 직접 간여했다는 사실과

그 권두언이 끊긴 호가 이상이 그 편집에서 손을 뗀 시기와 일치한다는 점,

문체, 어휘, 사상, 메타포가 그 무렵에 발표한 이상의 일문시와 동일하다는 점,

건축지이면서도 내용이 예술문학 등에 관한 것이라는 점,

이 아포리즘이 뒤에 독립된 시로 쓰여진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 등을 들고 있다.





                                                  巻頭言 1

                                                  권두언 1


                                                                               「 朝鮮と建築」조선과 건축  第11集第6号(1932年6月)



楕円形のスタンドに充満してゐる観衆は                            타원형 stand에 꽉 들어찬 관중은

その全体が形成しつゝある                                                  그  전체가 형성하고 있는

楕円形に就て、                                                                타원형에 대해서

意識してゐる場合は少ない                                                 의식하고 있는 경우는 적다.


個々の観衆は、                                                             각자의 관중은

個々の存在を意識してゐるのみだ。                                     각자의 존재를 의식하고 있을 뿐이다.


◇全体を見取る為めには、                                                 전체를 보기 위해서는

観衆としての立場を抛擲せねばならない。                            관중으로써의 입장을 버리지 않으면 안 된다.


◇其処に異状児を見出す、                                                 거기에서 이상아를 찾는다

天才の出現だ。                                                                천재의 출현이다.

この異状児よ、                                                                이 이상아는

既に観衆ではない。                                                          이미 관중이 아니다.


◇我々は、                                                                      우리는

其処に留意しなければならない。                                        거기에는 유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원문

◇楕円形のスタンドに充満してゐる観衆は、その全体が形成しつゝある楕円形に就て、意識してゐる場合は少ない。

◇個々の観衆は、個々の存在を意識してゐるのみだ。

◇全体を見取る為めには、観衆としての立場を抛擲せねばならない。

◇其処に異状児を見出す、天才の出現だ。この異状児よ、既に観衆ではない。

◇我々は、其処に留意しなければならない。

                              1932.6. R









 

 

 Send In the Clowns  어릿광대를 보내주오

 

멋지지 않아요?

우리는 좋은 콤비가 아니에요?

나는 지상에 있고, 당신은 공중에 있어요.

 어릿광대는 어디에 있을까요? 정말 즐겁겠지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뛰어다니는 사람, 움직이지 못하는 사람. 그러나 어릿광대는 어디 있는 것일까요?

어릿광대가 필요한데요. 문을 열려고 했을 때, 내가 찾은 것은 당신이었다는 것을 알았어요.

다시 등장해서 보통 때의 육감으로 대사도 확실한데,

거기에는 아무도 없었어요.

당신은 어릿광대 연극을 좋아하지 않으세요?

나의 잘못이었어요.

걱정은 하고 있었지만, 당신도 나처럼 바라고 있다고 생각했어요.

용서해 줘요,

당신. 하지만 어릿광대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요?

속히 어릿광대를 보내 줘요. 멋지지 않아요? 이상하지 않아요?

경력이 충분한 나인데, 타이밍이 빗나가 버렸어요. 어릿광대는 어디 있을까요?

그래요,

아마 내년에는.

 



                                                                                        -작업중-



                                                                 

 

 

 

 

 

 

 

 

 

 




모홀리 나기. 하늘과 땅 사이에 하나님 몰래   1925




                                                  권두언 2 바로가기

































.






































.




고향

                        백석, 1936



나는 북관(北關)에 혼자 앓어 누워서
어늬 아침 의원(醫員)을 뵈이었다
의원은 여래(如來)같은 상을 하고 관공(關公)의 수염을 드리워서
먼 녯적 어늬 나라 신선 같은데
새끼손톱 길게 돋은 손을 내어
묵묵하니 한참 맥을 짚드니
문득 물어 고향(故鄕)이 어데냐 한다
평안도(平安道) 정주(定州)라는 곳이라 한즉
그러면 아무개씨(氏) 고향이란다
그러면 아무개씨(氏)를 아느냐 한즉
의원은 빙긋이 웃음을 띠고
막역지간(莫逆之間)이라며 수염을 쓴다
나는 아버지로 섬기는 이라 한즉
의원은 또 다시 넌즈시 웃고
말없이 팔을 잡어 맥을 보는데
손길은 따스하고 부드러워
고향도 아버지도 아버지의 친구도 다 있었다  

                                                  《사슴》(1936)




.

'관련인물 > 백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폐 백석  (0) 2016.05.24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0) 2016.05.24



아름다운 조선말

                         


                                            1936.9.중앙


무관한 친구가 하나 있대서 걸핏하면 성천에를 가구가구 했습니다.

거기서 서도인 말이 얼마나 아름답다는 것을 깨쳤습니다.

들어 있는 여관 아이들이 손을 가리켜 '나가네'라고 그러는 소리를 듣고 '좋은 말이구나' 했습니다.

나같이 표표한 여객이야말로 '나가네'란 말에 딱 필적하는 것같이 회심의 음향이었습니다.

또 '눈깔사탕'을 '댕구알'이라고들 그럽니다.

 '눈깔사탕'의 깜찍스럽고 무미한 어감에 비하여 '댕구알'이 풍기는 해학적인 여운이 여간 구수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어서 어서 하고 재촉할 제 '엉야-'하고 콧소리를 내어서 좀 길게 끌어 잡아댕기는 풍속이 있으니

그것이 젊은 여인네인 경우에 눈이 스르르 감길 듯이 매력적입니다.

그러고는 지용의 시 어느 구절엔가 '검정콩 푸렁콩을 주마.' 하는 '푸렁'소리가 언제도 말했지만

잊을 수 없는 아름다운 말솜씨입니다.

불초 이상은 말끝마다 참 참 소리가 많아 늘 듣는 이들의 웃음을 사는데

제 딴은 참 소리야말로 참 아름다운 화술인 줄 믿고 그러는 것이어늘 웃는 것은 참 이상한 일입니다.

------

나는 맞춤법이라는 것이 여간 마음에 들지 않는다.

아니 맞춤법이 받는 대접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어떤 이들은 맞춤법을 금과옥조처럼 여기며 숭배하는데

애초에 법이라는 것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약속이므로 항상 유동적인 것이다.

맞춤법이란 형식적인 기준으로써 필요에 따라 쓰여지면 그만인 것 아닐까.

방언이 아니더라도 각자가 더 자유롭게 자기만의 말들을 쓰고 뱉었으면 좋겠다.

아는 미용사는 항상 의를 에라고 쓰는 버릇이 있다.

