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형의 靈憲은 천문학 개론서이다.

 

靈憲의 내용을 철학적 으로 접근하다보니 해석의 오류가 생긴다.

쉬운 천문학 이야기로 다시 해석해 본다.

 

장형( 78 ~ 139 후한)이  靈憲영헌이라는 책에 천문도를 그리고자 둥근 원을 그리면서 하는 말이다.

靈憲영헌: 북극을 펼쳐놓는다는 뜻이다.  이는 천문도를 그린다는 뜻이기도 하다.

 

 

                                  靈 憲

 

昔在先王                 옛날 선왕 계실 적에

將步天路                 하늘 길을 건너고자 할 때

                                    (하늘 길을 건너다 -- 천문관측을 하다.)    

用定靈軌                 북극의 축을 이용하도록 정했는데

                                   (靈軌령궤: 북극의 축 / 靈령은 극점, 북극의 뜻이다.)

尋緒本元                본래의 근원을 탐구해 보자면

先準之於渾體          우선 돌아가는 형체의 기준이 있어야한다.

                                  (渾體혼체: 돌아가는 물체 / 渾혼은 제돌이 한다는 뜻이다.)

是爲正儀立度          이는 관측기구 간의의 도수를 정해 바르게 하는 것이다.

                                  (儀의: 간의 혼천의 등의 천문관측 도구)

而皇極有逌建也       이에 태양의 극을 부드럽게 세워야한다.

                                   (皇極황극: 관측기구에 표시한 태양의 남극을 말한다.)

樞運有逌稽也          축이 움직일 때 부드럽게 맞춰야한다.

                                  (간의 혼천의 등의 환의 축이 돌아갈 때 부드러워야 한다는 말)
乃建乃稽                이렇게 세워 맞춰놓으면

斯經天常                이 적경과 적위(씨줄과 날줄)은 하늘과 항상 함께한다.

聖人無心                천문학자는 별 신경 쓰지 않고도

                                      (聖人성인: 천문학자)

因茲以生心              이로(씨줄과 날줄로) 인하여 여러 가지(계산하는 방법이) 생기는 것이니

故靈憲作興              따라서 북극을 중심으로 펼쳐가면 잘 만들어진다.

                                      (靈憲령헌: 북극을 펼친다는 말이다. / 즉 천문도를 그린다는 뜻)

 

曰太素之前               중심점과 둥근 원을 그리기에 앞서 한마디 하자면

                                         (太素태소: 원의 중심으로부터 그려진 360°圓원)

幽清玄靜 (하얀 백지 위에는) 깊은 맑음과 오묘한 깨끗함이 있고

寂漠冥默                   적막하고 뭔지 알 수 없는 고요가 있다.

不可爲象                   (하얀 종이위의 모양을) 형상이 라고 할 수는 없다.

厥中惟虛                   그 가운데에는 오직 비어있을 뿐이고,

厥外惟無                   그 밖에는 아무 것도 없다.

如是者永久焉             이렇게 두면 영원히 (백지)그 상태로 있을 것이다.

斯謂溟涬                   이를 보이지 않는 남북의 極극이라한다.  

                                          (하얀 백지를 하늘이 열리기 전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전후좌우의 無位極무위극)

 

蓋乃道之根也            삿갓 덮게(원을 덮고 있는 콤파스)는 道돌아가는 길의 근본이 된다.

                                         ( 道: 360°돌아가는 선분의 뼈대 축은 콮파스 이다.)

 


道根旣建                  도의 뿌리가 이미 세워진 것이다.

自無生有                  저절로 생기는 것은 없다

太素始萌                  원의 중심점에서 싹트기 시작하는데

萌而未兆                  싹 이 트는 데는 조짐도 없고

                                        (콤퍼스를 돌려 원호가 그려질 때 어떤 변화도 없이)

幷氣同色                  기와 색이 나란히 같이 하여

                                         (氣色기색: 氣:컴파스가 돌아가는 움직임/ 色: 원호가 그려지는 검은 먹물 색 선분)

渾沌不分                  휘돌아 가면서 분리되지 않는다.
                                          (선분이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서 그려진다.)

              

故道志之言云           그러므로 도의 의지를 말하자면

有物渾成                 돌아가며 생긴 물건(圓)은

                                       (여기서 物이란 종이위에 그려진 둥근 원을 말한다.)

先天地生其氣體固     먼저 하늘과 땅이 생겨 그 형체와 기운은 한결같다.

                                      (원을 그리면 하얀 백지위에 둥근원의 안과 밖 두 개의 공간이 생긴다.

                                        천문도에서는 원의 안쪽은 하늘이 되고 밖은 땅이 된다.)

未可得而形               어떤 형체도 갖춰 그려 넣지 않았으므로

其遟速固                  그것이 빠르고 더딤도 한결 같으니

                                       ( 컴파스가 원호를 그리며 돌아갈 때 거침없이 죽 돌아간다는 말)

未可得而紀也             (원은)시작점이 어딘지 알지 못한다.

如是者又永久焉          이렇게 두면 또한 영원히 (둥근원 그림)그 상태로 있을 것이다.

