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卷一

 

http://ctext.org/wiki.pl?if=gb&chapter=442506

 

卷一[查看正文] [修改] [查看歷史]1 天數五地數五合而為十數之全也

2 天以一而變四地以一而變四四者有體也而其一者無體也是謂有無之極也

3 天之體數四而用者三不用者一也

4 地之體數四而用者三不用者一也

5 是故無體之一以況自然也不用之一以況道也用之者三以況天地人也

6 體者八變用者六變是以八卦之象不易者四反易者二以六卦變而成八也

7 重卦之象不易者八反易者二十八以三十六變而成六十四也

8 故爻止於六卦盡於八策窮於三十六而重卦極於六十四也

9 卦成於八重於六十四爻成於六策窮於三十六而重於三百八十四也

10 天有四時一時四月一月四十日

11 四四十六而各去其一是以一時三月一月三十日也

12 四時體數也三月三十日用數也

13 體雖具四而其一常不用也故用者止於三而極於九也

14 體數常偶故有四有十二

15 用數常奇故有三有九

16 大數不足而小數常盈者何也?

17 以其大者不可見而小者可見也

18 故時止乎四月止乎三而日盈乎十也

19 是以人之肢體有四而指有十也

20 天見乎南而潛乎北極於六而餘於七是以人知其前昧其後而略其左右也

21 天體數四而用三地體數四而用三天剋地地剋天而剋者在地猶晝之餘分在地也是以天三而地四天有三辰地有四行也

22 然地之火且見且隱其餘分之謂耶?

23 乾七子兌六子離五子震四子巽三子坎二子艮一子坤至陰故無子

24 乾七子坤六子兌五子艮四子離三子坎二子震一子巽剛故無子

25 天有二正地有二正而共用二變以成八卦也

26 天有四正地有四正共用二十八變以成六十四卦也

27 是以小成之卦正者四變者二共六卦也

28 大成之卦正者八變者二十八共三十六卦也

29 乾坤坎離為三十六卦之祖兌震巽艮為二十八卦之祖也

30 乾坤七變是以晝夜之極不過七分也

31 艮兌六變是以月止於六共為十二也

32 離坎五變是以日止於五共為十也

33 震巽四變是以體止於四共為八也

34 卦之正變共三十六而爻又有二百一十六則用數之策也

35 三十六去四則三十二也又去四則二十八也又去四則二十四也故卦數三十二位去四而言之也

36 天數二十八位去八而言之也

37 地數二十四位去十二而言之也

38 四者乾坤坎離也八者併頤中孚大小過也十二者兌震泰既濟也

39 日有八位而用止於七去乾而言之也

40 月有八位而用止於六去兌而言之也

41 星有八位而用止於五去離而言之也

42 辰有八位而用止於四 去震而言之也

43 日有八位而數止於七去泰而言之也

44 月自兌起者月不能及日之數也

45 故十二月常餘十二日也

46 乾陽中陽不可變故一年只舉十二月也;

47 震陰中陰不可變故一日之十二時不可見也;

48 兌陽中陰離陰中陽皆可變故日月之數可分也

49 是以陰數以十二起陽數以三十起而常存二六也

50 舉年見月舉月見日舉日見時陽統陰也

51 是天四變含地四變日之變含月與星辰之變也

52 是以一卦含四卦也

53 日一位月一位星一位辰一位;

54 日有四位月有四位星有四位辰有四位四四十有六位盡此一變而日月之數窮矣

55 天有四變地有四變變有長也有消也十有六變而天地之數窮矣

56 日起於一月起於二星起於三辰起於四引而伸之陽數常六陰數常二十有二變而大小之運窮矣

57 三百六十變為十二萬九千六百十二萬九千六百變為一百六十七億九千六百一十六萬一百六十七億九千六百一十六萬變為二萬八千二百一十一兆九百九十萬七千

58 四百五十六億

59 以三百六十為時以十二萬九千六百為日以一百六十七億九千六百一十六萬為月以二萬八千二百一十一兆九百九十一萬七千四百五十六億為年則大小運之數立矣

60 二萬八千二百一十一兆九百九十一萬七千四百五十六億分而為十二, 

61 前六限為長後六限為消以當一年十二月之數而進退三百六十日矣

62 一百六十七億九千六百一十六萬分而為三十, 

63 以當一月三十日之數隨大運消長而進退六十日矣

64 十二萬九千六百分而為十二以當一日十二時之數而進退六日矣

65 三百六十以當一時之數隨小運之進退以當晝夜之時也

66 十六變之數去其交數取其用數得二萬八千二百一十一兆九百九十一萬七千四百五十六億分為十二限前六限為長後六限為消每限得十三億九千九百六十八萬之一百六十七億九千六百一十六萬

67 每一百六十七億九千六百一十六萬年開一分進六十日也

68 六限開六分進三百六十日也

69 猶有餘分之一故開七分進三百六十六日也

70 其退亦若是矣

71 十二萬九千六百去其三者交數也取其七者用數也

72 用數三而成於六加餘分故有七也

73 七之得九萬七百二十年半之得四萬五千三百六十年以進六日也

74 日有晝夜數有誂朒以成十有二日也

75 每三千六百年進一日凡四萬三千二百年進十有二日也

76 二千一百六十年以進餘分之六合交數之二千一百六十年共進十有二分以為閏也

77 故小運之變凡六十而成三百六十有六日也

78 六者三天也四者兩地也

79 天統乎體而託地以為體地分乎用而承天以為用

80 天地相依體用相附

 

 

維基 -> 皇極經世觀物外篇衍義 -> 卷二

 

卷二[查看正文] [修改] [查看歷史]1 乾為一乾之五爻分而為大有以當三百六十之數也;

2 乾之四爻分而為小畜以當十二萬九千六百之數也;

3 乾之三爻分而為履以當一百六十七億九千六百一十六萬之數也;

4 乾之二爻分而為同人以當二萬八千二百一十一兆九百九十萬七千

5 四百五十六億之數也;

6 乾之初爻分而為姤以當七秭九千五百八十六萬六千一百十垓九千九百

7 四十六萬四千八京八千四百三十九萬一千九百三十六兆之數也是謂分數也

8 分大為小皆自上而下故以陽數當之

9 一生二為夬當十二之數也;

10 二生四為大壯當四千三百二十之數也;

11 四生八為泰當五億五千九百八十七萬二千之數也;

12 八生十六為臨當九百四十四兆三千六百九十九萬六千九百一十五億

13 二千之數也;

14 十六生三十二為復當二千六百五十二萬八千八百七十垓三千六百六十四萬八

15 千八百京二千九百四十七萬九千七百三十一兆二千萬億之數也;

16 三十二生六十四為坤當無極之數也

17 是謂長數也長小為大皆自下而上故以陰數當之

18 天統乎體故八變而終於十六;

19 地分乎用故六變而終於十二

20 天起於一而終於七秭九千五百八十六萬六千一百一十垓九千九百四十六萬

21 四千八京八千四百三十九萬一千九百三十六兆;

22 地起於十二而終於二百四垓六千九百八十萬七千三百八十一京五千四百

23 九十一萬八千四百九十九兆七百二十萬億也

24 有地然後有二有二然後有晝夜

25 二三以變錯綜而成故易以二而生數以十二而起而一非數也非數而數以之成也

26 天行不息未嘗有晝夜人居地上以為晝夜故以地上之數為人之用也

27 天自臨以上地自師以上運數也;

28 天自同人以下地自遯以下年數也;

29 運數則在天者也年數則在地者也

30 天自賁以上地自艮以上用數也;

31 天自明夷以下地自否以下交數也;

32 天自震以上地自晉以上有數也;

33 天自益以下地自豫以下無數也

34 天之有數起乾而止震餘入於無者天辰不見也

35 地去一而起十二者地火常潛也故天以體為基而常隱其基地以用為本而常藏其用也

36 一時止於三月一月止於三十日皆去其辰數也

37 是以八八之卦六十四而不變者八可變者七

38 七八五十六其義亦由此矣

39 陽爻晝數也陰爻夜數也天地相銜陰陽相交故晝夜相雜剛柔相錯

40 春夏陽多也故晝數多夜數少, 

41 秋冬陰多也故晝數少夜數多

42 體數之策三百八十四去乾坤坎離之策為用數三百六十

43 體數之用二百七十去乾與坎離之策為用數之用二百五十二也

44 體數之用二百七十其一百五十六為陽一百十四為陰, 

45 去離之策得一百五十二陽一百一十二陰為實用之數也

46 蓋陽去離而用乾陰去坤而用坎也

47 是以天之陽策一百十二去其陰也;

48 地之陰策一百十二陽策四十去其南北之陽也

49 極南大暑極北大寒物不能生是以去之也

50 其四十為天之餘分耶? 陽侵陰晝侵夜是以在地也

51 合之為一百五十二陽一百十二陰也

52 陽去乾之策陰去坎之策得一百四十四陽一百八陰為用數之用也

53 陽三十六三之為一百八;

54 陰三十六 三之為一百八;

55 三陽三陰陰陽各半也

56 陽有餘分之一為三十六合之為一百四十四陽一百八陰也故體數之用二百七十而實用者二百六十四用數之用二百五十二也

57 卦有六十四而用止乎三十六爻有三百八十四而用止乎二百一十六也

58 六十四分而為二百五十六是以一卦去其初上之爻亦二百五十六也此生物之數也故離坎為生物之主以離四陽坎四陰故生物者必四也

59 陽一百一十二陰一百一十二去其離坎之爻則二百一十六也陰陽之四十共為二百五十六也

60 是以八卦用六爻乾坤主之也;

61 六爻用四位離坎主之也;

62 故天之昏曉不生物而日中生物地之南北不生物而中央生物也

63 體數何為者也? 生物者也

64 用數何為者也? 運行者也

65 運行者天也生物者地也

66 天以獨運故以用數自相乘而以用數之用為生物之時也;

67 地偶而生故以體數之用陽乘陰為生物之數也

68 天數三故六六而又六之是以乾之策二百一十有六;

69 地數兩故十二而十二之是以坤之策百四十有四也;

70 乾用九故三其八為二十四而九之亦二百一十六兩其八為十六而九之亦百四十有四;

71 坤用六故三其十二為三十六而六之亦二百一十六兩其十二為二十四而六之亦百四十有四也

72 坤以十二之三十六之四六之一與半為乾之餘分則乾得二百五十二坤得一百八也

73 陽四卦十二爻八陽四陰;

74 以三十六乘其陽以二十四乘其陰則三百八十四也

75 體有三百八十四而用止於三百六十何也?

76 以乾坤坎離之不用也

77 乾坤坎離之不用所以成三百六十之用也

78 故萬物變易而四者不變也夫惟不變是以能變也

79 用止於三百六十而有三百六十六何也? 數之贏也

80 數之贏則何用也? 乾之全用也

81 乾坤不用則離坎用半也

82 乾全用者何也? 陽主贏也

83 乾坤不用者何也? 獨陽不生專陰不成也

84 離坎用半何也? 離東坎西當陰陽之半為春秋晝夜之門也

85 或用乾或用離坎何也?

86 主陽而言之故用乾也;

87 主贏分而言之則陽侵陰晝侵夜故用離坎也

88 陽主贏故乾全用也;

89 陰主虛故坤全不用也;

90 陽侵陰陰侵陽故坎離用半也

91 是以天之南全見而北全不見東西各半見也

92 離坎陰陽之限也故離當寅坎當申而數常踰之者蓋陰陽之溢也

93 然用數不過乎寅交數不過乎申

94 乾四十八而四分之一分為陰所剋;

95 坤四十八而四分之一分為所剋之陽也;

96 故乾得三十六而坤得十二也

97 陽主進是以進之為三百六十日;

98 陰主消是以十二月消十二日也

99 順數之乾一兌二離三震四巽五坎六艮七坤八;

100 逆數之震一離兌二乾三巽四坎艮五坤六也

101 乾四十八兌三十離二十四震十;坤十二艮二十坎三十六巽四十

102 乾三十六坤十二離兌巽二十八坎艮震二十

103 圓數有一方數有二奇偶之義也

104 六即一也十二即二也

105 天圓而地方圓者數之起一而積六方者數之起一而積八變之則起四而積十二也

106 六者常以六變八者常以八變而十二者亦以八變自然之道也

107 八者天地之體也六者天之用也十二者地之用也

108 天變方為圓而常存其一地分一為四而常執其方;

109 天變其體而不變其用也地變其用而不變其體也

110 六者并其一而為七十二者并其四而為十六也

111 陽主進故天并其一而為七;

112 陰主退故地去其四而止於十二也是陽常存一而陰常晦一也故天地之體止於八而天之用極於七地之用止於十二也

113 圓者裁方以為用故一變四四去其一則三也;三變九九去其三則六也

114 方者展圓以為體故一變三并之四也四變十二并之十六也

115 故用數成於三而極於六體數成於四而極於十六也

116 是以圓者徑一而圍三起一而積六;

117 方者分一而為四分四而為十六皆自然之道也

118 一役二以生三三去其一則二也;

119 三生九九去其一則八也去其三則六也

120 故一役三三復役二也;

121 三役九九復役八與六也

122 是以二生四八生十六六生十二也

123 三并一則為四九并三則為十二也十二又并四則為十六

124 故四以一為本三為用;

125 十二以三為本九為用;

126 十六以四為本十二為用

127 圓者六變六六而進之故六十變而三百六十矣;

128 方者八變故八八而成六十四矣

129 陽主進是以進之為六十也

 

 

 

 

 

 

皇極經世觀物外篇衍義 -> 卷三

 

卷三[查看正文] [修改] [查看歷史]1 蓍數不以六而以七何也? 并其餘分也

2 去其餘分則六故策數三十六也

3 是以五十者六十四卦閏歲之策也;

4 其用四十有九者六十卦一歲之策也歸奇掛一猶一歲之閏也

5 卦直去四者何也?

6 天變而地效之是以蓍去一則卦去四也

7 圓者徑一圍三重之則六;

8 方者徑一圍四重之則八也

9 裁方而為圓天所以運行;

10 分大而為小地所以生化;

11 故天用六變地用四變也

12 一八為九裁為七;

13 八裁為六十六裁為十二二十四裁為十八三十二裁為二十四四十裁為三十四十八裁為三十六, 

14 五十六裁為四十二六十四裁為四十八也

15 一分為四八分為三十二十六分為六十四以致九十六分為三百八十四也

16 一生六六生十二十二生十八十八生二十四二十四生三十三十生三十六引而伸之六十變而生三百六十矣此運行之數也

17 四生十二十二生二十二十生二十八二十八生三十六此生物之數也

18 # 故乾之陽策三十六兌離巽之陽策二十八震坎艮之陽策二十坤之陽策十二也

19 圓者一變則生六去一則五也;

20 二變則生十二去二則十也;

21 三變則生十八去三則十五也;

22 四變則二十四去四則二十也;

23 五變則三十去五則二十五也;

24 六變則三十六去六則三十也;

25 # 是以存之則六六去之則五五也

26 五則四而存一也四則三而存一也三則二而存一也二則一而存一也故一生二去一則一也;

27 二生三去一則二也;

28 三生四去一則三也;

29 四生五去一則四也;

30 是故二以一為本三以二為本四以三為本五以四為本六以五為本

31 方者一變而為四四生八并四而為十二;

32 八生十二并八而為二十;

33 十二生十六并十二而為二十八;

34 十六生二十并十六而為三十六也

35 易之大衍何? 數也聖人之倚數也

36 天數二十五合之為五十;

37 地數三十合之為六十;

38 故曰五位相得而各有合也

39 五十者蓍數也六十者卦數也;

40 五者蓍之小衍故五十為大衍也;

41 八者卦之小成則六十四為大成也

42 蓍德圓以況天之數故七七四十九也五十者存一而言之也;

43 卦德方以況地之數故八八六十四也六十者去四而言之也

44 蓍者用數也卦者體數也

45 用以體為基故存一也;

46 體以用為本故去四也

47 圓者本一方者本四故蓍存一而卦去四也

48 蓍之用數七并其餘分亦存一之義也;

49 掛其一亦去一之義也

50 蓍之用數掛一以象三其餘四十八則一卦之策也四其十二為四十八也;

51 十二去三而用九四三十二所去之策也四九三十六所用之策也以當乾之三十六陽爻也;

52 十二去五而用七四五二十所去之策也四七二十八所用之策也以當兌離之二十八陽爻也;

53 十二去六而用六四六二十四所去之策也四六二十四所用之策也以當坤之二十四陰爻也;

54 十二去四而用八四四十六所去之策也四八三十二所用之策也, 

55 以當坎艮之二十四爻並上卦之八陰為三十二爻也

56 # 是故七九為陽六八為陰也

57 九者陽之極數六者陰之極數數極則反故為卦之變也

58 震巽無策者以當不用之數:

59 天以剛為德故柔者不見;

60 地以柔為體故剛者不生是以震巽無策也

61 乾用九故其策九也四之者以應四時一時九十日也;

62 坤用六故其策亦六也

63 奇數四有一有二有三有四策數四有六有七有八有九合而為八數以應方數之八變也;

64 歸奇合掛之數有六:

65 為五與四四也九與八八也, 

66 五與四八也九與四八也, 

67 五與八八也九與四四也以應圓數之六變也乾并餘分七為七政?