그는 맞춤법을 모를 만큼 무지하지 않다.

나는 그 '에'를 볼 때면, 무구한 생각에 잠겨있는 남자가 떠오른다.

어느 사장님은 '무난'을 항상 '문안'이라 써서 보낸다.

사장님은 종종 문안이 아니라 무난이라며 맞춤법을 지적받곤 하는데,

그럴 때마다 문안도 좋은 뜻이라며 하하 웃고 마는 것이다.

그의 '문안' 예찬은 아마도 지적질의 짜증이 고집으로 굳어진 것이겠지만

역시나 그의 글에서 '문안'을 볼 때면 그저 마음속으로 미소가 지어진다.

언어가 사람들을 더 자유롭게 해 줄 수 있지는 않을까.

죽어가는 말들이, 세상에 없는 말들이 세상 빛을 봤으면 좋겠다.



































































.



 Lean on Me - Michael Bolton 날 믿어



작업중







시인 이상은 지독히도 기독교를 싫어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시인 이상은  고린도서를 즐겨 읽을 만큼 기독교를 좋아 했다.



그의 멘토이기도 했던 시인 鄭芝溶정지용

자신의 둘째아들에게 가톨릭 사제 수업을 권유할만큼 독실한 신자였다.
이상은 처음으로 鄭芝溶정지용의 추천으로 《가톨릭 청년》잡지에 글을 올리게 된다.



모두가 이상 작품의 난해함에서 오는 해석의 오류 때문이다.

이상은 기독교를 좋아 했다.  

종교의 정치적 이용을 질타했을 뿐이다.































































;

'관련글 > 이상과 기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인 이상은 기독교를 좋아 했다.  (0) 2016.07.12


시인 이상은 지독히도 기독교를 싫어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시인 이상은  고린도서를 즐겨 읽을 만큼 기독교를 좋아 했다.

그의 멘토이기도 했던 시인 鄭芝溶정지용

자신의 둘째아들에게 가톨릭 사제 수업을 권유할만큼 독실한 신자였다.
이상은 처음으로 鄭芝溶정지용의 추천으로 《가톨릭 청년》에 글을 올리게 된다.



모두가 이상 작품의 난해함에서 오는 해석의 오류 때문이다.

이상은 기독교를 좋아 했다.





'관련글 > 이상과 기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은 기독교를 좋아 했다.  (0) 2016.07.12





향수 -정지용 (손준호와 김소현 이중창) Nostalgia -유샤인 영어번역판






정지용 시인의 시평

jinmun03

정지용 시인에 대한 소고

정지용 시에 대한 소고

목 차

Ⅰ. 서론·· ····························2

Ⅱ. 鄭芝溶의 生涯와 文學的 背景···················3

Ⅲ. 모더니즘 志向性······ ·················8

1. 이미지즘의 수용····· ··················8
2. 이미지 分析·························11

Ⅳ. 카톨리시즘의 志向性········· ·············15

Ⅴ. 동양정신의 志向性······ ·················20

Ⅵ. 결론······························25

※ 참고문헌····························28

Ⅰ. 서론

한국 現代詩의 정신적 틀을 살펴보면, 전통성과 모더니티 지향이라는 두 가지 경향이 서로 대립하면서도 상호보안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가운데 심화 발전되어 왔다. 1920년대 중반부터 활동하기 시작한 정지용은 한국 現代詩의 이러한 두 가지 흐름을 잘 조화시켜, 새로운 시세계를 전개함으로써 한국 현대시의 형성 과정에 중요한 발반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鄭芝溶은 이처럼 우리 문화사에서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면서도 그의 전기적인 발자취 때문에 1987년에 해금되는 불운을 겪어야 했다. 한때 금서 목록에 올라 있었던 관계로 그에 대한 연구가 미흡했던 것도 사실이었다. 그는 趙芝薰, 朴木月, 朴斗鎭 등 靑鹿派 시인들을 비롯한 이 땅의 많은 문인들을 배출한 공로자이며, 한국시단에 현대적인 詩魂과 언어 예술의 조탁의 기교를 보여준 시인이기도 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鄭芝溶 시 작품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전기적 고찰이나 유파 위주의 일방적 평가에 의존해 온 셈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그의 작품은 그가 영·미 문학을 전공했다는 선입관 때문에 항상 서구적 모더니즘의 시각으로 논의되어 온 사실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文學作品은 작품 그 자체의 분석이 가장 우선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文學作品의 본질적 연구보다 작품 外的 여러 가지 요인과 환경을 탐색하
는 非本質的 연구가 많은 경향이 있다.

사실 鄭芝溶의 시는 모더니즘적 요소 외에 다양한 특성과 실험의식을 보여준다. 그는 작품 성향은 한 군데 안주했다기보다는 다양한 기법과 주제의식과 선구적 실험정신을 가지고 경작한 흔적을 볼 수 있다. 그의 시를 모더니즘이라는 특정한 유파로 묶어 분류한다는 것은 결국 1930년대 金起林, 崔載瑞 등의 몇몇 비평가들의 의견에 너무 동조한다고 밖에 보여진다. 이와 같은 편협한 시각은 학문적 영역의 극대화란 시대적 상황에 비추어 볼 때, 결코 바람직한 현상은 아니라고 본다. 한 시인의 정신적 토양은 시대나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변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그 성격상 형식적 구조의 연구보다 주제적 특질에 중점을 두어 鄭芝溶이 서구 문학을 단순한 모방대상으로 택하지 않고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그의 시가 거느리고 있는 카톨리시즘과 동양 전통정신 지향의 시들이 그의 내면에 흐르고 있는 시정신과 어떻게 접맥되고 있는가를 실펴보고자 한다.

Ⅱ. 鄭芝溶의 生涯와 文學的 背景

鄭芝鎔은 1902년 충북 옥천읍에서 좀 떨어진 舊邑의 청석교 바로 옆에 위치한 촌가에서 한약상을 경영하던 延日 鄭氏 泰國을 아버지로 하고, 河東 鄭씨 美河를 어머니로 하여 그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의 태몽에서 유래되어 그의 아명을 '池龍'이라 했는데, 같은 발음에 뜻이 다른 한자를 맞춰 후에 '芝龍'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그의 필명은 '芝龍'으로 초기의 작품을 발표할 때 많이 사용했고, 후기의 수필이나 논문류에서는 본명을 쓰고 있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그의 세례명은 프란시스코, 창씨명은 '大弓修(오오유미 오사무)'이다.