斯爲庬鴻                   여기에  커다란 기러기 문양을 그려 넣으면

                                       (컴파스가 원호를 그리며 돌아갈 가는 자취)
蓋乃道之幹也             덮게(원을 덮고 있는 콤파스)는 道돌아가는 길의  뼈대가 된다. 
                                         (道: 360°돌아가는 선분의 축은 콮파스 이다.)
道幹育                       돌아가는 뼈대가 자라나고
                  (작은 원에서 시작해서 간격을 두고 계속 큰 궤도를 가진 원들을 그려 나간다. 적위를  뜻한다.)
有物成體                    틀을 이루고 物(별자리 좌표가 생기게 되면 
於是元氣剖判              여기서부터 원기가 나누어진다.
                  (氣가 나누어 진다함은360°돌아가는 선분의 기운을 나눈다는 밀이며 이 말은 곧
                  천문도의 가장자리에서 360°를 나눠서 시간 값(적경)으로 칸칸이 도수로 표시 했다는 말이다.)                                               

                                                                                                            -계속-






'산경 > 靈憲 천문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靈憲에 대하여  (0) 2015.03.12
피타고라스 정리의 비밀 - 2부 a²+b²=c² .  (0) 2013.11.12

汉典:
http://www.zdic.net/
CCL语料库(北京大学汉语语言学研究中心):
http://www.kangxizidian.com/index3.php
康熙字典网上版:
http://www.kangxizidian.com/index3.php
国语辞典:
http://140.111.34.46/dict/
重编国语辞典修订本:
http://www.sinica.edu.tw/%7Etdbproj/dict/
国语辞典简编本:
http://140.111.1.22/clc/jdict/main/cover/main.htm
异体字字典:
http://140.111.1.40/main.htm
成语典:
http://140.111.34.46/chengyu/
汉语大词典:
http://www.ewen.cc/hd20
成语词典:
http://www.kingsnet.biz/asp/chengyu/index.asp
成语智能检索:
http://www.doc.net.cn/component/option,com_ideidiom/Itemid,27/
在线汉英双解新华字典:
http://www.imagecode.net/asp.net/dict.aspx
中国石材供求网网上新华字典:
http://www.stone163.com/skill/20040103dictionary/find.htm
新华字典:
http://www.fzepc.com/chinapoem/word.asp
在线汉语字典:
http://www.zdic.net/
现代汉语规范字典、中学生规范词典、现代汉语词语规范词典(界面左边)
http://www.china-language.gov.cn/
说文解字注:
http://www.gg-art.com/imgbook/index.php?bookid=53
文字源流浅析:
http://www.gg-art.com/imgbook/index.php?bookid=60
说文解字:
http://www.chinese99.com/xiaozhuan/shuowen/
文泉驿康熙字典:
http://wqy.sourceforge.net/cgi-bin/index.cgi?KangXi
儒学词典:
http://humanum.arts.cuhk.edu.hk/ConfLex/
佛学大词典:
http://www.fowang.org/fxd/lookup.htm

从部首查汉字
汉字笔画数表
简化字表
现代汉语常用字表
现代汉语通用字表
现代汉语通用字笔顺规范
GBK/2: GB2312 汉字
汉字读音列表
汉语句型
汉语词类简表
“词组”或“短语”
构词法基本类型
汉语词类
形容词 状态词 区别词 比较
词 短语 句子 相似的结构方式
短语分类举例
短语语法功能分类
特殊的词组
具有汉语特色的几种句型
现代汉语词缀
语素“子”与词缀“子”
汉语成语的内部结构关系
儿化词中“儿”
“儿化韵”的发音
在线新华字典一字多音列举
盲文

'한문자 관련 링크 > 한문자 관련 링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검색  (0) 2015.11.03
갑골문 관련  (0) 2015.11.03
漢語大字典   (0) 2015.11.03
藝文類聚  (0) 2013.11.21
主要參考資料  (0) 2013.11.21

주비산경의 저자 조군경은

혼천설과 개천설을 주장하지 않았다.

조군경은 혼천설과 개천설을 이용해 지금과 조금도 다를바 없는 천문이론을 제시했다.

다만 후대인들이 주비산경은 개천설이라는 고정관념 속에서 주비산경을 해석한 오류일 뿐이다.

주비산경의 내용은 그 관측지가 중국을 넘어 호주에서 관측한 내용과

남극의 변화까지 상세히 기록한 정확한 천문 이론을 기술했다.

삼각법은 물론 구면 삼각법까지 거론한다.

책내용에 나타나는 하늘의 현상은 실제 하늘을 다룬 것이아니라

천문도상의 변화를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주비산경경을 이해하려먼 천문도를 옆에두고  보아가며 이해해야한다.

 

주비산경시대에 천문도만 있었던 것이아니라

별자리 보기판까지 만들어서 사용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周脾算經 序文 天文解

주비산경 서문 천문해

 

                                                                                            趙君卿序

                                                                                            조군경서

 

 

夫高而大者莫大於天        높고 큰 것을 말하자면 하늘만큼 큰 것이 없고

                                                                                    ( 천문도상 둥근 원 속 )

厚而廣者莫廣於地          두텁고 넓은 것을 말하자면 땅만큼 넓은 것이 없다.

                                   ( 천문도상 가장지리는 땅.  천문도상에서는 땅이 하늘보다 크다. 그러므로 땅보다 넓은건 없다.  )

體恢洪而廓落形             넓게 펴서 갖춘 형체는 두르고 있는 울타리로 내려앉은 모양이

 

脩廣而幽清                  훤칠하게 헤벌어져서 호젓하고  청량하다. ( 천문도 모양 )

 

可以                          가히

玄象課其進退               들고나는 그것(별자리)에 숫자를 메긴 모양은 현묘하다 하겠다.