68 奇數極於四而五不用策數極於九而十不用五則一也十則二也故去五十而用四十九也

69 奇不用五策不用十有無之極也以況自然之數也

70 卦有六十四而用止於六十者何也?

71 六十卦者三百六十爻也故甲子止於六十也六甲而天道窮矣是以策數應之

72 三十六與二十四合之則六十也三十二與二十八合之亦六十也

73 乾四十八坤十二震二十巽四十離兌三十二坎艮二十八合之為六十

74 蓍數全故陽策三十六與二十八合之為六十四也;

75 卦數去其四故陰策二十四與三十二合之為五十六也

76 九進之為三十六皆陽數也故為陽中之陽;

77 七進之為二十八先陽後陰也故為陽中之陰;

78 六進之為二十四皆陰數也故為陰中之陰;

79 八進之為三十二先陰後陽也故為陰中之陽

80 蓍四進之則百卦四進之則百二十百則十也百二十則十二也

81 歸奇合卦之數得五與四四則策數四九也;

82 得九與八八則策數四六也;

83 得五與八八得九與四八則策數皆四七也;

84 得九與四四得五與四八則策數皆四八也

85 為九者一變以應乾也為六者一變以應坤也為七者二變以應兌與離也為八者二變以應艮與坎也

86 五與四四去掛一之數則四三十二也九與八八去掛一之數則四六二十四也五與八八九與四八去掛一之數則四五二十也九與四四五與四八去掛一之數則四四十六也

87 故去其三四五六之數以成九八七六之策也

88 天一地二天三地四天五地六天七地八天九地十參伍以變錯綜其數也如天地之相銜晝夜之相交也

89 一者數之始而非數也故二二為四三三為九四四為十六五五為二十五六六為三十六七七為四十九八八為六十四九九為八十一而一不可變也

90 百則十也十則一也亦不可變也是故數去其一而極於九皆用其變者也

91 五五二十五天數也;

92 六六三十六乾之策數也;

93 七七四十九大衍之用數也;

94 八八六十四卦數也;

95 九九八十一玄範之數也

96 大衍之數其算法之源乎?

97 是以算數之起不過乎方圓曲直也

98 乘數生數也除數消數也算法雖多不出乎此矣

99 陰無一陽無十;

100 陽得陰而生陰得陽而成故蓍數四而九卦數六而十也猶幹支之相錯幹以六終而支以五終也

101 三四十二也二六亦十二也二其十二二十四也三八亦二十四也四六亦二十四也;

102 三其十二三十六也四九亦三十六也六六亦三十六也;

103 四其十二四十八也三其十六亦四十八也六八亦四十八也;

104 五其十二六十也三其二十亦六十也六其十亦六十也皆自然之相符也

105 四九三十六也六六三十六也陽六而又兼陰六之半是以九也

106 故以二卦言之陰陽各三也;

107 以六爻言之天地人各二也

108 陰陽之中各有天地人天地人之中各有陰陽故參天兩地而倚數也

109 陽數一衍之而十十干之類是也;

110 陰數二衍之為十二十二支十二月之類是也

111 一變而二二變而四三變而八卦成矣

112 四變而十有六五變而三十有二六變而六十四卦備矣

113 易有真數三而已矣參天者三三而九兩地者倍三而六

114 參天兩地而倚數非天地之正數也

115 倚者擬也擬天地正數而生也

116 易之生數一十二萬九千六百總為四千三百二十世此消長之大數衍三十年之辰數即其數也;

117 歲三百六十日得四千三百二十辰以三十乘之得其數矣凡甲子甲午為世首此為經世之數始於日甲月子星甲辰子

118 又云:此經世日甲之數月子星甲辰子從之也

119 一十百千萬億為奇天之數也;

120 十二百二十千二百萬二千億二萬為偶地之數也

121 五十分之則為十若參天兩之則為六兩地又兩之則為四此天地分太極之數也

122 復至乾凡百有十二陽姤至坤凡八十陽;

123 姤至坤凡百有十二陰復至乾凡八十陰

124 陽數於三百六十上盈陰數於三百六十上縮

 

皇極經世觀物外篇衍義 -> 卷四

 

卷四[查看正文] [修改] [查看歷史]1 人為萬物之靈寄類於走走陰也故百二十

2 有一日之物有一月之物有一時之物有一歲之物有十歲之物至於百千萬皆有之天地亦物也亦有數焉

3 卦之反對皆六陽六陰也在易則六陽六陰者十有二對也;

4 去四正則八陽四陰八陰四陽者各六對也;

5 十陽二陰十陰二陽者各三對也

6 圓者星也歷紀之數其肇於此乎?

7 方者土也畫州并土之法其倣於此乎?

8 蓋圓者河圖之數;方者洛書之文

9 故羲文因之而造易禹箕敘之而作範也

10 太極既分兩儀立矣;

11 陽下交於陰陰上交於陽四象生矣;

12 陽交於陰陰交於陽而生天之四象;

13 剛交於柔柔交於剛而生地之四象於是八卦成矣

14 八卦相錯然後萬物生焉是故一分為二二分為四四分為八八分為十六十六分為三十二三十二分為六十四故曰分陰分陽迭用柔剛故易六位而成章也

15 十分為百百分為千千分為萬猶根之有幹幹之有枝枝之有葉愈大則愈少愈細則愈繁合之斯為一衍之斯為萬是故乾以分之坤以翕之震以長之巽以消之長則分分則消消則翕也

16 乾坤定位也震巽一交也兌離坎艮再交也故震陽少而陰尚多也巽陰少而陽尚多也兌離陽浸多也坎艮陰浸多也是以辰與火不見也

17 一氣分而陰陽判得陽之多者為天得陰之多者為地是故陰陽半而形質具焉陰陽偏而性情分焉形質又分則多陽者為剛也多陰者為柔也性情又分則多陽者陽之極也多陰者陰之極也

18 兌離巽得陽之多者也;

19 艮坎震得陰之多者也是以為天地用也

20 乾陽極坤陰極是以不用也

21 乾四分取一以與坤坤四分取一以奉乾乾坤合而生六子三男皆陽也三女皆陰也

22 兌分一陽以與艮坎分一陰以奉離震巽以二相易合而言之陰陽各半是以水火相生而相剋然後既成萬物也

23 乾坤之名位不可易也坎離名可易而位不可易也震巽位可易而名不可易也兌艮名與位皆可易也

24 離肖乾坎肖坤中孚肖乾頤肖離小過肖坤大過肖坎是以乾坤坎離中孚頤大小過皆不可易者也

25 離在天而當夜故陽中有陰也;

26 坎在地而當晝故陰中有陽也;

27 震始交陰而陽生巽始消陽而陰生兌陽長也艮陰長也;

28 震兌在天之陰也巽艮在地之陽也故震兌上陰而下陽巽艮上陽而下陰

29 天以始生言之故陰上而陽下交泰之義也;

30 地以既成言之故陽上而陰下尊卑之位也

31 乾坤定上下之位離坎列左右之門天地之所闔闢日月之所出入是以春夏秋冬晦朔弦望晝夜長短行度盈縮莫不由乎此矣

32 由下而上謂之升自上而下謂之降;

33 升者生也降者消也故陽生於下陰生於上是以萬物皆反生

34 陰生陽陽生陰陰復生陽陽復生陰是以循環而無窮也

35 陰陽生而分二儀二儀交而生四象四象交而生八卦八卦交而生萬物故二儀生天地之類四象定天地之體;

36 四象生日月之類八卦定日月之體;

37 八卦生萬物之類重卦定萬物之體

38 類者生之序也體者象之交也

39 推類者必本乎生觀體者必由乎象;

40 生則未來而逆推象則既成而順觀

41 是故日月一類也同出而異處也異處而同象也推此以往物焉逃哉

42 天變時而地應物時則陰變而陽應物則陽變而陰應故時可逆知物必順成是以陽盈而陰隨陰逆而陽順

43 語其體則天分而為地地分而為萬物而道不可分也

44 其終則萬物歸地地歸天天歸道是以君子貴道也

45 有變則必有應也故變於內者應於外變於外者應於內變於下者應於上變於上者應於下也

46 天變而日應之故變者從天而應者法日也

47 是以日紀乎星月會於辰水生於土火潛於石飛者棲木走者依草心肺之相聯肝膽之相屬無他變應之道也

48 本乎天者親上本乎地者親下故變之與應常反對也

49 陽交於陰而生蹄角之類也剛交於柔而生根荄之類也陰交於陽而生羽翼之類也柔交於剛而生支幹之類也

50 天交於地地交於天故有羽而走者足而騰者草中有木木中有草也

51 各以類而推之則生物之類不過是矣

52 走者便於下飛者利於上從其類也

53 陸中之物水中必具者猶影象也陸多走水多飛者交也

54 是故巨於陸者必細於水巨於水者必細於陸也

55 虎豹之毛猶草也鷹鸇之羽猶木也

56 木者星之子是以果實象之

57 葉陰也華實陽也枝葉軟而根幹堅也

58 人之骨巨而體繁木之幹巨而枝葉繁應天地之數也

59 動者體橫植者體縱人宜橫而反縱也

60 飛者有翅走者有趾人之兩手翅也兩足趾也

61 飛者食木走者食草人皆兼之而又食飛走也

62 故最貴於萬物也

63 體必交而後生故陽與剛交而生心肺陽與柔交而生肝膽柔與陰交而生腎與膀胱剛與陰交而生脾胃心生目膽生耳脾生鼻腎生口肺生骨肝生肉胃生髓膀胱生血故乾為心兌為脾離為膽震為腎坤為血艮為肉坎為髓巽為骨泰為目中孚為鼻既濟為耳頤為口大過為肺未濟為胃小過為肝否為膀胱

64 天地有八象人有十六象何也?

65 合天地而生人合父母而生子故有十六象也

66 心居肺膽居肝何也?

67 言性者必歸之天言體者必歸之地

68 地中有天石中有火是以心膽象之也

69 心膽之倒垂何也?

70 草木者地之體也人與草木皆反生是以倒垂也

71 口目橫而鼻耳縱何也?

72 體必交也

73 故動者宜縱而反橫植者宜橫而反縱皆交也

74 天有四時地有四方人有四支是以指節可以觀天掌文可以察地天地之理具指掌矣可不貴之哉!

75 神統於心氣統於腎形統於首形氣交而神主乎其中三才之道也

76 人之四肢各有脈也一脈三部一部三候以應天數也

77 心藏神腎藏精脾藏魂膽藏魄

78 胃受物而化之傳氣於肺傳血於肝而傳水穀於脬腸矣

 

 

 

 

皇極經世觀物外篇衍義 -> 卷五

 

卷五[查看正文] [修改] [查看歷史]1 天圓而地方天南高而北下是以望之如倚蓋然地東南下西北高是以東南多水西北多山也

2 天覆地地載天天地相函故天上有地地上有天

3 天渾渾於上而不可測也故觀斗數以占天也

4 斗之所建天之所行也魁建子杓建寅星以寅為晝也

5 斗有七星是以晝不過乎七分也

6 天行所以為晝夜日行所以為寒暑夏淺冬深天地之交也左旋右行天日之交也

7 日朝在東夕在西隨天之行也;

8 夏在北冬在南隨天之交也

9 天一周而超一星應日之行也;

10 春酉正夏午正秋卯正冬子正應日之交也

11 日以遲為進月以疾為退日月一會而加半日減半日是以為閏餘也

12 日一大運而進六日月一大運而退六日是以為閏差也

13 日行陽度則盈行陰度則縮賓主之道也;

14 月去日則明生而遲近日則魄生而疾君臣之義也

15 陽消則生陰故日下而月西出也;

16 陰盛則敵陽故月望而東出也

17 天為父日為子故天左旋日右行;

18 日為夫月為婦故日東出月西生也

19 日月之相食數之交也

20 日望月則月食月掩日則日食猶水火之相剋也

21 是以君子用智小人用力

22 日隨天而轉月隨日而行星隨月而見故星法月月法日日法天;

23 天半明半晦日半贏半縮月半盈半虧星半動半靜陰陽之義也

24 天晝夜常見日見於晝月見於夜而半不見星半見於夜貴賤之等也

25 月晝可見也故為陽中之陰星夜可見也故為陰中之陽

26 天奇而地耦是以占天文者觀星而已察地理者觀山水而已觀星而天體見矣觀山水而地體見矣

27 天體容物地體負物是故體幾於到也

28 極南大暑極北大寒故南融而北結萬物之死地也

29 夏則日隨斗而北冬則日隨斗而南故天地交而寒暑和寒暑和而物乃生焉

30 天以剛為德故柔者不見地以柔為體故剛者不生是以震天之陰也;地之陽也

31 有陽而陰效之故至陰者辰也至陽者日也皆在乎天而地則水火而已是以地上皆有質之物

32 陰伏陽而形質生陽伏陰而性情生是以陽生陰陰生陽陽剋陰陰剋陽

33 陽之不可伏者不見於地;陰之不可剋者不見於天

34 伏陽之少者其體必柔是以畏陽而為陽所用;

35 伏陽之多者其體必剛是以禦陽而為陰所用故水火動而隨陽土石靜而隨陰也

36 陽生陰故水先成;陰生陽故火後成

37 陰陽相生也體性相須也是以陽去則陰竭陰盡則陽滅

38 金火相守則流火木相得則然從其類也

39 水遇寒則結遇火則竭從其所勝也

40 陽得陰而為雨陰得陽而為風剛得柔而為雲柔得剛而為雷無陰則不能為雨無陽則不能為雷

41 雨柔也而屬陰陰不能獨立故待陽而後興;

42 雷剛也而屬體體不能自用必待陽而後發也

43 至哉文王之作易也!其得天地之用乎?

44 故乾坤交而為泰坎離交而為既濟也

45 乾生於子坤生於午坎終於寅離終於申以應天之時也

46 置乾於西北退坤於西南長子用事而長女代母坎離得位震兌為耦以應地之方

47 王者之法其盡於是矣!