부친 정태국은 젊었을 때, 중국과 만주 등지를 전전하면서 익힌 한의학을 바탕으로 고향에 돌아와 한약상을 경영하여 어느 만큼의 부를 축적했었으나, 불의에 밀어 닥친 홍수의 피해로 가세가 갑자기 기울어져 가난해 졌다고 한다. 그 후 정태국은 중국과 만주 등지를 돌아 다닐 때부터 믿었던 천주교를 버리고, 文化柳氏를 둘째 부인으로 맞이하여 화용, 계용 두 남매를 낳았으나, 그 중 아들 화용은 죽어서 결국 鄭芝龍은 4대 독자가 되었다.이와 같이 鄭芝龍은 형제들이 없었으므로 어린 시절 무척 외로이 자랐으리라 짐작된다.
'산문'에 기록된 그의 유년 시절에 대한 회상은 무척 고독하고 가난하고 슬펐던 것으로 나타난다.

어린이에 대한 글을 쓰라고 하시니 갑자기 나는 소년쩍 고독하고 슬프고 원통한 기억이 진저리가 나도록 싫어진다.

다른 글에서도 "나의 몸서리가 떨리도록 고독하고 가난하던 소년" 시절이라고 회상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독하고 슬픈 소년에게 위로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어른들로부터 전해들은 옛이야기와 전설이었다. 그의 동시의 많은 부분은 이런 전설이나 민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별동을 먹으면 오래 오래 산다는 것이었다. 별똥을 주워왔다는 사람이 있었다. 그날 밤에도 별똥이 찌익 화살처럼 떨어졌었다. 아저씨가 한번 모초라기를 산채로 훔쳐 잡어 온, 뒷산 솔푸데기 속으로 분명 바로 떨어졌었다.

당시만 해도 사회적으로는 대가족을 선호하던 시대였다. 그렇지만 그는 4대 독자로 자라난 체험과 가난한 환경, 유년의 자연 환경 등은 鄭芝溶의 문학적 숲을 형성하는 복합적 근원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鄭芝溶은 1910년 옥천 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13살 때인 1914년 3월 25일 졸업했다. 이 사이에 1913년(12살)에 충북 영동군에 사는 동갑내기인 송재숙과 결혼했다. 鄭芝溶과 송재숙 사이에는 10명이 넘는 자녀가 태어났는데, 모두 태어나면서, 혹은 어려서 죽고 4남매만 자라게 된다.

이 시절 그는 한문공부를 하였다는 사실이 휘문보통고등학교의 졸업 학적부에 '沃川公普 졸업 후(大正 3년 3월) 한문수학'이라는 기록에서 입증된다.
그 후 鄭芝溶은 1918년에 휘문고보를 입학된다. 휘문고보 시절 鄭芝溶은 '搖藍' 동인을 만들어 활발한 문예활동을 하였으며, 소설「三人」을《曙光》지에 발표하기도 한다. 또한 1922년 '문우회' 활동에도 참가하여 학예부장으로《휘문》지 제1호를 발간하였다. 휘文高普 시절의 교우로는 洪思容, 朴鍾和, 金永郞, 李泰俊 등이 있다.

1923년에는 교비장학생으로 東志社大學 예과에 입학하여 1929년에 同大學 문학부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鄭芝溶의 東志社大學 유학시절은 그의 詩歷과 자아성찰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시기이다. 이때 그는 고향을 그리워하는 詩心과 향토적인 순수성을 형상화하는 상상력을 키워 나갔다. 이러한 자연적 분위기는 그가 이국(異國) 생활의 고독 속에서 그리워하던 마음의 고향이 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1926년에는《學潮》창간호에〈카페 프란스〉,〈슬픈 인상화〉,〈파충류 동물〉과 기타 동요, 시조를 발표하고,《新民》,《朝鮮之光》에〈이른봄 아침〉,〈바다〉,〈향수〉등을 계속 발표하여 시인으로서 기반을 다졌다.
또한 그는 유학 기간 동안에 카톨릭 신앙을 가지게 되는데, 이 카톨릭 신앙은 그가 사회생활을 할 때와 내면적 갈등을 치유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를 계기로《카톨릭 청년》(1933. 6 창간)지의 편집을 맡기도 하고, 해방 이후에는《경향신문》등 카톨릭 재단에서 주관하는 사업에 적극 참여하여 돕기도 하였다.

鄭芝溶 시인은 이런 독실한 신앙 생활을 바탕으로 한 시편들은〈不死鳥〉,〈나무〉,〈思惠〉,〈臨終〉,〈다른 한울〉,〈또하나 다른 태양〉,〈갈릴레아 바다〉등이 있다.

鄭芝溶은 1929년(28살) 東志社大學 영문과를 졸업하고, 그 해 9월에  文高等普通學校 영어과 교사로 취임하였다. 그가 본격적이고 그의 시의 방향에 대한 뚜렷한 의식을 가지고 문학 활동을 시작한 것이 이때부터였다.

1930년에는 朴容喆, 金永郞, 이하윤 등과《詩文學》동인으로 참가하여 활발한 詩作 활동을 한다. 鄭芝溶은 시문학 동인으로서 朴容喆과 친교 때문에《詩文學》,《文藝月刊》,《文學》등 朴容喆이 주간하는 잡지에 계속 작품을 발표하였다. 이 발표된 작품들을 주축으로 朴容喆의 기획에 의하여 鄭芝溶의 첫 시집인『鄭芝溶詩集』(1935. 10)을 詩文學社에서 출판하게 되었다. 이 책은 1935년 중반까지 발표된 작품을 모아 엮은 것으로 총 89편이 실려 있다. 이들 작품은 朴容喆의 발문에도 밝혀 있듯이 향토성을 바탕으로 하는 동요나 민요풍의 시들과 회화성을 강조한 이미지즘 계열의 시, 신앙시, 산문 2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의 첫 시집이 간행되자, 많은 사람들이 찬사를 보냈는데 金起林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그 이전의 감상적 시들이나 카프류의 사상 위주의 시에 대해 염증을 느끼고 있던 사람들에게『鄭芝溶詩集』의 발간은 경이로운 자체였던 것이다.
한편, 鄭芝溶은 1938년 '九人會'에도 참여하게 된다. '九人會'는 프로동맹 과는 달리 순수문학의 옹호를 취지로 하여 발족된 순수 문학인들의 모임이였다. 李鍾嗚와 김유영이 발기하여 李泰俊, 李無影, 柳致眞, 金起林, 趙容萬 등이 참석하였으며, 동인지로《시와 소설》창간호가 간행되었는데, 鄭芝溶은 여기에〈流線哀傷〉이란 시를 발표한다.