                                                                                                                              ( 천문도상 적경 적위값 )

然而宏遠不可指掌也       그렇게 멀고 넓은 것을 손바닥 보듯 할 수는 없다.

 

可以                          가히

晷儀驗其長短然             해시계와 혼천의로 길고 짧음을 증험할 수 있으나

 

其巨闊不可度量也          그것(별들)이 넓게 퍼져있으니 도수를 측정할 수가 없다.

 

雖窮神知化不能極          가라안고 높이 뜨는 변화를 알지라도 정확성을 극대화할 수 없다.

                                                                                         ( : 별이 지다. : 별이 높이 뜨다. 천문해자 )

其妙探賾索隱               그 기묘하게 깊숙하게 숨겨져 보이지 않는 것을 찾아내도

 

不能盡其微                  그 미세한 부분까지는 모두 감당할 수 없다.

 

是以詭異之說出            그러니 이상하게 잘못된 말들이 나오게 되니

 

則兩端之理生               두 가지 이론이 생겨난 것이다.

 

遂有渾天蓋天               끝내는 혼천설과 개천설이 됐다.

 

兼而並之                     이 두 이론을 함께 아울러 본 것이다.

 

故能彌綸                     따라서 씨줄과 날줄을 두루 띠워 놓으면

 

天地之道有                  하늘과 땅의 길이 있으니

 

以見天地之賾               이로써 천지의 심오함을 보게 되는 것이다.

 

則渾天有靈憲之文          즉 혼천은 하늘의 북극점에서 펼친그림이고

                                                                        ( 靈憲영헌: 북극점에서 펼치다. 다음에 자세히....)

蓋天有周髀之法            개천은 句股구고로 角을 나눈 것이다.

 

累代存之官司是掌          (천문이론은)여러 대를 이어가며 관료들이 이를 장악하고 있는 것이다.

 

所以欽若昊天               소위 하늘을 그렇게도 받드는 냥 하면서

 

恭授民時爽以               공경하는 백성들에게 딱 들어맞는 달력을 내려주는 것으로써

 

暗蔽                          (천문의 방법은) 몰래 숨긴 것이다.

 

才學淺昧                    재주 있는 학생들의 기초수학 능력이 부족해

 

隣高山之仰止               가까이 있는 먼 산만 바라 볼뿐이다.

 

慕景行之                    (별들이)가는 모양을 뒤따라서

 

軌轍負                    (사유환)의 바퀴 자국이 짊어진 땔나무(남은 바퀴살)

                                               (천문도구의   둥근 환에 시간 값을 표시한 바퀴 살을 이르는 말이다.)

                 

餘日                         나머지 날짜(태음일 과 태양일의차 11)이다.

(달과 태양의 운행도수의 차이는 동지 날 좌표로 확인  보정함으로  남은 시간값의 바퀴살을 동지 때 땔나무라 표현 했다)

 

聊觀周髀                    밑변과 높이의 비로 세심히 살펴보면

 

其旨約而遠                 그것은 구면삼각법에 의해 멀어지는 것이다.

                                                                                      ( 旨約: 맞줄임한 맛 / 구면각의 비 )

其言曲而中                그 말은 가운데가 굽어있다는 말이다.

                                                                                     ( 球面이라는 뜻 )

將恐廢替濡滯不通        장차 이 이론을 버려 오래되면 뭔 뜻인지 몰라서

 

使談天者無所取則        하늘을 이야기할 때 이 이론을 이용하지 못할까 걱정이 되어

 

輒依經為圖                줄 곳 적경값으로 둘러쳐서 (천문도)그림을 그렸다.

 

誠冀                        진정 바라노니

頹毀重仞之墻             허물어지고 일그러져 겹쳐 있는 길은 경계선(천문도상 황도)이다.

                                            천문도상 적도에 비해 이그러져있는 황도와 적도의 모양 )

披露堂室之奧             안채(자마원)과 방(북극성)을 숨김없이 파헤치면 그 안에(북극) 있다.

                                         ( 堂당: 밤새도록 밤하늘에 떠있는 별이 그리는 동심원 자미원 )  

                                                室실: 북극을 찾을 때 기준이되는 별인 북극성이 돌며 그린 동심원 )

                                                ( :   천문도의 중심: 북극 )

 

庶博物君子               온갖 사물을 널리 잘 아는 박식한 여러 학자들이여 !

 

時逈思焉                  두고두고 생각해 볼 일이다.

 

 

 

 

趙君卿 - 台灣Wiki

趙君卿編輯本段回目錄趙君卿Zhao Shuang, 3世紀初

中國數學家東漢末至三國時代人生平不詳約生活於公元3世紀初字君卿東吳人據載他研究過張衡的天文學著作靈憲和劉洪的乾象曆》,也提到過算術」。他的主要貢獻是約在222年深人研究了周牌算經》,為該書寫了序言並作了詳細註釋其中一段530餘字的勾股圓方圖注文是數學史上極有價值的文獻它記述了勾股定理的理論證明將勾股定理表述為:「勾股各自乘並之為弦實開方除之即弦。」證明方法敘述為:「按弦圖又可以勾股相乘為朱實二倍之為朱實四以勾股之差自相乘為中黃實加差實亦成弦實

 