48 乾坤天地之本坎離天地之用是以易始於乾坤中於坎離終於既未濟

49 而否泰為上經之中咸恒當下經之首皆言乎其用也

50 坤統三女於西南乾統三男於東北上經起於三下經終於四皆交泰之義也

51 故易者用也乾用九坤用六大衍用四十九而潛龍勿用也

52 大哉用乎!吾於此見聖人之心矣

53 乾坤交而為泰變而為雜卦也

54 乾坤坎離為上篇之用兌艮震巽為下篇之用也

55 頤中孚大小過為二篇之正也

56 易者一陰一陽之謂也

57 震兌始交者也故當朝夕之位;

58 離坎交之極者也故當子午之位;

59 巽艮雖不交而陰陽猶雜也故當用中之偏位;

60 乾坤純陰陽也故當不用之位

61 乾坤縱而六子橫易之本也;

62 震兌橫而六卦縱易之用也

63 天之陽在南而陰在北地之陰在南而陽在北人之陽在上而陰在下既交則陽下而陰上

64 辰數十二日月交會謂之辰

65 天之體也天之體無物之氣也

66 天之陽在南故日處之;

67 地之剛在北故山處之所以地高西北天高東南也

68 天之神棲乎日人之神發乎目人之神寤則棲心寐則棲腎所以象天此晝夜之道也

69 雲行雨施電發雷震亦各從其類也

70 吹噴吁呵呼風雨雲霧雷言相類也

71 萬物各有太極兩儀四象八卦之次亦有古今之象

72 雲有水火土石之異他類亦然

73 二至相去東西之度凡一百八十南北之度凡六十

74 冬至之月所行如夏至之日;

75 夏至之月所行如冬至之日

76 四正者乾坤坎離也

77 觀其象無反覆之變所以為正也

78 陽在陰中陽逆行陰在陽中陰逆行陽在陽中陰在陰中則皆順行

79 此真至之理按圖可見之矣

80 草類之細入於坤

81 五行之木萬物之類也

82 五行之金出乎石也

83 故水火土石不及金木金木生其間也

 

 

 

皇極經世觀物外篇衍義 -> 卷六

 

卷六[查看正文] [修改] [查看歷史]1 得天氣者動得地氣者靜

2 陽之類圓成形則方;

3 陰之類方成形則圓

4 木之枝幹土石之所成也所以不易

5 葉花水火之所成故變而易也

6 東赤南白西黃北黑此正色也驗之於曉午暮夜之時可見之矣

7 冬至之子中陰之極;

8 春分之卯中陽之中;

9 夏至之午中陽之極;

10 秋分之酉中陰之中

11 凡三百六十中分之則一百八十此二至二分相去之數也

12 陽中有陰陰中有陽天之道也

13 陽中之陽日也暑之道也;

14 陽中之陰月也以其陽之類故能見於晝;

15 陰中之陽星也所以見於夜;

16 陰中之陰辰也天壤也

17 辰之於天猶天地之體也地有五行天有五緯地止有水火天復有日月者月為真水日為真火陰陽真精是生五行所以天地之數各五陽數獨盈于七也

18 是故五藏之外又有心包絡命門而七者真心離火命門坎水五藏生焉精神之主性命之根也

19 干者幹之義陽也;

20 支者枝之義陰也;

21 干十而支十二是陽數中有陰陰數中有陽也

22 魚者水之族也蟲者風之族也

23 目口凸而耳鼻竅竅者受聲嗅氣物或不能閉之凸者視色別味物則能閉之也四者雖象於一而各備其四矣

24 水者火之地火者水之氣;

25 黑者白之地寒者暑之地

26 草伏之獸毛如草之莖林棲之鳥羽如林之葉類使之然也

27 石之花鹽消之類也

28 水之物無異乎陸之物各有寒熱之性大較則陸為陽中之陰而水為陰中之陽

29 日月星辰共為天水火土石共為地耳目鼻口共為首髓血骨肉共為身此乃五之數也

30 火生於無水生於有

31 辰至日為生日至辰為用蓋順為生而逆為用也

32 易有三百八十四爻真天文也

33 鷹鵰之類食生而雞 之類不專食生;

34 虎豹之類食生而貓犬之類食生又食穀以類推之從可知矣

35 馬牛皆陰類細分之則馬為陽而牛為陰

36 飛之類喜風而敏於飛上走之類喜土而利於走下

37 禽蟲之卵果穀之類也穀之類多子蟲之類亦然

38 蠶之類今歲蛾而子來歲則子而蠶;

39 蕪菁之類今歲根而苗來歲則苗而子此皆一歲之物也

40 天之氣運北而南則治南而北則亂亂久則復北而南矣天道人事皆然推之歷代可見消長之理也

41 在水者不瞑在風者瞑;

42 走之類上睫接下飛之類下睫接上類使之然也

43 在水而鱗飛之類也龜獺之類走之類也

44 夫四象若錯綜而用之日月天之陰陽水火地之陰陽星辰天之剛柔土石地之剛柔

45 飛之走雞鳧之類是也走之飛龍馬之屬是也

46 陽主舒長陰主慘急日入盈度陰從於陽;

47 日入縮度陽從於陰

48 神者人之主將寐在脾熟寐在腎將寤在肝正寤在心

49 天地之大寤在夏人之神則存於心

50 水之族以陰為主陽次之陸之類以陽為主陰次之故水類出水則死風類入水則死

51 然有出入之類龜蟹鵝鳧之類是也

52 天地之交十之三

53 天火無體之火也地火有體之火也火無體因物以為體

54 金石之火烈於草木之火者因物而然也

55 氣形盛則魂魄盛氣形衰則魂魄亦從而衰矣

56 魂隨氣而變魄隨形而止故形在則魄存形化則魄散

57 星為日餘辰為月餘

58 星之至微如沙塵者隕而為堆阜

59 藏者天行也府者地行也天地並行則配為八卦

60 八卦相錯者相交錯而成六十四卦也

61 夫易根於乾坤而生於姤復蓋剛交柔而為復柔交剛而為姤自茲而無窮矣

62 龍能大能小然亦有制之者受制於陰陽之氣得時則能變化變變則不能也

63 一歲之閏六陰六陽三年三十六日故三年一閏;

64 五年六十日故五歲再閏

65 先天圖中環中也

66 月體本黑受日之光而白

67 水在人之身為血土在人之身為肉

68 膽與腎同陰心與脾同陽心主目脾主鼻

69 陽中陽日也陽中陰月也陰中陽星也陰中陰辰也;

70 柔中柔水也柔中剛火也剛中柔土也剛中剛石也

71 鼻之氣目見之口之言耳聞之以類應也

72 倚蓋之說崑崙四垂而為海推之理則不然夫地直方而靜豈得如圓動之天乎?

73 動物自首生植物自根生自首生命在首自根生命在根

74 海潮者地之喘息也所以應月者從其類也

75 震為龍一陽動於二陰之下震也重淵之下有動物者豈非龍乎?

76 風類水類大小相反

77 天之陽在東南日月居之;

78 地之陰在西北火石居之

79 起震終艮一節明文王八卦也;

80 天地定位一節明伏羲八卦也;

81 八卦相錯者明交錯而成六十四也;

82 數往者順若順天而行是左旋也皆已生之卦也故云數往也;

83 知來者逆若逆天而行是右旋也皆未生之卦也故云知來也

84 夫易之數由逆而成矣

85 堯典 三百六旬有六日夫日之餘盈也六則月之餘盈也亦六若去日月之餘十二則有三百五十四乃日行之數以十二除之則得二十九日

86 素問肺主皮毛心脈脾肉肝筋腎骨上而下外而內也

87 心血腎骨交法也交即用也

88 乾為天之類本象也;為金之類別象也

89 天地並行則藏府配四藏天也四府地也

90 乾奇也陽也健也故天下之健莫如天;

91 坤耦也陰也順也故天下之順莫如地所以順天也;

92 震起也一陽起也起動也故天下之動莫如雷;

93 坎陷也一陽陷於二陰陷下也故天下之下莫如水;

94 艮止也一陽於是而止也故天下之止莫如山;

95 巽入也一陰入二陽之下故天下之入莫如風;

96 離麗也一陰離於二陽其卦錯然成文而華麗也故天下之麗莫如火又如附麗之麗;

97 兌說也一陰出於外而說於物故天下之說莫如澤

98 火內暗而外明故離陽在外火之用用外也;

99 水外暗而內明故坎陽在內水之用用內也

100 人寓形於走類者何也走類者地之長子也

101 自泰至否其間則有蠱矣;

102 自否至泰其間則有隨矣

103 天有五辰日月星辰與天為五;

104 地有五行金木水火與土為五

105 有溫泉而無寒火陰能從陽而陽不能從陰也

106 有雷則有電有電則有風雨生於水露生於土雷生於石電生於火, 

107 雷與風同為陽之極故有電必有風

108 木之堅非雷不能震草之柔非露不能潤

 

 

 

皇極經世觀物外篇衍義 -> 卷七

 

卷七[查看正文] [修改] [查看歷史]1 陽尊而神尊故役物神故藏用是以道生天地萬物而不自見也天地萬物亦取法乎道矣

2 陽者道之用陰者道之體陽用陰陰用陽以陽為用則尊陰以陰為用則尊陽也

3 陰幾於道故以況道也

4 六變而成三十六矣八變而成六十四矣十二變而成三百八十四矣六六而變之八八六十四變而成三百八十四矣八八而變之七七四十九變而成三百八十四矣

5 無極之前陰含陽也有象之後陽分陰也陰為陽之母陽為陰之父故母孕長男而為復父生長女而為姤是以陽起於復而陰起於姤也

6 性非體不成體非性不生陽以陰為體陰以陽為體動者性也靜者體也

7 在天則陽動而陰靜在地則陽靜而陰動

8 性得體而靜體隨性而動是以陽舒而陰急也

9 陽不能獨立必得陰而後立故陽以陰為基;

10 陰不能自見必待陽而後見故陰以陽為唱

11 陽知其始而享其成陰效其法而終其勞

12 陽能知而陰不能知陽能見而陰不能見也

13 能知能見者為有故陽性有而陰性無也;

14 陽有所不遍而陰無所不遍也陽有去而陰常居也, 

15 無不遍而常居者為實故陽體虛而陰體實也

16 天地之本其起於中乎!

17 是以乾坤屢變而不離乎中

18 人居天地之中心居人之中日中則盛月中則盈故君子貴中也

19 本一氣也生則為陽消則為陰故二者一而已矣

20 四者二而已矣六者三而已矣八者四而已矣

21 是以言天不言地言君不言臣言父不言子言夫不言婦也

22 然天得地而萬物生君得臣而萬化行父得子夫得婦而家道成

23 故有一則有二有二則有四有三則有六有四則有八

24 有意必有言有言必有象有象必有數數立則象生象生則言著彰言著彰則意顯象數則筌蹄也言意則魚兔也得魚兔而忘筌蹄可也捨筌蹄而求魚兔則未見其得也

25 天變而人效之故元亨利貞易之變也;

26 人行而天應之故吉凶悔吝易之應也

27 以元亨為變則利貞為應以吉凶為應則悔吝為變

28 元則吉吉則利應之亨則凶凶則應之以貞悔則吉吝則凶是以變中有應應中有變也

29 變中之應天道也故元為變則亨應之利為變則應之以貞;

30 應中之變人事也故變則凶應則吉變則吝應則悔也

31 悔者吉之先而吝者凶之本是以君子從天不從人

32 元者春也仁也春者時之始仁者德之長時則未盛而德足以長人故言德不言時;

33 亨者夏也禮也夏者時之盛禮者德之文盛則必衰而文不足救之故言時不言德故曰大哉乾元而上九有悔也;

34 利者秋也義也秋者時之成義者德之方萬物方成而獲利義者不通於利故言時不言德也;

35 貞者冬也智也冬者時之末智者德之衰貞則吉不貞則凶故言德而不言時也故曰:利貞者性情也

36 道生天天生地及其功成而身退故子繼父禪是以乾退一位也

37 象起於形數起於質名起於言意起於用

38 天下之數出乎理違乎理則入於術世人以數而入術故失於理也

39 天可以理盡而不可以形盡渾天之術以形盡天可乎?

40 精義入神以致用也不精義則不能入神不能入神則不能致用

41 為治之道必通其變不可以膠柱猶春之時不可行冬之令也

42 自然而然不得而更者內象內數也他皆外象外數也

43 天道之變王道之權也

44 卦各有性有體然皆不離乾坤之門如萬物受性於天而各為其性也

45 其在人則為人之性在禽獸則為禽獸之性在草木則為草木之性

46 天以氣為主體為次;

47 地以體為主氣為次

48 在天在地者亦如之

49 氣則養性性則乘氣故氣存則性存性動則氣動也

50 堯之前先天也;堯之後後天也

51 後天乃效法耳

 

 

 

 

皇極經世觀物外篇衍義 -> 卷八

 

卷八[查看正文] [修改] [查看歷史]1 天之象數則可得而推如其神用則不可得而測也

2 自然而然者天也唯聖人能索之;

3 效法者人也若時行時止雖人也亦天也

4 生者性天也;成者形地也

5 日入地中交精之象

6 體四而變六兼神與氣也

7 氣變必六故三百六十也

8 凡事為之極幾十之七則可止矣

9 蓋夏至之日止於六十兼之以晨昏分可辨色矣庶幾乎十之七也

10 圖雖無文吾終日言未嘗離乎是蓋天地萬物之理盡在其中矣

11 氣一而已主之者乾也神亦一而已乘氣而變化出入於有無死生之間無方而不測者也

12 不知乾無以知性命之理

13 時然後言乃應變而言言不在我也

14 仁配天地謂之人唯仁者真可以謂之人矣

15 生而成成而生易之道也

16 氣者神之宅也;體者氣之宅也

17 天六地四天以氣為質而以神為神地以質為質而以氣為神唯人兼乎萬物而為萬物之靈如禽獸之聲以其類而各能其一無所不能者人也

18 推之他事亦莫不然唯人得天地日月交之用他類則不能也

19 人之生真可謂之貴矣!

20 天地與其貴而不自貴是悖天地之理不祥莫大焉

21 燈之明暗之境日月之象也

22 月者日之影也;情者性之影也

23 心性而膽情性神而情鬼

24 心為太極又曰道為太極

25 形可分神不可分

26 陰事大半蓋陽一而陰二也

27 冬至之後為呼夏至之後為吸此天地一歲之呼吸也

28 以物喜物以物悲物此發而中節者也

29 不我物則能物物

30 任我則情情則蔽蔽則昏矣;

31 因物則性性則神神則明矣

32 潛天潛地不行而至不為陰陽所攝者神也

33 天之孽十之一猶可違;人之孽十之九不可逭

34 先天之學心也;

35 後天之學跡也;

36 出入有無死生者道也

37 神無所在無所不在至人與他心通者以其本於一也

38 道與一神之強名也

39 以神為神者至言也

40 身地也本靜所以能動者血氣使之然也

41 生生長類天地成功;

42 別生分類聖人成能

43 以物觀物性也;

44 以我觀物情也

45 性公而明情偏而暗

46 陽主闢而出陰主翕而入

47 日在於水則生離則死交與不交之謂也

48 陰對陽為二然陽來則生陽去則死天地萬物生死主於陽則歸之于一也

49 神無方而性有質

50 發於性則見於情發於情則見於色以類而應也

51 以天地生萬物則以萬物為萬物;

52 以道生天地則天地亦萬物也

53 人之貴兼乎萬物自重而得其貴所以能用萬類

54 凡人之善惡形于言發于行人始得而知之;

55 但萌諸心發于慮鬼神已得而知之矣

56 此君子所以慎獨也

57 氣變而形化

58 人之類備乎萬物之性

59 人之神則天地之神人之自欺所以欺天地可不戒哉?

60 人之畏鬼亦猶鬼之畏人人積善而陽多鬼亦畏之矣積惡而陰多鬼不畏之矣

61 大人者與鬼神合其吉凶夫何畏之有?

62 至理之學非至誠則不至物理之學或有所不通不可以強通強通則有我有我則失理而下入於數矣

63 心一而不分則能應萬物此君子所以虛心而不動也

64 聖人利物而無我

65 明則有日月幽則有鬼神

66 夫聖人六經渾然無跡如天道焉

67 春秋錄實事而善惡形于其中矣

68 中庸之法自中者天也自外者人也

69 韻法闢翕者律天清濁者呂地先閉後開者春也;

70 純開者夏也;

71 先開後閉者秋也;

72 冬則閉而無聲

73 東為春聲陽為夏聲此見作韻者亦有所至也銜凡冬聲也

74 寂然不動反本復靜坤之時也感而遂通天下之故陽動於中間不容髮復之義也

75 不見動而動妄也;

76 動乎否之時是也

77 見動而動則為無妄然所以有災者陽微而無應也;

78 有應而動則為益矣

79 精氣為物形也;

80 遊魂為變神也;

81 又曰:精氣為物體也;

82 遊魂為變用也

83 君子之學以潤身為本其治人應物皆餘事也

84 剸割者才力也;

85 明辨者智識也;

86 寬洪者德器也三者不可闕一

87 無德者責人怨人易滿滿則止也

88 能循天理動者造化在我也

89 學不際天人不足謂之學

90 人必有德器然後喜怒皆不妄為卿相為匹夫以至學問高天下亦若無有也

91 得天理者不獨潤身亦能潤心不獨潤心至于性命亦潤

92 曆不能無差今之學曆者但知曆法不知曆理能布算者落下閎也能推步者甘公石公也

93 落下閎但知曆法揚雄知曆法又知曆理

94 顏子不遷怒不貳過皆情也非性也

95 不至於性命不足謂之好學

96 揚雄作玄可謂見天地之心者也

97 易無體也:既有典常則是有體也恐遂以為有體故曰不可為典要

98 既有典常常也;不可為典要變也

99 莊周雄辯數千年一人而已

100 如庖丁解牛曰踟躕四顧孔子觀呂梁之水曰蹈水之道無私皆至理之言也

101 夫易者聖人長君子消小人之具也

102 及其長也闢之於未然;及其消也闔之於未然

103 一消一長一闢一闔渾渾然無跡非天下之至神其孰能與於此?

104 大過本末弱也必有大德大位然後可救常分有可過者有不可過者大德大位可過者也伊周其人也不可懼也;

105 有大德無大位不可過者也孔孟其人也不可悶也其位不勝德耶?

106 大哉位乎!待時用之宅也

107 復次剝明治生於亂乎?

108 姤次夬明亂生於治乎?