또한 1939년《文章》지 창간 당시 鄭芝溶은 詩 부문의 選考委員이 되어 재능 있는 후진들을 많이 배출하였다.《文章》지는 우리나라 최초의 문학 종합지로 일어 사용을 거부해서 폐간될 때까지 통권 27권을 낸다.《文章》지를 통해 鄭芝溶에게 추천 받은 시인은 靑鹿派 3인을 비롯하여 金鍾漢, 李漢俊, 朴南秀 등이 있다.
1941년 9월에는 제2시집인『白鹿潭』을 문장사를 통해 출간한다. 이것은《文章》지가 폐간된 1941년 4 후의 일이다. 鄭芝溶은 1936년 이후부터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사 등에서 지원을 받아 국토순례를 하고 기행문을 쓴 일이 있었는데, 시집『白鹿潭』에 실린 詩들은 그러한 여행 체험에서 얻어진 것을 형상화한 작품들이다. 초기의〈바다〉,〈고향〉의 詩들에 비교하면 깊이 있고 세계를 바라보는 눈이 넓고 높은을 볼 수 있다.
『白鹿潭』은 모두 5부로 편성되어 있으며, 총 33편잉 수록되어 있다. 1939년 2월에 창간된《文章》지 에 실린〈장수산〉과 〈白鹿潭〉그리고『新作 鄭芝溶 詩集』의〈조찬〉,〈비〉,〈忍冬茶〉등을 주축으로 엮었다. 鄭芝溶이『白鹿潭』을 출간한 시기는 정신적, 육체적으로 고난의 때였다. 그래도 그의 시적 특성은 창작기법 면에서 現代的 自覺과 방법을 탐색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鄭芝溶은 1941년『白鹿潭』을 발간한 이후 문학활동이 거의 멈추면서 납북으로 생을 마감한 1950년까지 鄭芝溶이 발표한 작품은 6편에 불과하다.
鄭芝溶은 8·15해방과 함께 이화여전 교수로 취임하여 한국어와 英詩와 羅典語를 가르쳤다.

1946년 9월에는 카톨릭계 신문《경향신문》의 창간과 함께 이 신문의 주간으로 취임하여 '餘滴'과 '社說'을 담당하였다. 이 무렵에 그는 문학과 거리가 먼 時論類를 많이 썼었다. 이들 시론류 대부분은 일관성이 없고, 애매한 논조를 펼치고 있다. 좌경 문학집단인 '文學家同盟'에 잠시 그의 이름이 오르내린 것도 그 무렵이다.
"한민당은 더러워서 싫고 빨갱이는 무시무시해서 싫다."라고 강의시간에 이화여전 학생들에게 한 말이나, "유물사관을 공부한 적이 없어서 이 問題는 내게 과분한 숙제입니다."라고 한 그의 말을 통해서, 좌익하고는 관계했던 인물이 아님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6.25때 월북한 것으로 오해받고 있는 것은 '文學家同盟'(1949)에 가입했었다는 사실과 그의 납북 과정에 대한 근거없는 글들 때문일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좀더 충분한 자료가 제시되는 대로 명확한 사실이 밝혀지리라 믿는다.

Ⅲ. 모더니즘 志向性

1. 이미지즘의 수용

1920년대의 시는 기법이나 시에 대한 태도에서 어느 정도 차이는 있지만 그 바탕을 이루는 포괄적인 정신은 감상적 浪漫主義라고 할 수 있다.《白潮》동인들의 시는 이 시대에 정신적 편향인 주관적 浪漫性과 데카당스 쪽으로 빠져 있었다. 1925년에 KAPF가 결성되면서 새로운 기풍이 이는 듯하나 오히려 백조파의 일부 시인들과 합세하여 이데올로기적 문학을 내세운다. 이러한 偏內容主義에 빠져 있는 것에 대한 반동으로 나타난 것이 현대적 성격의 모더니즘 시운동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마지스트(이미지스트)라는 말을 처음 명명한 E. 파운드는 "이미지란 知的 情的 複合體를 한 순간에 제시한 것이다. …… 그것은 최대의 걸작 앞에서 우리가 경험하는 突然한 해방감, 시공의 제한으로부터의 자유감각, 돌연한 增大감感의 표현이다."라고 말한다. 파운드가 정의한 복합체로서의 이미지는 T. E. Hulme의 이른바 乾燥하고 견고한 이미지의 개념에 바탕을 둔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이미지즘의 강령 골자를 요약해 보면, 명확한 이미지, 정확한 事物의 言語, 좋은 傳統, 主知的 態度, 새로운 리듬과 自由詩 등이 된다고 하겠다.
이는 객관적 태도, 감정의 절제와 지성 존중, 감각적 심상의 시, 비교적 시행이 짧은 시형식을 보여주고 있는 鄭芝溶의 시적 특성과 상통된다. 鄭芝溶 의 모더니즘 수용은 1926년《學潮》창간지에〈카페-프란스〉,〈슬픈 印象畵〉등을 발표한 시기로 파악되어 지는데 이는 한국 現代詩의 기점 문제와도 관련되고 있다.

옴겨다 심은 棕櫚나무 밑에
빗두루 슨 장명등
카페 프란스에 가쟈.

이놈은 루바쉬카
또 한 놈은 보헤미안 넥타이
삣적 마른 놈이 압장을 섰다.

밤비는 뱀눈처럼 가는데
페이브멘트에 흐늙이는 불빛
카페 프란스에 가쟈.

이 놈이 머리는 빗두른 능금
또 한놈의 心臟은 벌레 먹은 薔薇
제비처럼 젖은 놈이 뛰여 간다.
〈카페 프란스〉전반부

이처럼 鄭芝溶은 감정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고 시각적인 영상만으로 작품을 구성하는 것이 현대적이고 知的인 詩라고 생각했다. 작품의 내용과 표현 사이에 엄격한 거리를 인식하고 각별한 언어의 선택을 통해 하나하나의 영상을 정확히 표현하려고 했다.
또한 詩〈아츰〉에는 모든 사물이 선명하게 제 모습을 드러내는 객관적 셰계가 표현되고 있다 하겠다.

프로펠러 소리 ……
鮮姸한 커브를 돌아나갔다.
快晴! 짙푸른 六月 都市는 한 層階 더 자랐다.

나는 어께를 골르다
하품 …… 목을 뽑다.

붉은 수탉모양하고
피여 오르는 분수를 물었다 …… 뿜었다 ……
해ㅅ 살이 함빡 自孔雀의 꼬리를 폈다.