111111111[1].jpg
0.07MB

'산경 > 周脾算經 天文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周脾算經 卷上之一 1-1  (0) 2014.02.11
周脾算經 卷上之一 1- 2  (0) 2014.02.11
周脾算經 卷上之一 1  (0) 2013.10.31
周脾算經 卷上之二 2  (0) 2013.10.31
周脾算經 卷上之二 3  (0) 2013.10.31

 

고려사50, () 권제4, ()1 선명력(宣明曆)

고려사 선명력 해제

역지 서문

선명력

1 선명력 기삭(氣朔) 추보술(推步術)

2 선명력 발렴(發斂) 추보술

3 선명력 일전(日躔) 추보술

4 선명력의 월리(月離) 추보술

5 선명력 구루(晷漏) 추보술

6 선명력 교회(交會) 추보술

7 선명력 오성(五星) 추보술

고려사51, () 권제5, ()2 수시경력(授時曆經) ()

고려사 수시력 해제

수시력경 상

1 기삭(氣朔) 추보법

2 발렴(發歛) 추보법

3장 일전(日躔) 추보법

5장 중성(中星) 추보법

6장 교회(交會) 추보법

고려사52, () 권제6, ()3 수시력경(授時曆經) ()

수시력경 하

7 오성(五星) 추보법

8장 수시력 입성(立成)

高麗史卷 五十, 志卷第 四, 曆 一

曆志 序

宣明曆

第一 宣明步氣朔術

第二 宣明步發斂術

第三 宣明步日躔術

第四 宣明步月術

第五 宣明步晷漏術

第六 步交會術

第七 宣明步五星術

高麗史卷 五十一, 志卷第 五, 曆 二

授時曆經 上

第一 步氣朔

第二 步發歛

第三 步日躔

第四 步月離

第五 步中星

第六 步交會

高麗史卷 五十二, 志卷第 六, 曆 三

授時曆經 下

第七 步五星

第八 授時曆立成

'고천문학 > ---고천문 자료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체관측 프로그램 / 스텔라리움stellarium   (0) 2016.05.07
역경 집합  (0) 2014.02.04
별들의 이름  (0) 2013.10.06
스텔라리움 www.stellarium.org  (0) 2013.09.18
내가 본 지상 최대의 그림  (0) 2010.11.06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언어의 마술 > 1 -15'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行 오행  (0) 2013.12.08
伏靈  (0) 2013.10.30
朝鮮  (0) 2013.10.28
牝牡 빈모   (0) 2013.10.18
谷神곡신 신은 결코 죽지 않는다.   (0) 2013.10.18

바로가기

'언어의 마술 > 1 -15'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味오미   (0) 2013.12.08
伏靈  (0) 2013.10.30
朝鮮  (0) 2013.10.28
牝牡 빈모   (0) 2013.10.18
谷神곡신 신은 결코 죽지 않는다.   (0) 2013.10.18

 

洪範九疇 天文解 5

 

五行 첫 번 째 오행은

一曰水 첫 째는 수이고

二曰火 둘 째는 화이고

三曰木 세 째는 목이고

四曰金 네 째는 금이고

五曰土 다섯 째는 토이다.

水曰潤下 수는 밑으로 스미는 것이고

火曰炎上 화는 위로 쏟는 불꽃이고

木曰曲直 목은 굽음과 곧음이고

金曰從革 금은 가로 세로이고

土爰稼穡 토에서 심고 거둠이다.

 

五行의 이론은

고대 天地人三合의 이론을 바탕으로 세밀한 사물 관찰에서 터득한 이론의 벼리이다.

五行

하늘에서는 시간의 변화요

땅에서는 공간의 변화요

인간에 있어서는 생노병사 삶의 변화를 상징한다.

 

땅에 서있는 인간이 바라본 하늘의 천문은 별자리 운행에 따라 맞춰가는

방향. 시간. 좌표이동이 를 중심으로 한 변화이다.

 

1. 潤下作鹹 윤하는 짠맛이 되고

2. 炎上作苦 염상은 쓴맛이 되고

3. 曲直作酸 곡직은 신맛이 되고

4. 從革作辛 종혁은 매운맛이 되고

5. 稼穡作甘 가색은 단맛이 되니라

맛으로써 五行을 정의함에 있어서도 고대인들의 세밀한 사물관찰중 인간의 신체구조의 세밀한 관찰 결과로 얻어진 이론이다.

맛의 변화는 혀끝의 움직임을 표현한 것인데

이것은 천문에서는 관측기의 사유환과 규형의 변화를 상징하는 것이다.

 

1. 潤下作鹹 혀끝에 짠맛이 느껴지면 혀는 목구멍 속으로 말려든다.

이를 潤下목구멍 밑으로 스민다 한 것이다

 

 

천문에서는 황도환의 좌표가 가을이 되면 아래쪽으로 내려간다.

물밑으로 가라앉는다고 표현한다. 潛淵이라한다.

: 春分而登天秋分而潛淵이라한 말이다.

은 천문도구의 상징이다.

주역에서 潛淵勿用의 의미는 가을이후 추울 때 천문 도구의 활용 위치를 말한 것이다.

 

2. 炎上作苦 혀끝에 쓴맛을 느끼면 누구나 혀끝을 밖으로 내민다.

는 위로 솟구친다는 말의 의미는 혀를 밖으로 내민다는 말이다.

천문에서 하늘로 솟구치는 것은 봄이 되면 황도환의 좌표 방향이 하늘 위쪽으로 올라간다.