109 時哉時哉未有剝而不復未有夬而不姤者防乎其防邦家其長子孫其昌是以聖人貴未然之防是謂易之大綱

110 先天學心法也

111 故圖皆自中起萬化萬事生乎心也

112 所行之路不可不寬寬則少礙

113 知易者不必引用講解始為知易

114 孟子著書未嘗及易其間易道存焉但人見之者鮮耳

115 人能用易是為知易如孟子可謂善用易者也

116 所謂皇帝王伯者非獨三皇五帝三王五伯而已但用無為則皇也用恩信則帝也用公正則王也用知力則伯也

117 鬼神無形而有用其情狀可得而知也於用則可見之矣

118 若人之耳目鼻口手足草木之枝葉花實顏色皆鬼神之所為也

119 福善禍淫主之者誰耶?

120 聰明正直有之者誰耶?

121 不疾而速不行而至任之者誰耶?

122 皆鬼神之情狀也

123 易有意象立意皆所以明象統下三者:

124 有言象不擬物而直言以明事;

125 有像象擬一物以明意;

126 有數象七日八月三年十年之類是也

127 易之數窮天地始終或曰:天地亦有始終乎?

128 :既有消長豈無終始?

129 天地雖大是亦形器乃二物也

130 易有內象理致是也;

131 有外象指定一物而不變者是也

132 在人則乾道成男坤道成女在物則乾道成陽坤道成陰

133 神無方則易無體滯於一方則不能變化非神也;

134 有定體則不能變通非易也

135 易雖有體體者象也假象以見體而本無體也

136 事無大小皆有道在其間能安分則謂之道不能安分謂之非道

137 正音律數行至於七而止者以夏至之日出於寅而入於戌亥子丑三時則日入於地而目無所見此三數不行者所以比於三時也

138 故生物之數亦然非數之不行也有數而不見也

139 六虛者六位也虛以待變動之事也六爻六卦

140 有形則有體有性則有情

141 天主用地主體聖人主用百姓主體故日用而不知

142 法始乎伏羲成於堯革於三王極於五伯絕於秦

143 萬事治亂之跡無以逃此矣

144 神者易之主也所以無方;

145 易者神之用也所以無體

146 循理則為常理之外則為異矣

147 火以性為主體次之;

148 水以體為主性次之

149 陽性而陰情性神而情鬼

150 易之首於乾坤中於坎離終於水火之交不交皆至理也

151 太極一也不動生二二則神也神生數數生象象生器

152 太極不動性也發則神神則數數則象象則器器之變復歸於神也

 

 

 

 

皇極經世觀物外篇衍義 -> 卷九

 

卷九[查看正文] [修改] [查看歷史]1 諸卦不交於乾坤者則生於否泰否泰乾坤之交也

2 乾坤起自奇偶奇偶生自太極

3 天使我有是之謂命;

4 命之在我之謂性性之在物之謂理

5 朔易以陽氣自北方而生至北方而盡謂變易循環也

6 春陽得權故多旱;

7 秋陰得權故多雨

8 元有二有生天地之始者太極也;

9 有萬物之中各有始者生之本也

10 天地之心者生萬物之本也;

11 天地之情者情狀也與鬼神之情狀同也

12 莊子與惠子遊於濠梁之上莊子曰:條魚出遊從容是魚樂也此盡己之性能盡物之性也

13 非魚則然天下之物則然

14 若莊子者可謂善通物矣

15 老子知易之體者也

16 無思無為者神妙致一之地也

17 聖人以此洗心退藏於密

18 太極道之極也;

19 太玄道之元也;

20 太素色之本也;

21 太一數之始也;

22 太初事之初也;其成功則一也

23 太羹可和玄酒可漓則是造化亦可和可漓也

24 易地而處則無我也

25 誠者主性之具無端無方者也

26 至哉留侯善藏其用

27 素問密語之類於術之理可謂至矣

28 瞽瞍殺人舜視棄天下猶棄敝屣也竊負而逃遵海濱而處終身訢然樂而忘天下聖人雖天下之大不能易天性之愛

29 或問顯諸仁藏諸用:若日月之照臨四時之成歲是顯仁也;

30 其度數之然而不知其所以然是藏用也

31 君子於易玩象玩數玩辭玩意

32 兌說也其他皆有所害惟朋友講習無說於此故言其極者也

33 中庸非天降地出揆物之理度人之情行其所安是為得矣

34 元亨利貞之德各包吉凶悔吝之事

35 雖行乎德若違於時亦或凶矣

36 湯放桀武王伐紂而不以為弒者若孟子言男女授受不親禮也嫂溺則援之以手權也

37 故孔子既尊夷齊亦與湯武夷齊仁也湯武義也然唯湯武則可非湯武則是篡也

38 陰者陽之影鬼者人之影也

39 秦穆公有功於周能遷善改過為伯者之最;

40 晉文侯世世勤王遷平王於洛次之;

41 齊威公九合諸侯不以兵車又次之;

42 楚莊強大又次之;

43 宋襄公雖伯而力微會諸侯而為楚所執不足論也

44 治春秋者不先定四國之功過則事無統理不得聖人之心矣

45 春秋之間有功者未見大於四國有過者亦未見大於四國也故四者功之首罪之魁也

46 人言春秋非性命書非也

47 至於書郊牛之口傷改卜牛牛死乃不郊猶三望此因魯事而貶之也;

48 聖人何容心哉?無我故也豈非由性命而發言也?

49 又云春秋皆因事而褒貶豈容人特立私意哉?

50 又曰春秋聖人之筆削為天下之至公不知聖人之所以為公也

51 如因牛傷則知魯之潛郊因初獻六羽則知舊潛八佾因新作雉門則知舊無雉門皆非聖人有意於其間故曰春秋盡性之書也

52 易之為書將以順性命之理者循自然也

53 孔子絕四從心一以貫之至命者也;

54 顏子心齋屢空好學者也;

55 子貢多積以為學億度以求道不能刳心滅見委身於理不受命者也

56 春秋循自然之理而不立私意故為盡性之書也

57 初與上同然上亢不及初之進也;

58 二與五同然二之陰中不及五之陽中也;

59 三與四同然三處下卦之上不若四之近君也

60 人之貴兼乎萬物自重而得其貴所以能用萬類

61 至理之學非至誠則不至

62 素問陰符七國時書也

63 顯諸仁藏諸用孔子善藏其用乎?

64 莊荀之徒失之辯

65 伯夷義不食周粟至餓且死只得為仁而已

66 三人行必有師焉至於友一鄉之賢天下之賢以天下為未足又至於尚論古人無以加焉

67 義重則內重利重則外重

68 能醫人能醫之疾不得謂之良醫醫人之所不能醫者天下之良醫也

69 能處人所不能處之事則能為人所不能為之事也

70 人患乎自滿滿則止也

71 故禹不自滿假所以為賢雖學亦當常若不足不可臨深以為高也

72 人茍用心必有所得獨有多寡之異智識之有淺深也

73 理窮而後知性性盡而後知命命知而後知至

74 凡處失在得之先則得亦不喜;

75 若處得在失之先則失難處矣必至於隕穫

76 人必內重內重則外輕茍內輕必外重好利好名無所不至

77 天下言讀書者不少能讀書者少若得天理真樂何書不可讀何堅不可破何理不可精?

78 天時地裡人事三者知之不易

79 資性得之天也學問得之人也

80 資性由內出者也;學問由外入者也

81 自誠明性也自明誠學也

82 伯夷柳下惠得聖人之一端伯夷得聖人之清柳下惠得聖人之和孔子時清時和時行時止故得聖人之時

83 太玄九日當兩卦餘一卦當四日半

84 用兵之道必待人民富倉廩實府庫充兵強名正天時順地利得然後可舉

85 老子五千言大抵皆明物理

86 今有人登兩臺兩臺皆等則不見其高一臺高然後知其卑下者也

87 一國一家一身皆同能處一身則能處一家能處一家則能處一國能處一國則能處天下

88 心為身本家為國本國為天下本

89 心能運身茍心所不欲身能行乎?

90 人之精神貴藏而用之茍衒於外則鮮有不敗者

91 如利刃物來則剸之若恃刃之利而求割乎物則刃與物俱傷矣

92 言發於真誠則心不勞而逸人久而信之

93 作偽任數一時或可以欺人持久必敗

94 人貴有德小人有才者有之矣故才不可恃德不可無

95 天地日月悠久而已

96 故人當存乎遠不可見其邇

97 君子處畎畝則行畎畝之事;居廟堂則行廟堂之事故無入不自得

98 智數或能施於一朝蓋有時而窮惟至誠與天地同久

99 天地無則至誠可息茍天地不能無則至誠亦不息也

100 室中造車天下可行軌轍合故也茍順義理合人情日月所照皆可行也

101 斂天下之善則廣矣自用則小

102 漢儒以反經合道為權得一端者也

103 所以平物之輕重聖人行權酌其輕重而行之合其宜而已故執中無權者猶為偏也

104 王通言春秋王道之權非王通莫能及此

105 故權在一身則有一身之權在一鄉則有一鄉之權以至於天下則有天下之權用雖不同其權一也

106 夫弓固有強弱然一弓二人張之則有力者以為弓弱無力者以為弓強故有力者不以己之力有餘而以為弓弱無力者不以己之力不足而以為弓強何不思之甚也?

107 一弓非有強弱也二人之力強弱不同也

108 今有食一杯在前二人大餒而見之若相遜則均得食也;

109 相奪則爭非徒爭之而已或不得其食矣

110 此二者皆人之情也知之者鮮知此則天下之事皆如是也

111 先天學主乎誠至誠可以通神明不誠則不可以得道

112 良藥不可以離手善言不可以離口

113 事必量力量力故能久

114 學以人事為大今之經典古之人事也

115 春秋三傳之外陸淳啖助可以兼治

116 季札之才近伯夷叔向子產晏子之才相等管仲用智數晚識物理大抵才力過人也

117 五霸者功之首罪之魁也春秋者孔子之刑書也功過不相掩聖人先褒其功後貶其罪故罪人有功亦必錄之不可不恕也

118 新作兩觀新者貶之也誅其舊無也初獻六羽初者褒之也以其舊潛八佾也

119 某人受春秋於尹師魯師魯受於穆伯長某人後復攻伯長春秋無褒皆是貶也

120 田述古曰孫復亦云春秋有貶而無褒

121 :春秋禮法廢君臣亂其間有能為小善者安得不進之也?

122 況五霸實有功於天下且五霸固不及於王不猶愈於潛竊乎?安得不與之也!

123 治春秋者不辯名實不定五霸之功過則未可言治春秋

124 先定五霸之功過而治春秋則大意立若事事求之則無緒矣

125 凡人為學失於自主張太過

126 平王名雖王實不及一國之諸侯齊晉雖侯而實潛王皆春秋之名實也

127 子貢欲去告朔之餼羊羊名也理實也名存而實亡猶愈於名實俱亡

128 茍存其名安知後世無王者作?是以有所待也

129 春秋為君弱臣強而作故謂之名分之書

130 聖人之難在不失仁義忠信而成事業何如則可在於絕四

131 有馬者借人乘之舍己從人也

132 或問才難何謂也

133 :臨大事然後見才之難也

134 :何獨言才?

135 :才者天之良質也學者所以成其才也

136 :古人有不由學問而能立功業者何必曰學?

137 :周勃霍光能成大事唯其無學故未盡善也

138 人而無學則不能燭理不能燭理則固執而不通

139 人有出人之才必有剛克中剛則足以立事業處患難若用於他反為邪惡故孔子以申棖為焉得剛既有慾心必無剛也

140 君子喻於義賢人也;小人喻於利而已

141 義利兼忘者唯聖人能之

142 君子畏義而有所不為小人直不畏耳

143 聖人則動不踰矩何義之畏乎?

144 為學養心患在不由直道去利欲由直道任至誠則無所不通

145 天地之道直而已當以直求之若用智數由徑以求之是屈天地而循人欲也不亦難乎?

146 事無巨細皆有天人之理修身人也遇不遇天也得失不動心所以順天也行險僥倖是逆天也;

147 求之者人也得之與否天也得失不動心所以順天也強取必得是逆天理也逆天理者患禍必至

148 魯之兩觀郊天大禘皆非禮也

149 諸侯茍有四時之禘以為常祭可也至於五年大禘不可為也

150 仲弓可使南面可使從政也

151 誰能出不由戶?道也未有不由道而能濟者也

152 不由戶者鎖穴隙之類是也

153 多聞擇其善者而從之雖多聞必擇善而從之多見而識之別也雖多見 必有以別之

154 落下閎改顓帝曆為太初曆子雲準太初而作太玄凡八十一卦九分共二卦凡一五隔一四細分之則四分半當一卦氣起於中心故首中卦

155 元亨利貞變易不常天道之變也;

156 吉凶悔吝變易不定人道之應也

157 一陰一陽之謂道道無聲無形不可得而見者也故假道路之道而為名

158 人之有行必由於道

159 一陰一陽天地之道也物由是而生由是而成也

160 顯諸仁者天地生萬物之功則人可得而見也;

161 所以造萬物則人不可得而見是藏諸用也

162 十干天也十二支地也支干配天地之用也

163 易始於三皇書始於二帝詩始於三王春秋始於五霸

164 自乾坤至坎離以天道也;

165 自咸恒至既濟未濟以人事也

166 人謀人也鬼謀天也天人同謀而皆可則事成而吉也

167 變從時而便天下之事不失禮之大經;

168 變從時而順天下之理不失義之大權者君子之道也

169 五星之說自甘公石公始也

170 人智強則物智弱

171 莊子著盜蹠篇所以明至惡雖聖賢亦莫能化蓋上智與下愚不移故也

172 魯國之儒一人者謂孔子也

173 天下之事始過於重猶卒於輕始過於厚猶卒於薄況始以輕始以薄者乎?

174 故鮮失之重多失之輕;鮮失之厚多失之薄

175 是以君子不患過乎重常患過乎輕不患過乎厚 常患過乎薄也

176 莊子齊物未免較量較量則爭爭則不平不平則不和

177 無思無為者神妙致一之地也聖人以此洗心退藏於密

178 當仁不讓於師者進仁之道也

179 秦穆公伐鄭敗而有悔過自誓之言此非止霸者之事幾於王道能悔則無失也

180 此聖人所以錄於書末也

181 劉絢問無為對曰:時然後言人不厭其言樂然後笑人不厭其笑義然後取人不厭其取此所謂無為也

182 文中子曰:易樂者必多哀輕施者必好奪或曰:天下皆爭利棄義吾獨若之何?

183 子曰:舍其所爭取其所棄不亦君子乎?

184 若此之類理義之言也心跡之判久矣若此之類造化之言也

185 莊子氣豪若呂梁之事言之至者也;

186 盜蹠言事之無可奈何者雖聖人亦莫如之何;

187 漁父言事之不可強者雖聖人亦不可強此言有為無為之理順理則無為強則有為也

188 金需百鍊然後精人亦如此

189 佛氏棄君臣父子夫婦之道豈自然之理哉?

190 志於道者統而言之志者潛心之謂也德者得於己有形故有據德主於仁故曰依

191 莊子曰:庖人雖不治庖尸祝不越樽俎而代之此君子思不出其位素位而行之義也

192 晉狐射姑殺陽處父春秋書晉殺其大夫陽處父上漏言也君不密則失臣故書國殺

193 人得中和之氣則剛柔均陽多則偏剛陰多則偏柔

194 作易者其知盜乎?

195 聖人知天下萬物之理而一以貫之

196 以尊臨卑曰臨以上觀下曰觀

197 毋意毋必毋固毋我合而言之則一分而言之則二合而言之則二分而言之則四始於有意成於有我有意然後有必必生於意有固然後有我我生於固意有心必先期固不化我有己也

198 記問之學未足以為事業

199 學在不止故王通云:沒身而已

 

 

'황극경세서 >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邵康節觀物吟  (0) 2013.11.13
觀物外篇衍義  (0) 2013.11.13

 

皇極經世書 -- 觀物外篇衍義

http://ctext.org/wiki.pl?if=gb&chapter=442506

玄奇世界輯 邵雍撰

邵雍(10111077)

宋代 性理學者인의 詩集. 擊壤集原名이나 伊川擊壤集이라고도

흔히 부른다. 그는 堯夫, 蘇門山百源에서 공부를 하여 後世에 그의 學派

源學派라 부르게 되었다. 그리고 北海 李之才에게서 圖書先天象數之學을 배워 스스로

易學을 대성시켰다. 그는 두번이나 遺逸로서 被薦되었으나 벼슬자리에 나아가지 않고

洛中에 되거하여 富弼司馬先呂公著 등과 교류하며 많은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그는 자기 園宅에서 스스로 밭갈고 농사지어 자급하면서 자기가 사는 곳을 安樂窩,

신의 安樂先生이라 불렀다. 그가 죽은 뒤에는 康節이란 諡號가 내려졌었다. 그는

언제나 쉬지 않고 공부에 힘써 擊壤集 이외에도 皇極經世, 觀物內外篇, 漁樵問對 등의

저술을 남기었다. 이 책은 전 20권으로 된 邵雍自編詩集이다. 본래는 앞머리에

宋 治平 丙午(1066) 中秋日이란 自序가 있고, 뒤에는 1091(宋 元祐 6)

後序가 붙어 있고, 본문은 1049(宋 皇祐 元年)에 지은 大吟을 위시하여 그

가 죽은 해인 1077(宋 熙寧 10)에 지은 작품에 이르기까지 전작품들이 지은 시대순

으로 20권에 나뉘어 담겨져 있다. 그의 작품에는 唐代禪僧寒山(680?793?)