睡蓮이 花辯을 폈다
움츠라첫던 잎새. 잎새. 잎새
방울 방울 水銀을 바쳤다.
아아 乳房처럼 솟아오르는 水面
바람이 굴고 게우가 미끄러지고 하늘이 돈다.

좋은 아츰
나는 탐하듯이 呼吸하다.
때는 구김살 없는 흰돛을 달다.
〈아츰〉전문

일상적이고 역동적인 생활의 세계, 정지하고 있는 것 대신에 살아 숨쉬고 있는 세계를 표현 대상으로 할 때 시의 언어의 영역은 확대된다.

모더니스트 鄭芝溶은 천재적 민감으로 말의 (主로) 음의 가치와 이메지, 참신하고 원시적인 시각적 이메지를 발견하고 문명의 새아들의 명랑한 감성을 처음으로 우리 시에 이끌어 들었다. 鄭芝溶은 언어에 대한 혼의 정신을 불어넣어 생동감 넘치는 언어의 기교를 부렸다.

2. 이미지 分析
이미지즘의 영향을 받은 鄭芝溶의 詩는 현대적 감성으로 대상을 감각화하여 이미지로 제시하고 있다.
鄭芝溶의 詩〈바다 1〉에서 바다는 母性的 이미지는 어떤 작용을 하고 있으며 물과 연관된 바다를 중심으로 나타난 열린 想像力은 어떤 이미지적 양태로 발전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자.

오·오·오·오·오· 소리치며 달려가니
오·오·오·오·오· 연달어서 몰아온다

간 밤에 잠 살포시
머언 뇌성이 울더니.

오늘 아침 바다는
포도빛으로 풀어졌다.

철석, 철얼석, 철석. 처얼석, 철석,
제비 날어들 듯 물결 새이새이로 춤을 추어.
〈바다 1〉全文

1연은 바다의 살아있는 움직임을 파도에 비유한 것이고. 2연은 닫힌 공간을 젖히고 무엇인가 꿈의 실현하려고 발버둥치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간 밤'의 이미지는 그의 잠재 의식적 표현이다.
3연에서는 '뇌성'이라는 청각적 이미지를 '포도빛'이라는 시각적 이미지로 변화하는 작용을 시도하여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을 무의식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鄭芝溶의 시에 나타난 바다의 이미지는 모든 생명의 어머니인 동시에 영원을 상징하는 이미지일 뿐만 아니라, 탄생과 죽음의 兩義적 이미지 가운데, 탄생의 역확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바다의 이미지는 한 단계 上昇한 세계 곧 땅의 세계로 이동한다.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뷔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조름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 벼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란 하늘 빛이 그립어
함부로 쏜 활살을 찾으려
풀섶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든 곳,

---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傳說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러치도 않고 여쁠 것도 없는
사철 발 벗은 안해가
따가운 해ㅅ살을 등에지고 이삭 줏던 곳,

---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하늘에는 석근 별
알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
서리 까마귀 우지짖고 지나가는 초라한 지붕,
흐릿한 불빛에 돌아 앉어 도란 도란거리는 곳.

---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鄕愁〉전문

이〈鄕愁〉는 1927년《조선지광》65호에 발표되었으며 鄭芝溶의 대표작 중의 한 편으로 가장 많이 평가받고 있으며 공간과 시각의 특성을 잘 나타낸 작품이다.
위 詩는 상실감을 바탕으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회고하면서 나타내고 있다. 각 연에서 고향의 구체적 영상을 선명한 이미지로 나타내며, 반복구에서는 고향에 대한 애절한 그리움을 노래한다. 이 고향의 이미지에서 한층 상승적 이미지를 추구한 작품으로 그의 대부분의 宗敎詩와 제2시집『白鹿潭』에 실린 산을 주제로 한 詩가 있다.

그 중에서도〈나무〉는 上昇的 뚜렷하여 프라이가 주장한 묵시적 心象인 '생명의 나무'에 대한 이미지와 연결시켜 볼 수도 있다. 바슐라르도 樹木은 지상의 生命을 푸른 하늘로 운반해 가는 현혹되지 않는 힘으로 보고 있어서 N. 프라이의 의견과 접근하고 있다.
나무의 直立性을 인간의 直立性과 동일화 한다. 直立性의 위쪽은 하늘을 향하고 아래쪽은 흙을 향한다. 이러한 上下의 관계는 나무나 사람이나 마찬가지다.
이 원형적 이미지는 地上을 떠나 山으로 이동한다. 산은 하늘과 땅의 중간에 위치에서 오르내리는 길목의 역할을 한다. 山은 항상 위를 향해 열려져 있는 문이며 神이 하강하고 人間이 상징적으로 승천할 수 있는 聖域이다. 또한 시적인 이미지가 山, 山頂, 골짜기 등의 공간을 가질 때는 地上의 모든 現實과 인연을 끊고 自然과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山을 제재로 한 克己, 淸潔, 無慾의 세계를 지향하면서 天國과 접근을 갈망하는 상승적 이미지로 나타나게 된다.

絶頂에 가까울수록 뻑국채 꽃키가 점점 消耗된다. 한마루 오르면 허리가 슬어지고 다시 한마루 우에서 모가지가 없고 나종에는 얼굴만 갸옷 내다본다. 花粉처럼 版박힌다. 바람이 차기가 咸鏡道끝과 맞서는 데서 뻑국채 키는 아조 없어지고도 八月한철엔 흩어진 星辰처럼 爛漫하다. 山그림자 어둑어둑하면 그러지 않어도 뻑국채 꽃밭에서 별들이 켜든다. 제자리에서 별이 옮긴다. 나는 여긔서 기진했다.
〈白鹿潭〉중 일부

白鹿潭도 인간의 삶에 대한 社會的, 역사적 現實을 털어버리고, 결국 상승적 이미지, 곧 묵시적 이미지의 궁극의 목표인 천국에 도달하고져 하는 詩人의 욕구이다.