炎上人間事天文의 의미이다.

 

   

3. 曲直作酸 혀끝에 신맛을 느끼면 누구나 혀끝이 진저리를 치며 흔들어댄다.

혀를 굽혀다 폈다하는 다양한 모양세가 曲直이다.

 

木曲直作酸의 천문적 의미는 나무막대로 규표를 세워 그 해 그림자의 다양한 변화를 살피는 것이다. 앙부일구의 다양한 해 그림자 변화를 한다.

정오 때가되면 해 그림자는 이 된다.

 

4. 金從革作辛 혀끝에 매운맛을 느끼면 누구나 혀끝을 상하좌우로 흔들어댄다.

從革가로 세로의 의미이다.

천문에서 가로 세로의 의미는 赤經赤緯線分을 말한다.

은 선을 긋는다는 의미이다. 전각 칼로 목판에 가로세로 줄을 긋는다는 뜻이다.

천문도의 기본 틀을 만든다는 말이며 관측기구에서 별자리의 이동에 따라 규형이 전후좌우로 움직이는 모양을 뜻한다.

 

 

 

 

 

 

 

 

 

5. 土稼穡作甘 혀끝에 단맛을 느끼면 누구나 혀끝을 쩝쩝거리며 입 안팎을 들랑거리며 입술을 훑는다.

매 해 땅에 씨앗을 넣고 수확하는 순환을 의미한다. 土作甘의 순환 원리이다.

천문에서 北極을 정의하는 지표이다.

별자리는 北極을 중심으로 떠올랐다가 지는 영원한 순환을 반복한다.

             

 

 

 

 

                                               ------ 계속----------

 

 

 

 

'홍범구주 > 홍범구주 천문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洪範九疇  (0) 2014.02.12
洪範九疇 天文解 1  (0) 2014.02.11
洪範九疇 天文解 1  (0) 2013.12.06
洪範九疇 天文解 2  (0) 2013.12.06
洪範九疇 天文解 3  (0) 2013.12.06

위엄 위; 위엄, 두려워하다, 으르다, 협박하다.

 

천문적 의미는 바뀐 자리. 좌표이동. 이동한 위치. 등의 의미이다.

 

여자의 마음은 갈대라 했던가?

고문자 상형의 자는 변화를 의미한다.

戊戌자의 변형된 상형은 천문도구의 좌표이동을 상형한 것이다.

좌표이동을 한 자리라는 의미이다.

 

婦稱姑爲威姑 부인을 시어미라 부르게 되는 것은 시어미 자리로 격상된 것이다.

부인이 며느리를 얻어 시어미 자리에 앉게 된다는 말이다.

관측자의 위치가 N20°에서 관측을 하는 것과 N35°에서 관측을 할 때의 차이는

천정 좌표값이 변하고 북극의 위치 또한 변한다.

동서남북 상하의 6극의 좌표값이 변하는 것이다.

자의 의미이다.

'天文解字천문해자 > 자형별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健건:   (0) 2015.05.13
베틀  (0) 2014.03.29
  (0) 2013.12.06
  (0) 2013.12.06
  (0) 2013.12.04

 

 

 

'홍범구주 > 홍범구주 천문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洪範九疇 天文解 1  (0) 2014.02.11
洪範九疇 天文解 5 한글2002  (0) 2013.12.08
洪範九疇 天文解 2  (0) 2013.12.06
洪範九疇 天文解 3  (0) 2013.12.06
洪範九疇 天文解 4  (0) 2013.12.06

 

 

 

 

하도낙서의 출처 바로가기 http://blog.daum.net/_blog/ArticleCateList.do?blogid=08sdl&CATEGORYID=731209&dispkind=B2201

 

 

 

 

 

 

 

 

 

 

 

 

'홍범구주 > 홍범구주 천문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洪範九疇 天文解 5 한글2002  (0) 2013.12.08
洪範九疇 天文解 1  (0) 2013.12.06
洪範九疇 天文解 3  (0) 2013.12.06
洪範九疇 天文解 4  (0) 2013.12.06
洪範九疇 天文解 5  (0) 2013.12.06

 

 

 

 

 

'홍범구주 > 홍범구주 천문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洪範九疇 天文解 1  (0) 2013.12.06
洪範九疇 天文解 2  (0) 2013.12.06
洪範九疇 天文解 4  (0) 2013.12.06
洪範九疇 天文解 5  (0) 2013.12.06
洪範說   (0) 2013.11.24

 

 

                   문자의 천문적 의미

 

보고 바로 오기 http://blog.daum.net/gapgol1/16154388

 

의 천문적 의미는 정해진 구역이라는 의미이다.

人間事에서의 의미는 역량에 맞추어라는 의미이다.

천문관측에서 정해진 구역을 벗어나면 좌표값이 엉망이 된다.

人間事에서 자기 깜냥을 모르고 나부대면 실패뿐이다.

敬用五事 사람이하는 다섯 가지 일은 언제나 능력에 맞게 해야 한다.

 

 

보고 바로 오기http://blog.daum.net/gapgol1/16154391

 

천문에서 북극과 황극의 좌표정렬이 가장중요하다.

人間事에서 백성을 다스리는데 을 세우는 일이 이와 같다.

建用皇極 (천문을 함에) 태양의 극의 좌표를 맞춰 세우는 것이요

 

 

 

바로 보고 오기http://blog.daum.net/gapgol1/16154390

 

천문이란 때를 찾는 일이다.