詩風을 느끼게 하는 哲學詩가 많은 것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의 하나이다. 한편 그

白居易(772846)처럼 平易하여 宋代 詩論理化散文化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

였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板刻한 이 詩集은 다시 앞머리에 1475(憲宗 11)

붙어있고 뒷머리에는 1480畢亨後題가 붙어 있는 明板本複刻한 것이다. 複刻

한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퍽 좋은 板本의 하나임에 틀림없다.

'황극경세서 >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邵康節觀物吟  (0) 2013.11.13
皇極經世觀物外篇衍義전문  (0) 2013.11.13

피타고라스 정리의 비밀 - 2부 a²+b²=c² .

 

http://www.youtube.com/watch?v=Fv3MwYzjg8U

'산경 > 靈憲 천문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靈憲에 대하여  (0) 2015.03.12
하얀 백지 위에 그린 둥근 원  (0) 2014.01.30

'언어의 마술 > ---자료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힐이 네 개의 눈을 가진 까닭  (0) 2013.09.15
한문  (0) 2010.09.04

爾雅는 문자의 뜻을 고증하고 설명하는 사전적인 성격을 지닌 책으로 전해진다.

爾雅의 내용중에는 고대 BC700년 경의 천문 좌표로 기록된천문학과 수학 이론이 많이 수록되 있다.

이글을 통해 고대천문의 놀라운 과학성과

이아 속에 숨어있는 고대 역사의 비밀을 풀어본다.

 

 

 

 

'고서 천문 > 爾雅'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釋宮 第五 -2- 天文解   (0) 2013.11.02
釋宮 第五 -1- 天文解  (0) 2013.11.02

釋宮第五 -2-

EY05,012 容謂之防.

EY05,013 連謂之簃.

EY05,014 屋上薄謂之筄.

EY05,015 兩階間謂之鄕. 中庭之左右謂之位. 門屛之間謂之宁. 屛謂之樹.

EY05,016 閍謂之門. 正門謂之應門. 觀謂之闕.

EY05,017 宮中之門謂之闈, 其小者謂之閨. 小閨謂之閤. 衖門謂之閎.

EY05,018 門側之堂謂之塾.

EY05,019 橛謂之闑. 闔謂之扉. 所以止扉謂之閎.

EY05,020 瓴甋謂之甓.

EY05,021 宮中衖謂之壼. 廟中路謂之唐. 堂途謂之陳.

EY05,022 ·, 途也. ···, 道也.

EY05,023 一達謂之道路, 二達謂之歧旁, 三達謂之劇旁, 四達謂之衢, 五達謂之康, 六達謂之莊, 七達謂之劇驂, 八達謂之崇期, 九達謂之逵.

EY05,024 室中謂之時, 堂上謂之行, 堂下謂之步, 門外謂之趨, 中庭謂之走, 大路謂之奔.

EY05,025 隄謂之梁, 石杠謂之徛.

EY05,026 室有東西廂曰廟, 無東西廂有室曰寢, 無室曰榭, 四方而高曰臺, 陜而修曲曰樓.

 

EY05,012 容謂之防

그릇 안에 넣는 것을 방이라 한다.

여기서 그릇이란 별자리보기판을 만들 때

천문도에 적경과 적위의 선분을 그려 넣으면 많은 사각의 틀이 생기게 된다.

이 사각의 틀을 그릇이라 칭한 것이며 그릇에 넣는다는 것은 그 속에 별자리를 그려 넣는다는 뜻이다.

 

 

EY05,013 連謂之簃

저 사각의 틀이 수평으로 잇닿아 있는 모양을 이 이라 이름 하였다.

 

EY05,014 屋上薄謂之筄

저 사각의 틀이 수직으로 위쪽 屋上을 향해 잇닿아 좁아지는 모양을 요라 이름 하였다.

 

EY05,015 兩階間謂之鄕. 中庭之左右謂之位. 門屛之間謂之宁. 屛謂之樹

兩階間이란 상하 적위 선분의 위도 차이를 뜻하는 말로써 아래 위 칸의 緯度차이를 향이라 칭한다는 말이다.

中庭이란 자신의 머리 위에 뜨는 별자리의 천문도상 위도를 뜻하는 말이다.

북위 30에서 관측을 했다면 천문도상 적위+30상의 위치를 말한다.

이곳의 위치를 위라고 칭했다.

門屛之間謂之宁

별자리 판에서 은 별자리가 보이기 시작하는 가장 자리를 말하며

은 별자리가 보이지 않는 회색 부분의 경계선을 이르는 말이다.

그 경계를 저라고 이름 하였다.

 

EY05,016 閍謂之門. 正門謂之應門. 觀謂之闕.

대궐 문이란 紫薇垣자미원이 자리한 주극성 별자리가 있는 부분의 구역을 설정하는 문을 말하는 것이고

가장 상단에 북극과 일직선을 이루는 부분을 應門응문이라 이름 지었다.

觀謂之闕

보이는 주극성 부분이 대궐 궐이다.

 

EY05,017 宮中之門謂之闈, 其小者謂之閨. 小閨謂之閤. 衖門謂之閎

주극성 별자리의 위도를 세분하여 각각의 ...호칭을 부여했다.

 

EY05,018 門側之堂謂之塾

門側之堂

이란 관측자의 위도가 나타나는 적위 선분이다.

이 좌표가 들어오는 입구를 숙이라 호칭했다.

 

EY05,019 橛謂之闑. 闔謂之扉. 所以止扉謂之閎

橛謂之闑 별자리판의 최하단부 별자리가 나타나는 좌표 문지방과 같은 위치를 얼이라 이름하고

별자리 판이 돌아갈 때에도 별자리가 나타나지 않는 지평과 맞닿은 곳을 문이라고 부른다.

 

EY05,020 瓴甋謂之甓

적위 선분과 젹경 선분이 만들어내는 사각의 틀 개체를 벽이라 한다.

 

EY05,021 宮中衖謂之壼廟中路謂之唐堂途謂之陳

자미원이 돌아가는 폭을 壼廟곤묘라 하고 가운데 길을 唐堂당도라 하며 늘 펼쳐지는 길이다.

 

EY05,022 路旅途也路場猷行道也

별자리들이 무리지어 가는 (적위 폭이 큰)길을 라하고

펼쳐지는 길마다 정해진 행로가 정해져 있다.

 

EY05,023 一達謂之道路, 二達謂之歧旁, 三達謂之劇旁, 四達謂之衢, 五達謂之康, 六達謂之莊, 七達謂之劇驂, 八達謂之崇期, 九達謂之逵.

 

 

 

EY05,024 室中謂之時 堂上謂之行 堂下謂之步 門外謂之趨 中庭謂之走 大路謂之奔

 

室中謂之時 방에서 보는 별자리(적위0°) 위치는 시간을 맞추고

堂上謂之行 지붕 위에 뜬 별(위도가 높은 별자리)은 걸어가며 보고

堂下謂之步 지붕 아래에 뜬 별(위도가 낮은 별자리)은 뛰어가며 보고

門外謂之趨 문밖에 나가서 (낮게 뜬 별) 빨리 달려가며 보고

中庭謂之走 뜰 가운데서 중간 쯤 뜬 별은 빨리 가며 보고

大路謂之奔 큰 길까지 나가서 아주 낮게 뜬 별은 도망가듯 가면서 본다.

밤하늘의 별이 낮게 떠있을수록 각거리차로 인하여 빠르게 움직여 간다는 설명이다.

 

EY05,025 隄謂之梁石杠謂之徛

隄梁杠徛

둑 제; , 언덕, 다리, 교량

들보 량{};들보, 징검다리, 다리, 교량

깃대 강;깃대, 다리, 조그마한 다리, 거개(車蓋)의 밑 테두리

징검다리 기;징검다리, 일어서다

 

EY05,026 室有東西廂曰廟 無東西廂有室曰寢 無室曰榭 四方而高曰臺 陜而修曲曰樓

별자리들이 모여 하나의 방을 동서로 이루어 졌을 때 모양을 상이라하고

동서의 방향이 없이 이루어 졌을 때 모양을 이라 하며

無室曰榭 별자리를 이루지 못한 별을 사라 부른다.

四方而高曰臺 서쪽으로 높이 올라간 별자리를 대라 하고

陜而修曲曰樓 좁고 굴곡이 있는 별자리를 루라 이름 한다.

 

 

 

                                     --계속--

 

 

'고서 천문 > 爾雅'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釋宮 第五 -1- 天文解   (0) 2013.11.10
釋宮 第五 -1- 天文解  (0) 2013.11.02

 

 

 

 

爾雅 釋宮第五 문자 사전적 의미 요약.hwp

 

 

BC 7000년 경 이미 천문도는 물론 별자리판가지 만들어 사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다.

 

 

 

 

 

 

 

 

 

爾雅 釋宮第五 문자 사전적 의미 요약.hwp
0.03MB

'고서 천문 > 爾雅'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釋宮 第五 -1- 天文解   (0) 2013.11.10
釋宮 第五 -2- 天文解   (0) 2013.11.02

湯問 第五

탕문 제5

 

殷湯問於夏革曰古初有物乎

은나라 탕 임금이 하혁에게 물었다. 그 옛날 애초부터 물건이 있었는가?

夏革曰古初無物今惡得物

그 옛날 맨 처음에 아무 것도 없이 지금 이 세상에 어떻게 물건이 있겠습니까?

後之人將謂今之無物可乎

장차 후대의 사람들이 지금에 물건이 없었다고 한다면 옳은 말이겠습니까?

殷湯曰然則物無先後乎

탕 임금이 말하길, 그러면 물건에는 먼저 생긴 것과 뒤에 생긴 것이 없다는 말인가?

夏革曰物之終始初無極已

하혁이 답하길. 물건의 시작과 끝이 있고, 처음에는 ()이 없을 뿐입니다.

始或爲終終或爲始惡知其紀

시작은 언제나 끝을 삼고, 끝은 시작으로 삼는 것이니, 어떻게 그 실마리를 알겠습니까?

然自物之外自事之先朕所不知也

이런 자연스런 물건의 외형은 스스로 이뤄낸 곳이 앞선 곳이 됩니다.

소인은 그곳(시작점과 끝나는 점)을 알지 못합니다.

殷湯曰然則上下八方有極盡乎

묻기를 그렇다면 상하팔방에는 끝나는 극점이 있는가?

革曰不知也湯固問革曰

모릅니다. 탕 임금이 계속 추궁하니 대답하길

無則無極有則有盡 朕何以知之

물건이 없으면 도 없고 있으면 끝나는 데가 있겠지만 소인이 그것을 어찌 알겠습니까?

然無極之外復無無極

이런 이 없는 것의 밖에는 또다시 이 없는 것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無盡之中復無無盡

끝이 없는 것의 가운데서 또다시 끝이 없는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無極復無無極

이 없으면 또다시 이 없는 것이 존재하지 않고,

無盡復無無盡朕以是知其無極無盡也 而不知其有極有盡也

끝이 없으면 또다시 끝이 없는 것이 존재하지 않으니 소인은 이로써 극이 없으면 끝나는 데도 없는 것을 알지만, 극이 있고 끝나는 데가 있는 것은 모릅니다.

 

湯又問曰四海之外奚有

탕 임금이 또 물었다. 四海의 밖에는 무엇이 있느냐?

革曰猶齊州也

대답하여 이곳과 같은 고을이 있습니다.

湯曰汝奚以實之

틀림없는 사실이냐?

革曰朕東行至營人民猶是也問營之東復猶營也西行至豳人民猶是也問豳之西復猶豳也朕以是知四海四荒四極之不異是也

대답하기를, 소인이 동쪽 끝이라고 하는 영에 가니, 여기와 다름없는 백성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영의 동쪽을 물었더니 또 영과 같은 곳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서쪽의 끝이라고 하는 빈에 가니 여기와 다름없는 백성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빈의 서쪽을 물었더니 빈과 같은 곳이 있다고 했습니다.

소인은 이로써 四海 四荒 四極이 우리와 다르지 않음을 알았습니다.

故大小相含無窮極也含萬物者亦如含天地 含萬物也

그러므로 크고 작은 것을 서로 끊임없이 합해지는 ()을 말합니다.

합해지는 만물이란, 또한 천지를 합한 것과 같이 합해진 만물입니다.

朕亦焉知天地之表不有大天地者乎亦吾所不知也

소인 또한 그렇다 여기고 있는 천지입니다.

큰 천지에 있지 않은 것을 표시하라면 역시 저는 알지 못합니다.

然則天地亦物也 物有不足

이런 즉 천지를 또한 물로 여기면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다.

故昔者女媧氏煉五色石以補其闕

그러므로 옛날 여와씨는 오색 빛깔의 돌들을 빗어서 그 불완전한 것을 보충했습니다.

斷鼇之足以立四極

조각 낸 바다거북의 다리로 四極을 세웠던 것입니다.

其後共工氏與顓頊爭爲帝怒而觸不周之山折天柱絶地維故天傾西北日月星辰就焉地不滿東南故

百川水潦歸焉

그 후 공공씨와 전욱씨는 임금이 되려고 싸우다 부주의 산에 부딪혀서

하늘을 고이고 있던 기둥이 꺾이고 땅을 매달고 있던 줄이 끊어졌습니다.

그러므로 하늘은 서북쪽으로 기울어지고, 해와 달과 별들도 따라나섰습니다.

땅은 동남쪽이 채워지지 않아 모든 강의 홍수를 맞은 것입니다.

 

 

천문적 해석

 

이란 四物을 이르는 말이 아니고 地球. 축구공의 의미이다.

朕以是知其無極無盡也而不知其有極有盡也

소인은 이로써 극이 없으면 끝나는 데도 없는 것을 알지만 극이 있고 끝나는 데가 있는 것은 모릅니다.

이란 方向방향이지 공간상의 위치점이 아니라는 말이다.

서두에서부터 위의 내용까지는 의 설명으로써 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다.

둥근 구에서는 이 없다는 말을 한 것이다.

또한 의 의미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지 공간상의 위치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둥근 축구공 위를 기어가는 개미의 행동은 개미자신의 위치에서는

동서남북의 방위를 정할 수 있어도 축구공자체는 극 방향을 정할 수 없다는 말이다.

 

四海之外사해 밖으로 더 나가면 영의 동쪽에 또 영과 같은 곳이 계속 이어지는 곳...

달리 설명이 필요 없을 듯하다.

동요: 윤석중 작사 앞으로

앞으로(앞으로) 앞으로(앞으로) 앞으로, 앞으로

지구는 둥그니까 자꾸 걸어 나가면 온 세상 어린이를 다 만나고 오겠네......“

지구가 둥글다는 이론은 列子의 시대 BC 400년 이전의 일이다.

 

故不窮含天地也故無極

그러므로 끊임없이 하늘과 땅이 합하여 지면그것은 극이 없는 것입니다.

끊임없이 하늘과 땅이 합하여진다는 말은 지구가 한없이 자전하여 그려내는 하늘의 모습을 말한다. 

 

四海之外 사람들도 우리와 다르지 않음을 알았다.

 

이 배를 타고 5대양 6대주를 여행한 것인가?

아니면 탕 임금 앞에 거짓을 고하는 것일까?

四海란 바다가 아니고 밤하늘의 사방을 이르는 말이다.

바닷가에서 밤하늘을 보면 바다의 수평선과 하늘이 모두 맞닿아있다.

그러니 모두가 바다로 보인다.

그래서 밤하늘을 바다라고 하는 것이다. 山海經이 그렇다.

 

 

四海四荒四極 네 개의 같은 바다와 들 등이 다르지 않다는 것은 지구의 반대쪽 나라에서도 같은 하늘을 공유하고 있고 四荒四極이라는 천문의 위치와 방위 설정을 같은 방법으로 천문을 하고 있다는 말이다.

四海의 밖은 관측자의 발아래 땅 밑이다.

그곳은 지금 대낮이다.