지금까지 鄭芝溶의 詩에 나타난 이미지가 어떤 성격으로 전개되는가를 살펴보았다.
바다라는 개방적 이미지에서 고향이라는 폐쇄적 이미지로 하늘과 山이라는 상승적 이미지로 변이 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Ⅳ. 카톨리시즘의 志向性

鄭芝溶에게 있어서 信仰詩는 宗敎的 체험에서 우러나온 神과 영적인 교류이며 대화다. 따라서 神에 대한 영혼의 갈망이다.
『鄭芝溶詩集』제4부에 있는〈不死鳥〉〈나무〉〈恩惠〉〈별〉〈臨終〉〈갈릴레아바다〉〈그의 반〉〈다른 한울〉〈또 하나 다른 太陽〉등을 중심으로 생각할 때, 그의 宗敎詩의 세계에는 신앙·소망·구원의 사상이 담겨져 있다.
鄭芝溶이 선택한 신앙적 자아는 도피적인 자아이며, 현실도피로서 구원을 얻고자 하는 셈이 된다. 鄭芝溶에게서는 신앙시는 事物詩의경우처럼 감각적 心象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종교적 테의 관념적 진술에 치우친 나머지 詩的인 肉化를 이루어 내지 못한다. 그의 신앙시가 신앙과 생활이 분리도었듯이 감수성도 분리된 인상을 던져준바. 엘리어트가 말한 것처럼 宗敎詩도 일반시처럼 '全人的 인격체'로서의 우리에게 영향을 주어야 한다. 이것이 카톨릭시즘의 기본정신이기도 하다.

먼저 신앙의 문제를 다른 시를 살펴보면〈갈릴레아바다〉〈그의 반〉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나의 가슴은
조그만 '갈릴레아 바다'.

때없이 설레는 波濤는
美한 風景을 이룰 수 없도다.

예전에 門弟들은
잠자시는 主를 깨웠도다.

主를 다만 깨움으로
그들의 信德은 福되도다.

돗폭을 다시 펴고
키는 方向을 찾았도다.

오늘도 나의 조그만 '갈릴레아'에서
主는 짐짓 잠자신 줄을-

바람과 바다가 잠잠한 후에야
나의 嘆息은 깨달었도다.

이 작품은 新約聖書의 마가복음 4장에 나오는 이야기를 문제로 한 詩다. 예수께서 제자들을 데리고 갈릴레아 바다를 건널 때, 예수께서 믿음의 힘으로 보이신 기적의 고사가 우리에게 보이는 교훈을 주제로 한 詩이다. 시적 話者도 예수의 제자들과 같이 의심을 갖기도 했지만, 어려운 일이 무사히 지나갈 때마다 자신의 부족한 信仰心을 알고 탄식하고 신앙심을 더 깊게 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작품과는 좀 다른 방향으로 신앙심을 나타내는 작품으로〈그의 반〉이 있다. 하느님에 대한 찬양을 통해 신앙심을 나타내는 작품이다. '그의 반'이란 하느님의 반이란 뜻이다. '반'은 인간을 정신과 육체로 나누었을 때 정신은 하느님의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시적 話者는 하느님을 인간이 존경할 수 있는 가장 훌륭하고 아름다운 대상으로 보고 찬양하고 신앙심을 나타내는 것이다.
성모마리아에 대한 강한 신앙심을 나타내는 것으로는〈또 하나 다른 太陽〉이 있다. 이 작품에서 詩的 話者의 信仰心에 대한 강한 의지가 보인다. 죽음이 다가와도 깊은 산 속에 '외로운 사슴처럼' 벙어리가 된다 하여도 자신의 행복은 聖母마리아를 믿고 의지하면 찾을 수 있으리라는 믿는다. 한 편의 신앙 고백을 하는 기도처럼 읽힌다고 말 할 수 있다.
기독교에서 소망이란 하느님을 충실히 믿고, 성경의 말씀에 따라 살고 구원받기를 바라는 것이다. 이러한 소망은〈나무〉, 〈별〉등에 잘 나타나 있다. 기독교 신자가 되는 것은 구원받기 위해서다. 구원은 영원히 죽지 않는 길이며, 죽음을 미소지으며 맞이할 수 있는 자의 축복이기도 한 것이다. 죽음으로부터 자유스러울 수 있는 경지에 이르렀다면, 불안의식을 초극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죽음의 초극을 노래한 작품으로〈臨終〉이 있다.

나의 림종하는 밤은
귀또리 하나도 울지 말라

나종 죄를 들의신 神父는
거룩한 産婆처럼 나의 靈魂을 갈르시라.

聖母就潔禮 미사때 쓰고남은 黃觸불!

---중략

달고 달으신 聖母의 일홈 불으기에
나의 입술을 타게 하라.
〈臨終〉

시적 話者는 임종의 순간을 상상하면서 그 순간을 엄숙한 고요 속에서 맞고 싶다는 소망을 지닌다. 마지막 연에서는 입술이 타도록 聖母마리아를 부르고 싶다는 것이다. 鄭芝溶은 하나님이나 예수보다도 聖母마리아를 찾는 경우가 많다. 순수하고 깨끗한 聖女인 마리아에게 鄭芝溶은 더 구원의 손길을 내민 것이다.
이 작품은 鄭芝溶의 종교시 중에서 가장 다양하고 화려한 이미지로 구성된 작품이다.
비애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나 구원받은 경지를 노래한 작품으로〈不死鳥〉가 있다. 鄭芝溶은 悲哀를 죽지 않은 不死鳥라고 일컫고 있다. 영원히 사라질 수 없는 悲哀를 靑春이 다한 어느날 사라지게 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悲哀를 초극하여 마음의 평안을 얻었다는 것이다.

이처럼〈不死鳥〉는 원형적 한 인간으로서 비극적 人間像을 그리고 있다. 詩的 自我는 슬픔과 동체가 되어 "박힌 화살, 날지 않는 새"이며, 죽지도 않는 '不死鳥'이기 때문에 그가 피할 수도 초극할 수도 없는 것이다. 이런 숙명적인 조건과 의식은 人間은 타고나면서 '원죄적 존재'라는 기도교적 의식의 등가물과 연계된다. 詩的自我는 여기서 더욱 逆說的으로 슬픔을 "나의 神父"라고 까지 하여 일종의 운명애마저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宗敎詩를 믿음이나 소망 혹은 구원만을 나타내는 詩라고 본다면 문제가 있다고 본다. 믿음과 소망·구원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정신구조이다. 그런 의미에서〈나무〉라는 작품은 鄭芝溶의 종교시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포함하고 있다고 하겠다.

얼골이 바로 푸른 한울을 울어렀기에
발이 항시 검은 흙을 향하기 욕되지 않도다.

곡식알이 거꾸로 떨어져도 싹은 반듯이 우로!
어느 모양으로 심기여젔더뇨? 이상스런 나무 나의 몸이여!

오오 알맞은 位置! 좋은 우아래!
아담의 슬픈 유산도 그대로 받았노라.

나의 적은 年論으로 이스라엘의 二千年을 헤였노라.
나의 存在는 宇宙의 한낱 集燥한 汚點이었도다.