人間事에서 농사를 지을 때 절기에 맞춰 씨앗을 넣듯

정치 또한 timeing이 중요하단다.

農用八政 때에 맞춰 씨를 넣듯 펼치는 것이 八政이요

 

 

보고 바로 오기http://blog.daum.net/gapgol1/16154393

 

천문에서 별자리의 움직임에 적경과 적위의 좌표값에 따라 천문도구의 사유환의 위치를 따라가며 맞춘다는 말이다.

人間事에서는 이에는 이 눈에는 눈으로 맞대응한다.

죄와 벌로써 다스리고 자애함으로 약자를 돕고 늘 중용을 지킴으로써 剛正柔의 베풀음이 있게 된다.

乂用三德 맞대응하여 다스리는 것이 三德이요

 

 

보고 바로 오기http://blog.daum.net/gapgol1/16154389

 

천문의 구체적 내용은 置閏이다.

人間事에서 잘못된 干支時間을 쓰면 연애도 전쟁도 역사도 낭패를 볼 수가 있다.

協用五紀 協치윤을 이용하여 때를 맞추는 것이 달력이요

 

 

보고 바로 오기http://blog.daum.net/gapgol1/16154400

 

천문의 가장 기본은 천문도구의 수직과 수평을 맞추는 일이다.

그리고 북극의 좌표를 정확히 정렬한 후 천문을 한다.

人間事에서도 기본 질서가 바로서지 않고서야 잘될 턱이 없다.

明用稽疑 정렬된 좌표가 의심나면 명확히 하며

 

 

보고 바로 오기http://blog.daum.net/gapgol1/16154401

 

천문에서 별자리는 각각의 적위 적경 위치가 정해진다.

그리고 큰 별 작은 별 붉은별 노란별 금방 떴다가 금방 지는 별 밤새도록 지지않는 주극성별 다 정해진 바가 있다.

人間事에서도 개개 자기 깜냥이 있으니 그저 나름대로 최선을 다할 뿐이다.

그것을 이라 한다.

嚮用五福 정해진 자신의 위치에 상응하여 쓰는 것이 오복이고

 

 

보고 바로 오기 http://blog.daum.net/gapgol1/16154418

 

천문에서 관측지를 이동하여 북위와 동경 좌표가 바뀌면 사방팔방 6극의 좌표도 변한다.

좌표를 이동한 그 자리에 맞게 6극의 좌표도 수정한다는 말이다.

人間事에서도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른다는 말이다.

威用六極 威그 위치에 맞게 쓰는 것이 六極이다.

 

                                                                                                     -계속_

 

 

 

 

 

 

 

 


 

'홍범구주 > 홍범구주 천문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洪範九疇 天文解 2  (0) 2013.12.06
洪範九疇 天文解 3  (0) 2013.12.06
洪範九疇 天文解 5  (0) 2013.12.06
洪範說   (0) 2013.11.24
洪範九疇 天文解 6  (0) 2013.11.24

 

 

'홍범구주 > 홍범구주 천문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洪範九疇 天文解 3  (0) 2013.12.06
洪範九疇 天文解 4  (0) 2013.12.06
洪範說   (0) 2013.11.24
洪範九疇 天文解 6  (0) 2013.11.24
洪範九疇 天文解 7  (0) 2013.11.22

 

三危太伯 그림파일    1.jpg

 

1.jpg
1.1MB

'언어의 마술 > 언어의 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危太伯 한글2002  (0) 2013.12.06
고서속의 이중적 언어  (0) 2010.11.06

懼바로가기

'天文解字천문해자 > 자형별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틀  (0) 2014.03.29
  (0) 2013.12.07
  (0) 2013.12.06
  (0) 2013.12.04
  (0) 2013.12.04

危바로가기

'天文解字천문해자 > 자형별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3.12.07
  (0) 2013.12.06
  (0) 2013.12.04
  (0) 2013.12.04
  (0) 2013.12.01

 

위태할 위; 위태하다, 위태롭게 하다, 두려워하다

 

 

천문에서 :위의 의미는 하늘 지붕이라는 뜻이다.

鄭玄의 주석에 危屋棟上也

는 지붕마루 위에 있다고 했다.

천문상 하늘의 지붕은 북극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태양의 축 황극의 위치를 말한다.

고대 천문의 출발점은 동지점에서 출발한다.

Bc 3.000 년경 동지점의 위치인 危宿의 별자리를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바로 동지 때의 좌표를 이르는 말이고

이때 황극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 고문자의 상형이다.

황극은 북극의 주변을 돌며 그야말로 하늘의 지붕역할을 한다.

 

危宿北方玄武 물병자리α Sadalmelik별 자리이다.

危宿α AqrRooftop이라 한다.

Rooftop의 뜻 또한 지붕위쪽 건물의 옥상을 말한다.

 

황극의 위치는 하지와 동지 때는 관측자의 정남북향으로 180°방향에 위치한다.

북극을 중심으로 춘분에는 동쪽 방향 추분에는 서쪽방향에 있게 된다.

이때 황극의 위치를 위라하고 三危가 있게 되는 것이니

春分危. 秋分危. 冬夏至危3방향 위가 설정 되는 것이다.

 

說文在高而懼也从厃人在厓上自卪止之也이라했다.

글자의 모양이

구자가 높이 있는 모양이라 했다. :두려워할 구 이다.