즉 다른 먼 나라 역시 같은 북극을 중심점으로 방위를 정하여 四極으로 천문을 하고 지표상의 緯度의 차이를 四荒으로 설정한다는 말이다.

 

 

: 爾雅觚竹北戶西王母日下謂之四荒

然則天地亦物也 物有不足 이런 즉 천지를 또한 물로 여기면 부족한 부분이 있다.

우주공간 전체를 하나의 로 설정한 이상 인간의 시선으로는 전체를 파악할 수 없다는 말이다.

둥근 지구가 하루 한번 자전하며 인간이 볼 수 있는 영역은 지평선 부근까지이다.

그 아래쪽은 보이지 않는다는 말이다. 따라서 이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故昔者女媧氏煉五色石以補其闕

여와씨는 오색 빛깔의 돌들을 빗어서 그 불완전한 것을 보충했다.

五色石이란 둥근 의 천문도 모양을 방성도로 나타낸 것이다.

자는 方星圖상의 네모의 틀의 의미이다.

 

중국 方星圖 큰 그림

              http://www.astronote.org/bbs/board.php?bo_table=ancient&wr_id=347&page=18 제작자 오길순

 

斷鼇之足以立四極 조각 낸 바다거북의 다리로 四極을 세웠다.

바다거북의 네 다리란 천문도를 말한다.

앞서 밝힌 <갑골문자는 천문기록이다> 내용에서 보듯 거북의 등껍질을 이용해서 천문 좌표를 그리고 그들의 조각들이 모여서 하나의 천문도를 이루게 되며 천문도상의 각각의 방위를 정하게 됐다는 말이다.

이것이 고대천문용어 상의 [거북이]의 의미이다. - 참조 구책열전 천문해 -

 

공공과 전욱의 전쟁 그리고 부주의 산

천문은 날로 발전하여 북극점을 찾고 천주를 설정하고 우리은하의 구조, 모양을 이해하게 되고 신화의 인물들이 등장하게 된다.

서양의 천문 신화는헤라클레스의 영웅적 모험이야기가 그 바탕을 이루고 있다

우리 신화 속의 공공과 전욱의 이야기는 더욱 실질적인 천문학으로 묘사된다.

글의 내용에서 보듯이 하늘의 極點을 두고. 공공과 전욱 형천 세 영웅은 다투게 된다.

밤하늘에는 사방. 필방의극 외에도 여러 개의 極點이 있다.

天柱 北極 黃極 銀河이다.

신화는 천문을 바탕으로 그려지며 공공. 전욱. 형천등의 고대 인물들의 치적은 하늘의 極點을 차지하기 위한 끝없는 전쟁의 역사로 그려진 것이다.

즉 천자의 지위는 천문에 있었던 것이다.

누가 봉선을 올리고 누가 천문으로 달력을 만드느냐의 싸움이다.

공공. 전욱. 형천의 치적은 곧 고대 천문을 이해하게 하고 곧 고대 역사 신화를 떠올리게 하는 이중적 언어인 것이다.

형천은 머리가 달아나 배꼽으로 입을 삼아 싸움을 계속한다.

달아난 형천의 머리가 없는 모양은 다름 아닌

우리은하의 北極방향이 밤하늘에서 사라진 때이다.

형천의 머리는 서양의 별자리인 머리털자리에 있는 우리 은하의 북극점이다.

머리가 없이 배꼽으로 입을 삼아 춤을 추는 형천의 모양은

밤하늘에서 우리은하의 북극이 서북쪽 하늘로 사라진 은하수의 모양인 것이다.

 

 

地不滿東南故百川水潦歸焉

땅이 기운 동남쪽이 黃道赤道23.5˚경사를 이룬다는 말이다.

百川 이란 해가 가는 길을 의미한다.

이미 밝힌 내용인 자의 의미는 은하수의 젖을 먹는 해를 의미하는 자형이다.

즉 은하수와 맞물려 움직이는 해의 길黃道를 뜻한다.

 

                                                                                               - 계속 -

 

逍 遙 遊 -1-

莊子 < 內篇 >

 

그 옛날 아무리 충직한 신하라 할지라도 임금에게 直言(직언)을 했다가는 볼기를 맞거나

아니면 당장 목이 달아난다. 임금을 훈계하고 설득하기 위해서는 古事(고사)를 인용하거나

 寓話(우화)를 인용해서 스스로 깨닫도록 언어의 마술을 이용한다.

그러기에 신하의 언어는

날로 세련되어지고 감칠 맛 나는 이야기로 꾸며지는 것이다.

古書(고서)를 읽는 재미이기도하다.

그들의 언어는 한 장의 난초 그림으로도 의사소통을 하고,

 한마디 말속에 숱한 의미를 지니는

 이중 삼중의 언어로 변모하게된다.

 

 

北冥有魚 其名爲鯤 鯤之大不知其幾千里也 化而爲鳥 其名爲鵬 鵬之背不知其幾千里也 怒而飛 其翼若垂天之雲 是鳥也 海運則將徙於南冥 南冥者 天池也

齊諧者 志怪者也 諧之言曰

鵬之徙於南冥也 水擊三千里 搏扶搖而上者九萬里 去以六月息者也 野馬也 塵埃也 生物之 以息相吹也 天之蒼蒼 其正色邪 其遠而無所至極邪 其視下也 亦若是則已矣

북쪽 하늘에 물고기가 있다. 그 이름은 곤이다.

곤은 크기가 몇 천리나 되는지 알 수 없다.

변화하여 새가 되면 그 이름이 붕이다.

붕의 등이 몇 천리인지 알 수 없다.

떨쳐 일어나 날아오르면 그 것은 날개를 앞세워 드리워진 하늘의 구름이다.

이새는 바다 기운을 타고 가면 곧 이르는 곳이 南冥이다.

南冥은 하늘의 못이다.

붕이 남쪽 바다로 옮아갈 때 파도는 삼천리나 솟구치고 붕새는 회오리바람을 타고 위로 구만리까지 날아오르는데 6월의 바람을 타고 간다.

아지랑이와 먼지는 생물이 호흡으로 뿜어내는 것이다.

푸르른 하늘빛은 바로 하늘이 띠고 있는 빛깔일까?

아득하게 멀어서 끝이 없어 그런 것은 아닐까?

그곳에서 아래를 내려다보아도 또한 이와 같을 따름이다.

 

 

위 글을 天文으로 읽으면 또 다른 뜻이 있다.

 

北冥有魚 은하의 남극은 :銀河圖에 있는데

其名爲鯤 그 이름을 곤이라 한다.

鯤之大不知其幾千里也 곤은 너무 커서 몇 천리가 되는지 알 수 없다.

化而爲鳥 其名爲鵬 변하면 새가되는데 그 때의 이름을 붕이라 하고

鵬之背不知其幾千里也 붕의 등(은하적도면)은 몇 천리인지 알 수가 없다.

怒而飛 떨쳐 일어나 날아오르면

其翼若垂天之雲 그 드리운 날개는 하늘을 구름처럼 덮는다.

是鳥也 이 새는

海運則將徙於南冥 밤하늘에 떠오르면 마침내 은하의 북극이 사라진다.

南冥者 天池也 은하의 북극은 하늘의 못이다.

 

우리 은하수가 한여름 밤하늘에 은하의 양극을 날개로 삼아 떠오르며 펼치는 은모래 밭 향연의 장관을 노래하고 있다.

 

: 荒極.皇極. 은하의 極點 이라는 뜻이다.

北冥: 은하의 남극

: 銀河圖은하도

: 밤하늘

鵬之背: 은하의 적도 양 단면

南冥: 은하의 북극

천문도상 좌측하단 은하의 남극을 이라고 이름하고, 우측상단 머리털자리에 있는 은하 북극을 南冥이라 하여.

실재의 밤하늘에 떠오를 때의 모양을 새의 날개로 삼아 전체 은하수의 모양을 이라는 새로 본다는 말이다.

天池 하늘의 못이란, 은하의 북극 자리가 있는 곳이며

海運則將 여기서 바다라는 말은 밤하늘이다.

則將徙於南冥 곧 은하의 북극이 서쪽으로 넘어갈 때를 말한다.

밤하늘에 은하수가 반듯하게 하늘을 가로지르며 은모래 밭을 만들 때 은하의 북극이 서북쪽 하늘에서 사라지려고 하고 있다.

은하의 북극 좌표점을 天池하늘의 못이라 한 것은

여름의 별자리로써 장마철이 되는 별자리이다.

8월 달의 북두칠성의 모양은 국자가 엎어진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것은 하늘에서 물을 쏟아 붙는 장마철의 의미이다.

天池하늘의 못의 물을 북두칠성의 국자로 퍼서 쏟아 붙고 있다는 말이다.

이렇듯이 밤하늘을 라하고

밤하늘을 질서롭게 유영하는 은하수의 궤적을 물고기로 보고

북두칠성을 물바가지로 보는 등, 하늘의 별자리 모양과 그 변화를 실생활 주변에서 그 이름을 비유한 것이다.

란 천문도상의 둥근 원 속의 하늘을 말하며 실재로는 밤하늘을 이르는 말이다.

천문도를 그리면 천문도의 가징자리는 수평선이 된다.

칠흑 같은 밤 바닷가에 나가서 밤하늘을 보면 바다와 하늘은 맞닿아 있다.

밤하늘을 바다라 비유하였으니 밤하늘을 유영하는 은하수의 모양은 당연 물고기가 되는 것이다.

 

天文에서는 물고기의 상형 자는 본디 銀河중심의 天文圖라는 의미이다.

이를 Galactic Chart라 부른다.

 

 

古文字에서 물고기의 상형을 자세히 관찰하면 천문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쌍어의 두 개의 눈은 천문에 있어서 天柱와 북극의 좌표를 의미한다.

머리 부분은 紫微垣을 의미하고, 아가미는 각각 天市垣太微垣의 의미이다.

물고기의 등뼈 전체는 우리은하의 적도 부분을 의미하는 鵬之背이다.

물고기의 잔뼈는 적위 선분을 나타내고 비늘은 적경 선분을 의미한다.

 

물고기의 몸속 가시 모양은 우리가 그리는 천문도의 기본 틀인 황도와 적도, 하지와 동지 때의 천문도상의 좌표 선분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魚子鮞. 北溟大漁.

:. 魚子在腹.

자의 의미는 爾雅에는 鯤魚子라고 했다.

魚子의 의미는 천문의 씨즉 천문의 기본이 되는 점, 기본 좌표를 의미한다.

은 천문도상의 은하수를 말하는데 古代의 천문은 은하수의 적도면을 중심으로 했다는 말이기도 하다. 이 말은 우리은하구조의 개념을 이해하고 있었다는 말이다.

고대 雙魚의 비밀이기도 하다.

鵬之徙於南冥也 은하 적도를 따라온 은하의 북극이

水擊三千里 물결치면 삼천리가 되고

搏扶搖而上者九萬里 회오리치며 솟구치면 위쪽으로 구만리가 된다.

去以六月息者也 6개월 뒤에 가서야 쉰다.

野馬也塵埃也生物之 들판의 말이요. 뽀얀 먼지로 들고 나는 살아있는 생명체이다.

以息相吹也天之蒼蒼 서로 보조를 맞춰 하늘을 받들었으니

其正色邪其遠而無所至極邪 그 것은 곧게 기울은 모양이고. 끝이 없이 먼 이다.

其視下也亦若是則已矣 그 아래쪽을 내려다보아도 또한 마찬가지로 그러하다.

 

남쪽 바다로 옮겨가는 것은 하늘의 별자리가 1월부터 시작하여 여섯 달 동안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은하수가 서서히 떠오르는 계절이며, 물결이 삼천리라고 한 것은 은하수 모양의 폭을 말하는 것이고 구만리란 7월의 은하수가 뻗쳐있는 서남에서 동북 끝자락까지의 거리를 말하는 天文常數(천문상수)이다.

은 호흡하다의 의미이다. 은하수 폭이 들쑥날쑥한 변화를 이르는 말이다.

野馬也 塵埃也 말이 뛰는 들판이란, 서양의 별자리로 페가수스말을 의미한다.

당시 7월의 밤하늘에는 페가수스가 떠오르는 여름철 이기도하다.

 

天地蒼蒼에서의 蒼蒼은 아래위로 떠받든다는 의미를 가지는데 두 번을 떠받든 이유는, 하늘과 땅 사이의 天柱(천주)北極(북극)을 떠받든다는 의미이다.

즉 하늘의 두 개의 축을 말하는 것이며,

其正色邪하나는 바르고 하나는 23.5도 기울어진 모양이라는 말이다.

즉 황극과 북극의 기울기를 말한 것이다.

장자시대에 이미 지구축이 태양의 축에 23.5°기울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其遠而無所至極邪]기울어진 이 끝 간 데 없어 땅 밑 쪽의 南極(남극) 쪽도 마찬가지라는 말은 지구가 둥글 다는 의미이고

태양계 구조를 이미 이해하고 있었음을 다소나마 짐작할 수 있는 이야기이다.

 

北冥 =우리은하의 남극 (천문도상 북쪽 乾方 조각실 부근 / 00:50 -27°30)

鵬之背: 은하수 적도 선분 (밤하늘의 은하수가 펼쳐진 모양)

南冥: 우리은하의 북극 (천문도상 남쪽 坤方 머리털 자리 /12:49 +27°30)

                                                                               -계속-

 


且夫水之積也不厚 則其負大舟也無力 覆杯水於坳堂之上 則芥爲之舟 置杯焉 則膠 水淺而舟大也風之積也不厚 則其負大翼也無力 故九萬里 則風斯在下矣 而後乃今培風 背負靑天而 莫之夭閼者 而後乃今將圖南

 

무릇 고인 물이 깊지 않으면 큰 배를 띄울 힘이 없다.

한 잔의 물을 움푹 페인 곳에 부으면 겨자씨를 배로 삼을 수는 있으나,

잔을 그곳에 놓으면 곧바로 바닥에 닿는다.

물은 얕고 배는 크기 때문이다.

바람이 도탑게 쌓이지 않으면 큰 새는 날아오를 수 없다.

그러므로 구만리의 아래쪽에 있는 바람 또한 그러하다.

연후에도 바람이 더해져야 푸른 하늘을 도중에 아무런 막힘없이 등지게 되고 그런 연후에 남쪽의 그림을 그리게 되는 것이다.

 

내용 속에는, 물과 그릇 바람과 새를 인용해서 그때의 과학과 引力하고 있다.

물과 그릇 바람과 새의 관계는 質量질량과 引力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내용이다.

 

우주공간에서 펼쳐지는 바람이라는 큰 힘의 작용.

은하수가 날개 짓 하지 않고도 떠있을 수 있는 그 어떤 바람..

어떤 힘이 작용함으로써 그 높은 하늘에 떠있을 수 있다는 과학 이론일까.

연후에도 바람이 더해져야한다는 의미를 고찰하면 하늘의 별자리가 변화 하는데 에는

계속적인 힘이 작용해야 한다는 말인데, 이 말은 최소한 지구의 自轉의 힘을 의미한다.

그런 힘의 작용이 계속 됨으로써 하늘에 떠있을 수 있고 돌아가며 별자리가 바뀌고 그렇게 바꿔진 각각의 별자리 모양이 남쪽의 높고 낮은 별자리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蜩與學鳩 笑之曰 我決起而飛 槍楡枋而止 時則不至而控於地而已矣 奚以這()九萬里而南爲 適莽蒼者三餐()而腹猶果然 適百里者 宿舂糧 適千里者 三月聚糧 之二蟲又何知 小知不及大知 小年不及大年 奚以知其然也 朝菌不知晦朔 蟪不知春秋 此小年也 楚之南有冥靈者 以五百歲爲春 五百歲爲秋 上古有大椿者 以八千歲爲春 八千歲爲秋 此大年也 而彭祖乃今以久特聞 衆人匹之 不亦悲乎>

매미와 같이 공부하는 비둘기가 그것을 비웃으면서 말했다.

"우리는 온 힘을 다해 날아도 느릅나무 가지에 머무를 뿐이다.

그때 나무에 오르지 못하면 땅바닥에 떨어진다.

어떻게 그것(바람)으로 구만리남쪽으로 간다는 말인가.

푸른 들에 다다른 사람은 세끼 식사만 하고 돌아와도 여전히 배가 부르다.

백리 길을 다다르려면 밤새 곡식을 찧어야 하고 천리 길을 다다르려면 세 달 동안 식량을 모아야 한다.

이 두 벌레가 어찌 이를 알겠는가!

작은 지혜는 큰 지혜에 미치지 못하고 짧은 경륜은 오랜 경륜에 미치지 못한다.