목마른 사슴이 샘을 찾어 입을 잠그듯이
이제 그리스도의 못박히신 발의 聖血에 이마를 적시며 -

오오! 新約의 太陽을 한아름 안다.
〈나무〉

첫 부분에서는 하나님께로 향하여 가까이 가려는 소망을 나타내고, 셋째 연과 넷째 연에서는 원죄사상과 신앙심을 다섯째 연에서는 구원의 사상을 나타내고 있다.
결국 鄭芝溶이 선택한 신앙적 자아는 도피적 자아이며 현실 도피로써 구원을 얻은 셈이 된다. 종교로의 귀의가 반드시 현실도피를 하는 것은 아니다. 진정한 종교시는 시인의 실존적 상황으로부터 도피하지 않으면서 영적 체험이나 불확실성의 실재를 추구할 때 탄생한다. 이런 점에서 그의 신앙적 자아는 아직 미성숙한 단계에 놓여 있다고 본다.

Ⅴ. 동양정신의 志向性

鄭芝溶의 시는 대체로 이미지즘적 技法을 수용한 감각적인 詩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主題의 성격은 카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한 宗敎詩와 동야적인 思惟에 근거를 둔 전통적인 詩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鄭芝溶의 시에서는 이미지즘 내지 모더니즘적 색채를 띤 경우라 하더라도 동양적 체질과 미학만은 가볍게 넘길 수 없다. 鄭芝溶의 동양정신에의 경도는 그의 詩論에서도 많이 발견할 수 있다. 그의 말대로 詩는 言語로 肉化되어야 한다. 이 육화의 방법은 지금까지 연구하여온 것들과는 달리, 서구의 것에서 획득하기 보다는 동양에서도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

실제로 鄭芝溶은 지금까지 여러 문학연구가들의 주장처럼 모더니즘에 함몰되어 있는 詩人은 아니라고 본다. 왜냐하면 그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鄕愁〉등은 우리 고유의 가사와 민요의 숨결을 담아 원용하고 있거나 詩的 발상이나 기법의 처리에서도 동양의 고전을 원용한 작품이 상당히 많다.

鄭芝溶은 한 때 당시의 苦痛을 카톨릭신앙에 의한 견인적 정신으로 나타내고자 하였으나, 곧바로 그 항해의 방향을 수정하게 된다. 그것은 그의 피 속에 흐르는 동야적 정신주의가 근본적인 이유일 것이다. 그렇다면 그의 동양적정신의 실체는 과연 어떤 작품에 남아 있는가를 살펴보면서 이야기를 전개해 보고자 한다.

그의 시는 당시 누구보다도 東洋的 傳統性을 바탕으로 삼아 다양한 실험정신을 전개했기 때문이다. 朴容喆도『鄭芝溶詩集』발문에서 "芝溶은 한군데 自安하는 시인이라기보다는 새로운 詩境을 개척하고자 하는 시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鄭芝溶은 한국 최초로 본격적인 散文詩를 개척했으며, 李箱과 더불어 연작시를 시도했다. 童謠詩 25편, 시조 9편, 소설 1편을 창작한 장본인이다. 鄭芝溶이 이미즘의 영향을 받았다지만 그의 詩的 特色은 분명히 동양의 전통과 방법이다. 이런 토양을 바탕으로 하여 그의 詩的 完成을 이룩해 나간 것이다.

그러나 鄭芝溶의 시어에서 많이 나오는 센티멘탈한 로맨시티즘에 대하여 살펴보자.
朴容喆의 詩가 관념적인데 대해 鄭芝溶의 詩는 감각적인 것이 특색이다. 그의 맵짠 言語의 節制와 선명하고 的確한 이미지는 一見 英美의 이미지스트들의 詩를 연상케 하지만, 그가 이미지스트의 영향을 받은 확증은 없다.

鄭芝溶의 시들 가운데 모더니즘의 표본으로 내세우고 있는 작품에서도 그 발상이나 詩想의 전개방식은 동양의 미학을 바타으로 한 漢詩的인 수법에 속한다. 이런 성향의 작품은〈비〉에서도 볼 수 있다.

돌에
그늘이 지고.

따로 몰리는
소소리 바람.

앞섰거니 하야
꼬리 치날리여 세우고.

죵죵다리 깟칠한
山새 걸음걸이.

여울지여
수척한 흰 물살.

갈갈이
슨가락 펴고.

멎은 듯
새삼 돋는 비ㅅ낯.

붉은 닢 닢
소란히 밟고 간다.
〈비〉全文

문학 연구가들이 이미지즘의 영향으로 받은 詩의 표본으로 내세우고 있는 이 작품은 시인의 감정이 극도로 배제되어 있다. 시의 분위기도 한 폭의 山水畵를 느끼게 한다. 이 작품에서 시인의 숨결, 곧 인간적 삶의 속성을 배제시킨 창작기법은 한국이나 중국의 敍事詩에서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이 詩가 보여주고 있는 정교한 언어의 正確한 표출과 절제력도 이미지즘의 詩의 技法이라고만 볼 수 없다. 漢詩의 기법에서도 적확한 시어를 사용하여 압축적인 절제미를 창작의 기본으로 삼아온 것은 사실이기 때문이다. 鄭芝溶은 "감정의 절제를 가능한 한도까지 감행해 본 한국 최초의 시인"이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면 崔東鎬의〈비〉에 대한 평을 살펴보자.
鄭芝溶의〈비〉는 그 표출방법이 동양의 山水畵的 수법과 맥락을 함께 하며, 그 안에는 산수화가 담고 있는 은일의 정신이 담겨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아니될 것이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일련의 芝溶詩를 山水詩로 명명하는 이유는 동양적 기법과 정신 양면에서 그의 시를 정의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그의 산수시와 은일의 정신은〈비〉외에도 여러 작품에서 발견되지만, 특히 1941년 1월《文章》지에 발표된〈朝餐〉,〈忍冬茶〉등의 詩와〈玉流洞〉〈九城洞〉〈長壽山〉〈白鹿潭〉등의 시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여기에서 〈九城洞〉에 대하여 더 자세히 들여다 보자.

골작에는 흔히
流星이 묻힌다.

黃昏에
누뤄가 소란히 싸히기도 하고

꽃도
귀향 사는 곳,

절터 드랬는데
바람도 모히지 않고

산그림자 설핏화면
사슴이 일어나 등을 넘어간다.
〈九城洞〉전문

이 작품은 인간세계와 완전히 단절된 구성동은 탈속한 작자의 정신세계를 상징하고 있다. 즉 시대적 중압과 정신적 위기감을 山이 주는 정신적 침잠으로 극복하고자 했던 그의 시의식을 역볼 수 있다.
鄭芝溶의 대표적인 후기시인〈白鹿潭〉에서도 동양 고전과 더불어 두보의 詩가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나타난다.