구자의 모양을 보자.

 

 

두 개의 좌표가 높이 떠있다는 뜻이다.

고문자의 상형은 태양의 축 황극의 위치를 그리고 있다.

또한

; 자는 사람의 모양에 우러러볼 첨자가 따라 붙어있는 한계점에 병부 절자가 와 있다고 했다.

이 말은 천문상 황극의 위치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각방향의 한계점에 위치한다는 말이다.

 

천문의 중심점은 동지 때의 좌표이다.

이 좌표의 정확성이 천문의 기본이다.

Bc 3.000 년경 동지점이 된다.

그러니까 자가 천문좌표로 이용 된지 5.000년이 넘었다는 말이기도 하다.

 

황극의 좌표로써 四危가 아난 三危가 되는 것은 춘 추분과는 달리

동지와 하지 때에 좌표는 같은 방향이기 때문에 三危가 되었다.

강희자전에

三峗山名通作危: 三峗는 산 이름인데 자로 쓰였다.

三峗山名

後漢·西羌傳: 三危山在沙州燉煌城東南以山有三峰故曰三危

삼위산은 사주 돈황 동남쪽에 있으며 세 봉우리로 돼있다. 라고도 하는 등 많은 설이 있다.

孟子·萬章上: 舜流共工於幽州放驩兜於崇山殺三苗於三危殛鯀於羽山四罪而天下咸服誅不仁關於三危的位置說法不一一說今甘肅敦煌三危山即古三危一說在 甘肅 岷山 之西南一說在 雲南參見三危山

 

우리는 흔히 三危太伯삼위태백이라한다.

돈황 동남쪽의 삼위산과 백두산이라고도 한다.

 

의 천문적의미를 지리적 위치에 접목하면

천지인 三合의 의미에서 볼 때 三危는 세 좌표이므로 땅에서도 세 지역으로 나타내야한다.

 

          天                           地              위치

동하지 때 황극                 돈황              

   춘분 때 황극                 白頭             左東

   추분 때 황극                西域?            右西

 

따라서 三危太伯은 돈황의 산과 백두산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돈황은 三危중 중심지가 되고

太伯三危중 동쪽 지역의 위치로 정했으나

고대에 서쪽지역은 (히말라야산 넘어)가서 본적이 없으므로

좌표설정을 할 수 없으니 라하고 천문에서 危宿의 서쪽 좌표를 虛宿이라 명명했다.

 

그러니 옛날 桓因환인께서 아래로 굽어본 곳은

三危太伯돈황과 백두산만이 아니라. 히말라야산맥 저 너머 까지를 아우른 말이다.

가서 본적이 없으므로 적지 못했을 뿐이다.

三危는 그 오래전 환인 때부터 정해져 있었다.

禹貢:三危旣宅

 

따라서

그 옛날 돈황은 천문에서는 은하의 중심이요

                                        땅의 중심이란 뜻이다.

 

桓因 자손들의 역사를 저 敦煌 부터 더듬어 가 보자!

'언어의 마술 > 언어의 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危太伯  (0) 2013.12.06
고서속의 이중적 언어  (0) 2010.11.06

 

 

 

 

 

 

'하도낙서 > ---하도낙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방진  (0) 2016.03.27
河圖의 出處  (0) 2013.12.04
河圖의 出處 한글2002  (0) 2013.11.30
洛書의 出處 한글2002  (0) 2013.11.27
天皇地皇人皇의 의미-  (0) 2013.10.13

河圖의 出處

 

 

1.jpg

1.jpg
1.97MB

'하도낙서 > ---하도낙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방진  (0) 2016.03.27
洛書의 出處 2  (0) 2013.12.05
河圖의 出處 한글2002  (0) 2013.11.30
洛書의 出處 한글2002  (0) 2013.11.27
天皇地皇人皇의 의미-  (0) 2013.10.13

 

 


Tv에 자주 등장하는  스타

매국노의 표상  정명수

또 한 명의 매국노가 그의 뒤를 따른다. 김돌쇠, 김돌시, 김돌이

 

 

己卯年 仁祖17年  明- 崇禎12년  淸- 崇德四年 1639년(당65세)

○六月胡使自稱中殿冊封而出來到孔詔院宣言中殿親出(    )驕慢使崔鳴吉齊銀千兩往說鄭明時金石伊等得免中殿之親出 鄭明時金石伊乃我國人而投附胡賊作獘一梗者之胡(    )

육월 청나라 사신이 중전책봉을 위하여 나왔다는 구실로 홍제원에서 중전이 친히 나와 받으라며(    )교만스러우니,

 최명길이 은 천 냥을 주고 그들을 설득해서 면했다. 

정명수. 김돌시는 우리나라 사람으로 오랑캐에 빌붙어 작당질을 하는 한 무리들이다. 오랑캐(    )

 ☞ :     鄭明時는 = 鄭命壽이고    金石伊는 = 金乭屎 =金突  / 김돌시, 김돌이다.

 

鄭命壽 金乭屎는 1618(광해군 10)년 청나라의 건주위 정벌 때 도원수 강홍립(姜弘立)을 따라 갔다가 포로가 된 정명수(鄭命壽)·김돌(金突) 등이우리나라 사정을 청나라에 알려줌으로써 청나라 황제의 신임을 얻고 양국간에 통역을 담당하면서 임금을 모독하고 조신을 업신여기는 한편, 관직이나 뇌물을 요구하고 조정 관료의 수염을 횃불로 지지는 등 갖은 행패를 부렸다.