그렇게 되는 까닭을 알 수 있는 것은

하루살이는 한 달을 알지 못하고 여치는 봄과 가을을 알지 못한다.

이 것이 小年이다.

초나라 남쪽에서는 冥靈이라는 나무를 봄으로써 500이라는 천문상의 상수 로 삼고.

가을로 500이라는 :천문상수로 삼았다.

그 옛날에 大椿이라 하는 것이 있었다.

봄을 八千이라는 :천문상수로 하고 가을을 八千이라는:천문상수로 삼았다.

이것이 大年이다.

팽조는 오래 산 인물이라 하여 지금까지 유명하게 전해지니 많은 사람들이 이것에 맞춘 것이니 또한 슬프지 아니한가.

 

蜩與學鳩 笑之曰 我決起而飛 槍楡枋而止 時則不至而控於地而已矣 奚以這()九萬里而南爲

비둘기가 그것을 비웃으며 하는 말

나무에 오르지 못하면 땅바닥에 떨어진다.

어떻게 그것이 구만리 남쪽으로 날아간다는 말인가.

밤하늘의 뭍 별들이 날개 짓도 않으며 어떻게 구만리를 나를 수 있는가?

이 말은

별이 스스로 날아가며 움직이는 것이 아니고

지구가 자전한다는 냉소적 반의어인 것이다.

 

適莽蒼者三餐()而腹猶果然

푸른 들에 다다른 사람은 세끼 식사만 하고 (돌아와)도 여전히 배가 부르다.

백리 길을 다다르려면 밤새 곡식을 찧어야 하고

천리 길을 다다르려면 세 달 동안 식량을 모아야 한다.

이 두 벌레가 어찌 이를 알겠는가!

 

이 말은 의 지름값으로 따져본 ()둘레의 길이<2rπ>을 말하는 것이다.

適莽蒼者의 뜻은 천문용어로 원 둘레를 지름의 길이로 제어보다라는 말이다.

지름의 길이로 따져 본 원의 둘레 = 2rπ이다.

適莽蒼者三餐()而腹猶果然

문자로 쓰면 3 + 腹猶 =지름의 길이를 세 번 더하고 조금 더 보탠 길이 = 원둘레의 길이이다.

각자형의 의미부터 보면

 

: 爾雅에는 展適也如適之嫁徂逝往也라 했다.

은 펼쳐놓은 것이라는 말이며

如適之嫁徂逝往也의 뜻은 같은 원의 둘레는 적위차를 갖고 일정하게 퍼지며 곡선을 그리면서 나아가는 것이다. 라는 뜻이다.

: 粗率鹵義同草深貌毒魚草宿草.

爾雅에는 莽數節桃枝四寸有節粼堅中簢筡中仲無笐箭萌篠箭이라고 했다.

數節: 숫자를 계산해서 나눠 놓은 것의 의미이다.

四寸有節: 四寸의 길이로 나눠 놓았다는 말이다.

이 말은 천문도에서 360도의 각을 세세하게 나누어 놓은 赤經(적경)을 의미한다.

 

適莽: 펼쳐서 나눠 놓은 것. 원둘레의 길이를 말한다.

古文字는 땅과 하늘을 받치고 있는 상형이다.

기둥의 의미와 함께 둥근 의 지름을 의미하는 자형이다.

適莽蒼者지름의 길이로 펼쳐서 놓은 것이란 뜻이다.

: 爾雅에는 粲餐也

: 먹는다는 의미는 같은 길이로 반복해서 재본다는 말이다.

蒼者三餐은 지름의 길이를 세 번 먹인다(더하다)는 말이다.

 

 

: 爾雅에는 惇亶祜篤掔仍肶埤竺腹,厚也.

: 羳羊黃腹라고 하였다.

: 두텁다는 의미이다. 본래의 값보다 조금 많다는 의미이다.

: 爾雅에는 猶如麂善登木라고 했다.

猶如麂善登木에서 와 같다는 말인데 천문용어로는 는 별자리의 크기를 말한다.

馬虎鳥熊豹등과 같이 별자리 모양의 크기를 말하는 것인데

각각의 크기에 따라서 천문도 상의 각거리는 서로 차이를 가진다.

 

猶如麂: 천문도 36024시간의 각으로 나눈 360÷ 24 = 15를 말한다.

는 시간각을 나눈 최초의 기점 즉 時間. 등의 때를 맞추는 시작점이라는의미이기도하다.

善登木: 앞서 올라가 반듯하다라는 의미이다.

 

원주율 π=3.14159...에서 3蒼三餐이고

나머지 0.14159...의 수치를 의미하는 것이 腹猶이다.

腹猶의 의미는 의 각거리보다는 조금 크다는 말이다.

0.14159...의 각 값은 腹猶(복유)이다.

그 값은 360× 0.14159 ÷3.14159 = 16.225의 호 길이를 말하는 것이다.

의 각거리 15에서 조금 더 보탠 값으로 한다는 말이다.

 

適百里者宿 舂糧適千里者 三月聚糧 之二蟲又何知

適百里者宿: 펼쳐서 100리가 되는 것은 하지 때의 宿해 그림자의 길이이고

舂糧適千里者: 春分때 얻어내는 해 그림자 길이는 1000리가 된다는 말이다.

 

쓰여진 문자를 각각 천문 용어로 해석하면

 

방아찔용 : 이 문자의 의미는 방아 찧다는 의미보다도 해 그림자라는 의미가 앞선 의미이다.

            해시계 앙부일구를 연상하면 이해가 쉽다.

 

이 글 내용 또한 춘분과 하지 때의 해 그림자 길이를 측량하는 내용이다.

고문자의 상형을 보자.

언뜻 보면 절구질을 하는 모양을 상형했다.

그러나 이 그림은 규표의 나무 막대를 세워 해 그림자를 측량하는 상형이다.

 

 

:擣米築鐘聲容靜築地摏同

상형은 절구에서 곡식을 찧는 모양을 그리고 있다.

천문으로 이해하면 해 그림자로 시간과 절기를 관측하는 천문기구인 圭表를 세우는 모습이며 땅에서 세워놓은 규표의 해 그림자 길이가 가장 짧은 夏至때의 해 그림자를 나타낸 그림이다.

玉篇에서 자의 의미를 擣米築라고 했는데 이 말의 뜻은

규표 그림자의 극한값을 표시하다. 라는 뜻이다.

築地의 뜻은 땅에다 표시하다. 라는 뜻이다.

 

鐘聲의 종치는 소리는 시각을 알린다는 말이고,

鼓鐘자는 천문도에서 하지점. 동지점의 위치의 의미이기도 하다.

고대 천문에서 종소리 북소리는 시간(赤經)을 알리는 기물의 상징이다.

또한 닭 울음 돼지 울음 새 울음 등은 赤緯좌표값을 나타내는 말이다.

산해경에 숱한 울음소리 북, 종소리가 바로 이것이다.

 

: 자의 의미인 그릇에 넣다는 의미는 해 그림자의 모양을 의미하고

그릇에 넣는다는 말은 仰釜日晷(앙부일구)에 그림자를 담는 다는 말이다.

: 자는 手椎築鴇同라고 하는데 手椎는 손으로 내리친다는 말은 곧바로 아래쪽을 가르킨다는 말이다.

발밑을 곧바로 가르킨다는 말이며 그림자가 드리워지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이다.

: 자는 자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 는 기러기와 같은 큰 새를 말하는데 기러기란 솟대에 맨 위에 나무로 깍아서 올려놓은 기러기 모양을 말한다. 三足烏의 의미이다.

 

옛날의 절터나 혹은 淸州 흥덕사지 등에 있는 幢竿支柱당간지주등의 맨 꼭대기에 올려있든 새의 모양을 말하는 것이다.

당간지주는 그냥 종교적인 상징물이 아닌 당시의 시간을 측정하는 천문 관측기구의 역할을 한 것이다.

鷺舂鉏.: 해그림자의 황극을 맟추는 기구

 

適百里者宿 舂糧適千里者 三月聚糧

 

 

宿: 고문자의 상형은 하늘아래 틀을 짊어지고 있는 모양이다.

 

宿: 황도상의 별자리의 모음을 의미하는 문자이다.

 

黃道를 따라 배열한 별자리의 무더기 모음을 말한다.

28宿...房心........................으로 나눈 각각의 별자리 을 말한다.

 

玉篇에서 宿자의 의미는 宿: 素夜止休留守大列星星座라 했다.

그 뜻을 자세히 분석하면 각각의 의미는 별자리모음을 설명한 것이다

 

: 하나의 줄로 꿰어 놓았다는 말이고.

 

夜止: 밤에 머문다는 말이다.

 

이 말은 宿의 의미를 설명한 말로써 황도 상에서 정해놓은 별자리이므로 한 낯에 태양이 가는 길인

黃道상에 위치한 별무리는 낯에는 태양이 떠있는 자리에 머문다는 말이며 곧 밤에 태양의 자리에 머문다는 말이다.

: 함께 머문다는 뜻이 같은 좌표 값을 갖는다.

: 같이 있다는 말이며 함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 천문유초-

列星星座: 나란히 줄지어서 좌우로 자리한 별자리라는 말이다.

 

宿의 뜻을 이해하는 데에는 우리의 몸에서 齒牙의 구조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된다.

古代人은 자연과 인간을 하나로 본 우주관을 바탕으로 사물을 이해했다.

천문도의 황도와 적도 선분은 인간의 치아 구조와 같다.

천문에서 별자리 28개로 나눠놓은 것이다.

어금니와 송곳니의 크기가 다르듯이 28宿의 각각의 分度수치는 크고 작음이 있다.

또한 28宿四方으로 분류 할 때 7개씩의 宿를 한 묶음으로

또 다른 四宿方位로써의 더 큰 宿을 갖게 되는데 상하 앞니와 어금니는

東方蒼龍 西方白虎 南方朱雀 北方玄武으로 나눈 것이다.

爾雅:有客宿宿 言再宿也 有客信信 言四宿也

좌표에 떠돌고 있는 별무리가 묵고 가는데 또 묵고 간다는 말은 客星이 두 개 씩 두 개씩 묵고 가며 네 개를 묵는다.

 

여기 재미있는 천문 우화가있다.

 

爾雅: 齸屬牛曰齝羊曰齥麋鹿曰齸

麋鹿曰齸: 입을 다물어서 아랫니와 윗니를 꼭 맞게 이를 물고 있을 때는 천문도상의 황도와 적도가 교차되는 춘분점과 추분점의 위치를 말하는 것이며

사슴은 아래위턱이 딱 맞는 정교합이고

羊曰齥: 아래턱을 앞으로 내밀어 아랫니가 윗니보다 더 앞으로 나온 모양은 황도가 적도의 밖에 있을 때는 冬至때의 모양이 羊曰齥이다.

양은 아래턱이 나와서 부정교합이고

牛曰齝: 그와 반대로 윗니가 앞으로 나온 상태는 적도가 밖을 향한 상태로써 夏至때의 천문도를 牛曰齝로 나타낸 것이다.

소는 윗니가 앞으로 나와 있다.

 

 

適百里者 宿舂糧 適千里者 三月聚糧 之二蟲又何知

100리는 夏至하지때 해 그림자의 길이에 맞춰지고

1.000리는 춘분 때 해 그림자의 길이에 맞춰지는 것을 두 마리 벌래가 어찌 알리요!

 

小知不及大知 小年不及大年 奚以知其然也 朝菌不知晦朔 蟪不知春秋 此小年也

하루살이는 한 달을 알지 못하고 여치는 봄과 가을을 알지 못한다.

이 것이 小年소년이다.

이 말은 역법의 천문의 전체적 변화를 알고 그 변화에 맞춰서 만들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천문의 변화를 감안하지 않고

어찌 억찌하여 당대에만 맞는 잘못된 역법을 하고 있다는 것으로

전체적인 천문을 모르는 자들을 두 벌레가 어찌 이를 알겠는가라고 꼬집어 말한 것이다.

 

楚之南有冥靈者 以五百歲爲春 五百歲爲秋

冥靈: 오백년을 사는 명령이라는 나무라고 한다.

천문에서 冥靈은 남극과 북극을 의미한다.

: 荒極.皇極. 은하의 極點 이라는 뜻이다.

: 北極이라는 뜻이다. -자세한 내용은 구책열전 천문해-

 

이 글을 천문적으로 재해석하면

楚之南有冥靈者 초나라의 남쪽으로는 남극과 북극이 있는 것인데

초나라의 남쪽으로는 남극과 북극이 있다함은

초나라의 남쪽으로는 적도를 향해 내려가 관측지를 옮겼을 경우를 이르는 말이다.

남쪽으로 내려간 관측자가 북위 23.5°선 상에서 하지 날 태양을 관측하면

태양은 바로 머리위에 떠있고 북극은 북쪽으로 66.5°에 있고

황극은 북극 지평선상에 90°로 놓이게 된다는 말이다.

바로 이때의 좌표를 바탕으로 해서 설명된 내용이다.

바로 이좌표의 설정을 바탕으로 천문을 한 것인데

以五百歲爲春 五百歲爲秋

500년간을 천문 관측을 했다는 것이다.

황극이 북극에 90°선상에 정열된 상태의 좌표를 기준으로 500년을 관측했다면

500년의 세차를 감안하면 측정오차가 생긴다.

500이라는 小年세차는

세차 25.8000/360°= 71.661°=71.66

500/71.7= 50/71.7= 6.97°의 차이가 난다.

그런데

上古有大椿者 以八千歲爲春 八千歲爲秋 此大年也

그 옛날 8.000년간을 大椿이라는 나무 해 그림자로 측정 했다면 그 오차는

8.000/71.6°=111.63°의 엄청난 오차가 생긴다. 이것을 大年이라하는데

此大年也 而彭祖乃今以久特聞 衆人匹之 不亦悲乎

팽조가 오래 산다는 허구한 당시대의 말 등을 믿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것(大年)을 따르고 있으니 슬프지 아니한가 라고 한 것이다.

 

 

                                                -앞선1997년 해석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계속-

1111111111111111111

周脾算經 卷上之一  1 天文解

 

 

본 내용은 저작권 등록 중입니다.

 

 

'산경 > 周脾算經 天文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周脾算經 卷上之一 1- 2  (0) 2014.02.11
주비산경 서문 천문해   (0) 2014.01.01
周脾算經 卷上之二 2  (0) 2013.10.31
周脾算經 卷上之二 3  (0) 2013.10.31
444444444444444444444  (0) 2013.10.17

周脾算經 卷上之一 2 천문해

 

본 내용은 저작권 등록 중입니다.

 

'산경 > 周脾算經 天文解'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비산경 서문 천문해   (0) 2014.01.01
周脾算經 卷上之一 1  (0) 2013.10.31
周脾算經 卷上之二 3  (0) 2013.10.31
444444444444444444444  (0) 2013.10.17
77777777777777  (0) 2013.10.17

周脾算經 卷上之二  3 천문해

 

본 내용은 저작권 등록 중입니다.

 

'산경 > 周脾算經 天文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周脾算經 卷上之一 1  (0) 2013.10.31
周脾算經 卷上之二 2  (0) 2013.10.31
444444444444444444444  (0) 2013.10.17
77777777777777  (0) 2013.10.17
444444444444444444444  (0) 2013.10.17

 

逍 遙 遊 -1-

莊子 < 內篇 >

 

 

且夫水之積也不厚 則其負大舟也無力 覆杯水於坳堂之上 則芥爲之舟 置杯焉 則膠 水淺而舟大也風之積也不厚 則其負大翼也無力 故九萬里 則風斯在下矣 而後乃今培風 背負靑天而 莫之夭閼者 而後乃今將圖南

 

무릇 고인 물이 깊지 않으면 큰 배를 띄울 힘이 없다.

한 잔의 물을 움푹 페인 곳에 부으면 겨자씨를 배로 삼을 수는 있으나,

잔을 그곳에 놓으면 곧바로 바닥에 닿는다.

물은 얕고 배는 크기 때문이다.

바람이 도탑게 쌓이지 않으면 큰 새는 날아오를 수 없다.

그러므로 구만리의 아래쪽에 있는 바람 또한 그러하다.

연후에도 바람이 더해져야 푸른 하늘을 도중에 아무런 막힘없이 등지게 되고 그런 연후에 남쪽의 그림을 그리게 되는 것이다.

 

내용 속에는, 물과 그릇 바람과 새를 인용해서 그때의 과학과 引力하고 있다.

물과 그릇 바람과 새의 관계는 質量질량과 引力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내용이다.

 

우주공간에서 펼쳐지는 바람이라는 큰 힘의 작용.

은하수가 날개 짓 하지 않고도 떠있을 수 있는 그 어떤 바람..

