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 등록 중인 글입니다.
2. 世宗大王子 胎室세종대왕자 태실 조성 계기 고찰
1. 天祭와 封禪 천제와 봉선
천문은 제왕학
고대 제왕들의 투쟁사는 천문학의 논쟁으로부터 발단했다.
새로운 역법과 연호 제정
천하를 통일하면 반드시 태산에 올라 봉선제(封禪祭)를 지냄
관중은 제환공의 봉선을 만류했다. 진시황도 제대로 봉선제(封禪祭)를 올리지 못했다.
중국역사상 최초로 격식을 갖춘 봉선제(封禪祭)를 올린 것은 기원전 110년 한무제다.
무제가 봉선의식을 위해 태산을 방문했을 때,
천문역법을 관장하고 황실 전적을 관리하는 태사령(太史令) 벼슬에 있던 아버지 사마담은 낙양 땅에 머물다가 봉선 의식에 참가하지 못했다.
이를 깊이 한스럽게 여긴 사마담은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봉선(封禪) : 천하를 통일한 사람이 천하통일의 위업을 하늘의 상제에게 보고하는 특별한 제사로서 이 제사를 지낸 사람은 불사등선(不死登仙)을 보장 받는다는 신앙이 있었다.
2. 인물
世宗大王세종대왕
이름은 이도(李燾), 자는 원정(元正). 충녕대군
1418년 8월 10일 태종의 선위를 이어받아 왕위에 오름
李純之이순지
자는 성보(誠甫) 본관양성(陽城) 천문학자.
세종의 명으로 조선의 자주적 역법을 자주적 역법을 이룩하여
1.450년대 조선 천문학을 세계 수준으로 올려놓은 천문학자
交食推步法교식추보법2권 1책을 완성 七政算內外篇 칠정산내외편 저술
懶翁나옹
指空지공 無學무학과 함께 三大和尙삼대화상이라 일컬어졌다.
중국의 指空和尙지공화상을 따라 心法심법의 正脈정맥을 이어받고 돌아왔다.
공민왕 때 王師왕사를 지냈으며, 우왕의 명을 받고 密陽밀양 瑩原寺영원사로 가다가
驪州여주 神勒寺신륵사에서 죽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나옹 [懶翁] (한국사전연구사)
禪石寺선석사
692년(효소왕 1)에 義湘이 화엄십찰(華嚴十刹) 중 하나로 창건하여 신광사(神光寺)라 하였으나,
현재보다 서쪽 에 위치하고 있었다.
1361년(공민왕 10)에는 懶翁이 신광사 주지로 부임한 뒤, 절을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그런데 당시 새 절터를 닦다가 큰 바위가 나왔다 하여 터 닦을禪자를 넣어 절 이름을 선석사라 하였다고 한다.
세종대왕왕자태실 선석사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 217
3. 조성과 관련한 시대적 배경
1368년 명원의 교체시기
1392년 太祖즉위
1418년 세종즉위
1938년 - 1442년간 조성
고려 말에 이르러 신진 개혁파들의 술렁인다.
대외 정세 판단을 통해 원나라가 망해가는 징조가 보이자. 원나라의 내정 간섭을 배척하고 빼앗겼던 국권을 되찾아 명실상부한 독자적 자주 국가를 건설하려한다.
이 때 懶翁나옹이 귀국하여 王師왕사가 된다.
1361년(공민왕 10)에는 나옹이 새 절터를 닦으며 禪石寺선석사라 이름 짖는다.
禪선이란
禪봉선의 의미이다.
원나라만이 천자의 나라가 아니라 고려 또한 천자의 나라가되어 독자적 禪봉선을 시행하겠다는 숨은 의지를 보인 절 이름이다.
1392년 太祖 이성계의 즉위 조선 개국 후 46년 후
1938년 세종은 禪石寺선석사 가까이에 왕자 태실을 조성한다.
이때 분명히 禪石寺선석사에서 제를 올렸을 것이다.
청나라 모르게 암암리에 天祭封禪祭 천제와 봉선제를 올렸음직 하다.
禪선 字는 임금의 이름자를 避諱 피휘 하듯 함부로 쓰는 글자가 아니다.
禪石寺선석사라 이름을 지으며 터를 닦다가 큰 바위가 나왔다 하여 “터 닦을禪자”를 넣어 절 이름을 지였다고 한다.
혹여 청나라 에서 너희들 禪石寺선석사에서 봉선제를 지낸 것 아니냐라고 시비 거리를 만들면 터를 닦다가 나온 바위를 변명거리로 삼을 냥 지금도 마당가운데 버티고 있다.
封禪祭봉선제에는 역법을 관장하는 관리 太史令태사령이 참한다.
이는 천문관측을 통해 정확한 달력을 만들어 제후들에게 달력과 봉지를 하사하는 일이다.
이때
李純之이순지라는 천문학자가 있었다.
이슬람 역법을 도입해서 만든 달력은 지금사용해도 별 차이가 없을 만큼 정확한 역법을 수행했다.
천문도상 하늘을 九野 9야로 나누워 여기는 제나라 여기는 초나라 여기는 충청도 저기는 전라도 등등의 구역을 나누었다.
세종대왕자 태실은
천문학상 하늘의 중심이요 땅의 중심이 되는 곳을 선택한 것이다.
곧 풍수상의 명당자리 이상으로 천문적 명당의 자리에 조성한 것이다.
그 내력을 알아보자.
靑山兮要我以無語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 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 창공은 나를 보고 티 없이 살라 하네.
聊無愛以無惜兮 탐욕도 벗어 놓고 성냄도 벗어 놓고,
如水如風終我 물같이 바람 같이 살다가 가라 하네.
- 懶翁나옹 -
.
'홍범구주 > 홍범구주 천문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오동 심은 뜻은 (0) | 2017.03.26 |
---|---|
세종대왕 왕자태실의 천문적 의미 1 풍수 (0) | 2017.03.20 |
세종대왕 왕자태실의 천문적 의미 3 관련고사 (0) | 2017.03.20 |
세종대왕 왕자태실의 천문적 의미 4 관련고사 2 (0) | 2017.03.20 |
세종대왕 왕자태실의 천문적 의미 5 지명고사 (0) | 2017.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