 

庚辰年 仁祖18年 1640, 明- 崇禎13년  淸- 崇德5年(당66세)

○金石伊夲國官奴爵賊作奱淸使之行亦來作禮常與主上較倚而堅淸使久留國傷渴沈說夜趋鄭明時金石伊宿處各給銀子萬兩翌朝勸使發遝到義州金也責房妓色醜牧伯林慶業託以絶無美色則金遽怒曰雖入汝之室入不可廢也林大怒曳下庭使人告淸使曰我亦有淸國之職此漢辱我不可不治使曰笞於四十度杖以不祿木杖之如數卽死曳出之人皆快之

김돌시는 본시 관노비로써 벼슬을 도적질하여 바꾸고 청나라 사신을 따라 나와서 매번 사신을 접대하는 예법을 만드니 주상께서 보시기에도 그 폐단이 지나치다.

청나라 사신이 오래 머물고 있어 나라의 재정이 몹시 고갈 된지 오래되었다는 말씀에 밤으로 정명와 김돌시의 숙소로 달려가 각각 은자 만 냥을 주고 다음날 아침에 떠나가기를 권하였다.

의주로 돌아간 김돌시가 기생이 못생겼다고 책망하며 의주 목사 임경업에게 절세미인을 부탁하였는데 예쁜 곳이란 없는지라

김돌시가 갑자기 화를 내며 말하길 “너 같아도 그 방엔 못 들어갈 것이다.

당장 바꿔주라”하니

임경업이 열을 받아 김돌시를 뜰아래로 끌어내고 청나라 사신에게 항의하니

청나라 사신이 말하길 “나는 청나라의 사람이요 이놈 또한 청나라 벼슬을 하고 있으니 청나라를 욕되게 한 것이다.

그냥 둘 수 없다.

몽둥이로 40 대를 쳐라!.”사정 봐줄 것 없이 몽둥이를 내려치니 몇 대 맞자 쭉 뻗었다.

시체를 밖으로 끌어내니 모두가 쾌자를 불렀다.

 

 ☞  왕조실록에도 없는 매국노 김돌쇠의 사망기록이다.

 

                                     金啓 龍潭錄 중에서

 

 

 

'용담록 번역 > 용담록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담록1  (0) 2016.08.20
용담록2  (0) 2016.08.20
용담록1   (0) 2013.10.18

바로가기

'天文解字천문해자 > 자형별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3.12.06
  (0) 2013.12.06
  (0) 2013.12.04
  (0) 2013.12.01
  (0) 2013.12.01

: 스스로. 몸소. 어조사. ..로부터. 등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

 

지금까지 알고 있는 자의 생성원리는 눈 밑의 코를 연상하여 "스스로 숨을 쉬다"에서 "스스로"의 의미를 취했다고 한다.

 

그림은 甲骨文字에서 自字의 상형이다. 과연 ""를 상형화 한 것일까? 상형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상형을 자세히 들여다보면서, 천문의 기록으로 다시 본다면 그 의미는 다른데 있다.

 

 

 

 

甲骨文字상형을 자세히 관찰하면 인간의 손을 그리고 있다.

엄지와 새끼손가락은 구부리고 검지를 비롯한 세 손가락은 펴고 있는 모양의 그림이다.

 

그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소음이 나는 공사현장에서는 지금도 수신호를 사용하고 있다.

주먹을 쥐면 "작업중지"의 의미이고 상형과 같은 손 모양으로 좌우로 돌리면 계속 진행하라는 의사표시이다.

"진행하다""돌리다" 의 의미를 가지는 상형이다.

"돌린다"는 것은 天文圖에서 방위각을 돌린다는 의미이다.

360 의 둥근 천문도를 "돌리다"는 의미인 것이다.

 

"스스로"라는 의미의 引伸은 천문에서 하늘의 별과 달, 해가 어김없이 돌아간다는 의미이며, 하늘의 五星"스스로" 돌아가고 땅 또한 "스스로 "돌아 간다는 의미이다.

 

 

 

天文圖(천문도)에서 방위각을 돌린다는 의미를 쉽게 이해하자면,

옛날 TV에서 복권추첨을 할 때 숫자판을 돌리고 화살을 쏘아 번호를 맞히는 광경을 본다.

바로 숫자판을 "돌라다"는 의미이다.

자와 연관지어 자를 보면 이해가 빠르다.

날아가서 꽂힌 화살은 자이다.

 

자는 甲骨文字에서는 화살이 날아와 박힌 상형을 그리고 있다.

자의 의미는 "박히다.“ “ ...에 다다르다"이다.

돌아가는 숫자판에 화살이 날아와 박히는 과정을 천문도상애서 보면,

天文圖 0도의 좌표점에서 천문도를 돌려서 180도의 지점에 좌표점을 표시했다면 문자로 기록할 때는 "0度至180"라고 기록하는 것이다.

 

-:언제부터 언제까지의 갑골문자는 "돌아가기 시작한 곳부터 멈춰 선 곳까지"의 뜻이다. 천문도상의 시간 의 변화를 나타내는 문자이다.

 

'天文解字천문해자 > 자형별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3.12.06
  (0) 2013.12.04
  (0) 2013.12.01
  (0) 2013.12.01
  (0) 2013.11.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