가재도 긔지 않는 白鹿潭 푸른 물에 하눌이 돈다.
〈白鹿潭〉9연의 일부

江闊浮高棟
雲長出斷山
杜甫의〈遠游〉1, 2 句

두보의 詩는 '江이 넓으니 높은 용마루의 그림자가 떠 비친다'는 뜻으로서, '浮動'의 의미가 된다. 강물에 높다란 용마루의 그림자가 떠 비친다는 뜻의 '遠游'의 시적 환경은 '백록담 푸른 물에 하늘이 돈다'는 환경과 비슷하기 때문에 이미지상의 작시법이 유사하게 느겨진다.
지금까지 우리는 鄭芝溶의 작품에 나타난 동양 정신의 美學이 오떤 양상으로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鄭芝溶의 시에서 詩語의 的確한 사용, 압축적인 언어의 節制力, 短詩構造의 실험, 회화적이면서도 山水畵的인 정신세계, 표현기법의 漢詩 기법의 영향, 죽음에 대한 이질적 가치관 등은 그가 東洋的 詩정신을 바탕으로 실험정신과 技巧를 접목시키고자 한 노력을 흔히 발견할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 鄭芝溶 문학의 총체성을 조명해 보면서 그의 문학성의 본질이 어디에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Ⅵ. 결론

본 논문에서는 鄭芝溶의 문학세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이를 모더니즘 志向性, 카톨리시즘 志向性, 동양정신의 志向性으로 구분한 다음, 그 작품의 주제와 시의 특색을 살펴 보았다. 이와 같은 점을 토대로 하여 이 시인의 문학사적 위상을 종합적으로 밝혀봄으로써 본 논문의 결론을 삼고자 한다.

鄭芝溶의 시를 살펴보고 그 특색을 이해하기 위한 첫걸음은 그의 生涯와 文學觀에 대해서도 들여다보았다.
鄭芝溶은 개화기에 태어나 전원적 분위기에서 자랐고, 어린 시절 한문 수학을 하였으며, 서울과 일본 유학을 통해 都市的 체험을 하게 된다.
이런 경험은 이 시인의 문학관과 작품 세계를 형성하는 바탕으로 작용하였으므로, 鄭芝溶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준 것이었다.

鄭芝溶의 초기시는 그의 문학의 출발점이자 그 기본 토대이기도 하다. 이 시기의 작품을 검토해 본 결과, 그이 詩는 전통과 모더니티라는 두 가지 문학적 특성을 동시에 공유하고 있었다. 예를들면 데뷔작에 해당하는〈카페 프란스〉경향의 詩가 모더니티 지향이라면,〈鄕愁〉〈유리창1〉등은 이러한 시인의 편협성을 극복하고, 조화와 질서의 세계를 추구하고 있다. 이것은 초기시에 나타난 이미지즘의 수용 양상을 살펴보면 더욱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정지용이 영미의 이미즘의 영향을 받은 것은 분명하지만, 그것을 그대로 받아들이는데 만족한 것이 아니라 동양적 전통성과 결합하고자 노력하였다.

지용은 동양 시세계의 고담과 명징성, 절제의 미학을 현대적으로 수용하여 발전시킴으로써 동 시대의 문단에 감수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정지용의 초기시는 엄격히 말해서 즉물시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런 초기시의 반성에서 신앙시가 탄생된 것으로 보인다. 초기시의 한계 극복의 원리로 선택한 것이 카톨릭시즘이라고 본다. 그의 신앙시가 그러한 시대 인식을 어느 만큼 적절하게 구현하고 있는가 하는 점에서 많은 의문을 던질 수 밖에 없다.
엘리어트 등은 카톨릭시즘을 서구 문학의 원점으로 파악하고, 이런 사상적 기초 위에서 현대인의 위기를 그복하려는 문명 비판적 안목을 가졌는데 비하여 정지용에게는 그와 같은 역사의식이 결핍되어 있었다.

정지용은 이러한 한계점에 빠지자 다시 山水詩의 양식을 선택했다. 시집 《白鹿潭》은 이러한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이 시집속에 실린 일련의 작품들은 한국 現代詩의 새로운 도달점에 다다른 것이다. 그의 山水詩는 도시와 문명에 대한 자연의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여기서 자연이란 시인의 내부에 놓인 에덴의 축도와 같은 것이다. 지용은 이와 같은 내부세계의 꿈을, 동양 사상의 핵심을 이루는 선비 정신과 전원 취향으로 결합시키고 있다.

한 시대의 전통이 아무리 타락할지라도 정통 정신만 확고하다면 그 사회는 구제받을 수 있다는 T.S. 엘리어트의 견해를 빌린다면, 정지용은 선비 정신에 입각하여 식민지 시대의 정신적 황폐상을 극복시켜려 했던 것 같다. 그의 山水詩는 이러한 선비 정신의 문학적 구현이다.


그런데 정지용의 山水詩는 이와 같은 現代詩의 복잡성을 적극적으로 제시하고 있느냐는 점에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 시인의 경우, 전원적 삶의 표상들은 현실의 때문은 징후들을 모두 버린 뒤의 공허한 메아리와 같이 존재하고 있다.
다시 종합해 말하면, 정지용은 전통(지속)과 변화(모더니티)라는 문학사의 두 축을 잘 결합함으로서 톡특한 시세계를 구축하였다. 정지용의 시적 매력은 이런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큰 업적을 쌓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러 가지 한계에 부딪쳤다. 그 중 가장 큰 실패의 요인은 역사인식의 치열성 부족이라고 본다. 더욱 안타가운 점은 동시대의 함께 살아가는 서민들의 애환을 당나라 시인 두보처럼 절창으로 노래한 詩가 찾기 힘들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동서 문화의 만남의 겪변기 사회의 시인으로서 자기 시대의 실체를 잘 인식하고, 그에 맞는 시적 양식을 전개함으로서 한국 現代詩의 발전적 토대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출처
[직접서술]


'관련인물 > 정지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異土이토   (0) 2018.01.02
카페 프란스   (0) 2016.10.09
나는 문학이다   (0) 2015.12.22
[스크랩] 정지용 / 한국의 名家  (0) 2015.10.19
정지용 문학관  (0) 2015.07.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