어떤 힘이 작용함으로써 그 높은 하늘에 떠있을 수 있다는 과학 이론일까.

연후에도 바람이 더해져야한다는 의미를 고찰하면 하늘의 별자리가 변화 하는데 에는

계속적인 힘이 작용해야 한다는 말인데, 이 말은 최소한 지구의 自轉의 힘을 의미한다.

그런 힘의 작용이 계속 됨으로써 하늘에 떠있을 수 있고 돌아가며 별자리가 바뀌고 그렇게 바꿔진 각각의 별자리 모양이 남쪽의 높고 낮은 별자리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蜩與學鳩 笑之曰 我決起而飛 槍楡枋而止 時則不至而控於地而已矣 奚以這()九萬里而南爲 適莽蒼者三餐()而腹猶果然 適百里者 宿舂糧 適千里者 三月聚糧 之二蟲又何知 小知不及大知 小年不及大年 奚以知其然也 朝菌不知晦朔 蟪不知春秋 此小年也 楚之南有冥靈者 以五百歲爲春 五百歲爲秋 上古有大椿者 以八千歲爲春 八千歲爲秋 此大年也 而彭祖乃今以久特聞 衆人匹之 不亦悲乎>

매미와 같이 공부하는 비둘기가 그것을 비웃으면서 말했다.

"우리는 온 힘을 다해 날아도 느릅나무 가지에 머무를 뿐이다.

그때 나무에 오르지 못하면 땅바닥에 떨어진다.

어떻게 그것(바람)으로 구만리남쪽으로 간다는 말인가.

푸른 들에 다다른 사람은 세끼 식사만 하고 돌아와도 여전히 배가 부르다.

백리 길을 다다르려면 밤새 곡식을 찧어야 하고 천리 길을 다다르려면 세 달 동안 식량을 모아야 한다.

이 두 벌레가 어찌 이를 알겠는가!

작은 지혜는 큰 지혜에 미치지 못하고 짧은 경륜은 오랜 경륜에 미치지 못한다.

그렇게 되는 까닭을 알 수 있는 것은

하루살이는 한 달을 알지 못하고 여치는 봄과 가을을 알지 못한다.

이 것이 小年이다.

초나라 남쪽에서는 冥靈이라는 나무를 봄으로써 500이라는 천문상의 상수 로 삼고.

가을로 500이라는 :천문상수로 삼았다.

그 옛날에 大椿이라 하는 것이 있었다.

봄을 八千이라는 :천문상수로 하고 가을을 八千이라는:천문상수로 삼았다.

이것이 大年이다.

팽조는 오래 산 인물이라 하여 지금까지 유명하게 전해지니 많은 사람들이 이것에 맞춘 것이니 또한 슬프지 아니한가.

 

蜩與學鳩 笑之曰 我決起而飛 槍楡枋而止 時則不至而控於地而已矣 奚以這()九萬里而南爲

비둘기가 그것을 비웃으며 하는 말

나무에 오르지 못하면 땅바닥에 떨어진다.

어떻게 그것이 구만리 남쪽으로 날아간다는 말인가.

밤하늘의 뭍 별들이 날개 짓도 않으며 어떻게 구만리를 나를 수 있는가?

이 말은

별이 스스로 날아가며 움직이는 것이 아니고

지구가 자전한다는 냉소적 반의어인 것이다.

 

適莽蒼者三餐()而腹猶果然

푸른 들에 다다른 사람은 세끼 식사만 하고 (돌아와)도 여전히 배가 부르다.

백리 길을 다다르려면 밤새 곡식을 찧어야 하고

천리 길을 다다르려면 세 달 동안 식량을 모아야 한다.

이 두 벌레가 어찌 이를 알겠는가!

 

이 말은 의 지름값으로 따져본 ()둘레의 길이<2rπ>을 말하는 것이다.

適莽蒼者의 뜻은 천문용어로 원 둘레를 지름의 길이로 제어보다라는 말이다.

지름의 길이로 따져 본 원의 둘레 = 2rπ이다.

適莽蒼者三餐()而腹猶果然

문자로 쓰면 3 + 腹猶 =지름의 길이를 세 번 더하고 조금 더 보탠 길이 = 원둘레의 길이이다.

각자형의 의미부터 보면

 

: 爾雅에는 展適也如適之嫁徂逝往也라 했다.

은 펼쳐놓은 것이라는 말이며

如適之嫁徂逝往也의 뜻은 같은 원의 둘레는 적위차를 갖고 일정하게 퍼지며 곡선을 그리면서 나아가는 것이다. 라는 뜻이다.

: 粗率鹵義同草深貌毒魚草宿草.

爾雅에는 莽數節桃枝四寸有節粼堅中簢筡中仲無笐箭萌篠箭이라고 했다.

數節: 숫자를 계산해서 나눠 놓은 것의 의미이다.

四寸有節: 四寸의 길이로 나눠 놓았다는 말이다.

이 말은 천문도에서 360도의 각을 세세하게 나누어 놓은 赤經(적경)을 의미한다.

 

適莽: 펼쳐서 나눠 놓은 것. 원둘레의 길이를 말한다.

古文字는 땅과 하늘을 받치고 있는 상형이다.

기둥의 의미와 함께 둥근 의 지름을 의미하는 자형이다.

適莽蒼者지름의 길이로 펼쳐서 놓은 것이란 뜻이다.

: 爾雅에는 粲餐也

: 먹는다는 의미는 같은 길이로 반복해서 재본다는 말이다.

蒼者三餐은 지름의 길이를 세 번 먹인다(더하다)는 말이다.

 

 

: 爾雅에는 惇亶祜篤掔仍肶埤竺腹,厚也.

: 羳羊黃腹라고 하였다.

: 두텁다는 의미이다. 본래의 값보다 조금 많다는 의미이다.

: 爾雅에는 猶如麂善登木라고 했다.

猶如麂善登木에서 와 같다는 말인데 천문용어로는 는 별자리의 크기를 말한다.

馬虎鳥熊豹등과 같이 별자리 모양의 크기를 말하는 것인데

각각의 크기에 따라서 천문도 상의 각거리는 서로 차이를 가진다.

 

猶如麂: 천문도 36024시간의 각으로 나눈 360÷ 24 = 15를 말한다.

는 시간각을 나눈 최초의 기점 즉 時間. 등의 때를 맞추는 시작점이라는의미이기도하다.

善登木: 앞서 올라가 반듯하다라는 의미이다.

 

원주율 π=3.14159...에서 3蒼三餐이고

나머지 0.14159...의 수치를 의미하는 것이 腹猶이다.

腹猶의 의미는 의 각거리보다는 조금 크다는 말이다.

0.14159...의 각 값은 腹猶(복유)이다.

그 값은 360× 0.14159 ÷3.14159 = 16.225의 호 길이를 말하는 것이다.

의 각거리 15에서 조금 더 보탠 값으로 한다는 말이다.

 

適百里者宿 舂糧適千里者 三月聚糧 之二蟲又何知

適百里者宿: 펼쳐서 100리가 되는 것은 하지 때의 宿해 그림자의 길이이고

舂糧適千里者: 春分때 얻어내는 해 그림자 길이는 1000리가 된다는 말이다.

 

쓰여진 문자를 각각 천문 용어로 해석하면

 

방아찔용 : 이 문자의 의미는 방아 찧다는 의미보다도 해 그림자라는 의미가 앞선 의미이다.

            해시계 앙부일구를 연상하면 이해가 쉽다.

 

고문자의 상형을 보자.

언뜻 보면 절구질을 하는 모양을 상형했다.

그러나 이 그림은 규표의 나무 막대를 세워 해 그림자를 측량하는 상형이다.

 

이 글 내용 또한 춘분과 하지 때의 해 그림자 길이를 측량하는 내용이다.

 

 

 

 

:擣米築鐘聲容靜築地摏同

상형은 절구에서 곡식을 찧는 모양을 그리고 있다.

천문으로 이해하면 해 그림자로 시간과 절기를 관측하는 천문기구인 圭表를 세우는 모습이며 땅에서 세워놓은 규표의 해 그림자 길이가 가장 짧은 夏至때의 해 그림자를 나타낸 그림이다.

玉篇에서 자의 의미를 擣米築라고 했는데 이 말의 뜻은

규표 그림자의 극한값을 표시하다. 라는 뜻이다.

築地의 뜻은 땅에다 표시하다. 라는 뜻이다.

 

鐘聲의 종치는 소리는 시각을 알린다는 말이고,

鼓鐘자는 천문도에서 하지점. 동지점의 위치의 의미이기도 하다.

고대 천문에서 종소리 북소리는 시간(赤經)을 알리는 기물의 상징이다.

또한 닭 울음 돼지 울음 새 울음 등은 赤緯좌표값을 나타내는 말이다.

산해경에 숱한 울음소리 북, 종소리가 바로 이것이다.

 

: 자의 의미인 그릇에 넣다는 의미는 해 그림자의 모양을 의미하고

그릇에 넣는다는 말은 仰釜日晷(앙부일구)에 그림자를 담는 다는 말이다.

: 자는 手椎築鴇同라고 하는데 手椎는 손으로 내리친다는 말은 곧바로 아래쪽을 가르킨다는 말이다.

발밑을 곧바로 가르킨다는 말이며 그림자가 드리워지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이다.

: 자는 자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 는 기러기와 같은 큰 새를 말하는데 기러기란 솟대에 맨 위에 나무로 깍아서 올려놓은 기러기 모양을 말한다. 三足烏의 의미이다.

 

옛날의 절터나 혹은 淸州 흥덕사지 등에 있는 幢竿支柱당간지주등의 맨 꼭대기에 올려있든 새의 모양을 말하는 것이다.

당간지주는 그냥 종교적인 상징물이 아닌 당시의 시간을 측정하는 천문 관측기구의 역할을 한 것이다.

鷺舂鉏.: 해그림자의 황극을 맟추는 기구

 

適百里者宿 舂糧適千里者 三月聚糧

 

宿: 고문자의 상형은 하늘아래 틀을 짊어지고 있는 모양이다.

宿: 황도상의 별자리의 모음을 의미하는 문자이다.

 

黃道를 따라 배열한 별자리의 무더기 모음을 말한다.

28宿...房心........................으로 나눈 각각의 별자리 을 말한다.

 

玉篇에서 宿자의 의미는 宿: 素夜止休留守大列星星座라 했다.

그 뜻을 자세히 분석하면 각각의 의미는 별자리모음을 설명한 것이다.

 

: 하나의 줄로 꿰어 놓았다는 말이고.

 

 

 

 

 

 

夜止: 밤에 머문다는 말이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 말은 宿의 의미를 설명한 말로써 황도 상에서 정해놓은 별자리이므로 한 낯에 태양이 가는 길인

黃道상에 위치한 별무리는 낯에는 태양이 떠있는 자리에 머문다는 말이며 곧 밤에 태양의 자리에 머문다는 말이다.

: 함께 머문다는 뜻이 같은 좌표 값을 갖는다.

: 같이 있다는 말이며 함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 천문유초-

列星星座: 나란히 줄지어서 좌우로 자리한 별자리라는 말이다.

 

宿의 뜻을 이해하는 데에는 우리의 몸에서 齒牙의 구조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된다.

古代人은 자연과 인간을 하나로 본 우주관을 바탕으로 사물을 이해했다.

천문도의 황도와 적도 선분은 인간의 치아 구조와 같다.

천문에서 별자리 28개로 나눠놓은 것이다.

어금니와 송곳니의 크기가 다르듯이 28宿의 각각의 分度수치는 크고 작음이 있다.

또한 28宿四方으로 분류 할 때 7개씩의 宿를 한 묶음으로

또 다른 四宿方位로써의 더 큰 宿을 갖게 되는데 상하 앞니와 어금니는

東方蒼龍 西方白虎 南方朱雀 北方玄武으로 나눈 것이다.

爾雅:有客宿宿 言再宿也 有客信信 言四宿也

좌표에 떠돌고 있는 별무리가 묵고 가는데 또 묵고 간다는 말은 客星이 두 개 씩 두 개씩 묵고 가며 네 개를 묵는다.

 

여기 재미있는 천문 우화가있다.

 

爾雅: 齸屬牛曰齝羊曰齥麋鹿曰齸

麋鹿曰齸: 입을 다물어서 아랫니와 윗니를 꼭 맞게 이를 물고 있을 때는 천문도상의 황도와 적도가 교차되는 춘분점과 추분점의 위치를 말하는 것이며

사슴은 아래위턱이 딱 맞는 정교합이고

羊曰齥: 아래턱을 앞으로 내밀어 아랫니가 윗니보다 더 앞으로 나온 모양은 황도가 적도의 밖에 있을 때는 冬至때의 모양이 羊曰齥이다.

양은 아래턱이 나와서 부정교합이고

牛曰齝: 그와 반대로 윗니가 앞으로 나온 상태는 적도가 밖을 향한 상태로써 夏至때의 천문도를 牛曰齝로 나타낸 것이다.

소는 윗니가 앞으로 나와 있다.

 

 

 

 

適百里者 宿舂糧 適千里者 三月聚糧 之二蟲又何知

100리는 夏至하지때 해 그림자의 길이에 맞춰지고

1.000리는 춘분 때 해 그림자의 길이에 맞춰지는 것을 두 마리 벌래가 어찌 알리요!

 

小知不及大知 小年不及大年 奚以知其然也 朝菌不知晦朔 蟪不知春秋 此小年也

하루살이는 한 달을 알지 못하고 여치는 봄과 가을을 알지 못한다.

이 것이 小年소년이다.

이 말은 역법의 천문의 전체적 변화를 알고 그 변화에 맞춰서 만들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천문의 변화를 감안하지 않고

어찌 억찌하여 당대에만 맞는 잘못된 역법을 하고 있다는 것으로

전체적인 천문을 모르는 자들을 두 벌레가 어찌 이를 알겠는가라고 꼬집어 말한 것이다.

 

楚之南有冥靈者 以五百歲爲春 五百歲爲秋

冥靈: 오백년을 사는 명령이라는 나무라고 한다.

천문에서 冥靈은 남극과 북극을 의미한다.

 

: 荒極.皇極. 은하의 極點 이라는 뜻이다.

: 北極이라는 뜻이다. -자세한 내용은 구책열전 천문해-

 

이 글을 천문적으로 재해석하면

楚之南有冥靈者 초나라의 남쪽으로는 남극과 북극이 있는 것인데

초나라의 남쪽으로는 남극과 북극이 있다함은

초나라의 남쪽으로는 적도를 향해 내려가 관측지를 옮겼을 경우를 이르는 말이다.

남쪽으로 내려간 관측자가 북위 23.5°선 상에서 하지 날 태양을 관측하면

태양은 바로 머리위에 떠있고 북극은 북쪽으로 66.5°에 있고

황극은 북극 지평선상에 90°로 놓이게 된다는 말이다.

바로 이때의 좌표를 바탕으로 해서 설명된 내용이다.

 

바로 이좌표의 설정을 바탕으로 천문을 한 것인데

以五百歲爲春 五百歲爲秋

500년간을 천문 관측을 했다는 것이다.

황극이 북극에 90°선상에 정열된 상태의 좌표를 기준으로 500년을 관측했다면

500년의 세차를 감안하면 측정오차가 생긴다.

500이라는 小年세차는

세차 25.8000/360°= 71.661°=71.66

500/71.7= 50/71.7= 6.97°의 차이가 난다.

그런데

上古有大椿者 以八千歲爲春 八千歲爲秋 此大年也

그 옛날 8.000년간을 大椿이라는 나무 해 그림자로 측정 했다면 그 오차는

8.000/71.6°=111.63°의 엄청난 오차가 생긴다. 이것을 大年이라하는데

此大年也 而彭祖乃今以久特聞 衆人匹之 不亦悲乎

팽조가 오래 산다는 허구한 당시대의 말 등을 믿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것(大年)을 따르고 있으니 슬프지 아니한가 라고 한 것이다.

 

 

                                                -앞선1997년 해석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계속-

 

 

逍 遙 遊 -1-

莊子 < 內篇 >

 

北冥有魚 其名爲鯤 鯤之大不知其幾千里也 化而爲鳥 其名爲鵬 鵬之背不知其幾千里也 怒而飛 其翼若垂天之雲 是鳥也 海運則將徙於南冥 南冥者 天池也

齊諧者 志怪者也 諧之言曰

鵬之徙於南冥也 水擊三千里 搏扶搖而上者九萬里 去以六月息者也 野馬也 塵埃也 生物之 以息相吹也 天之蒼蒼 其正色邪 其遠而無所至極邪 其視下也 亦若是則已矣

북쪽 하늘에 물고기가 있다. 그 이름은 곤이다.

곤은 크기가 몇 천리나 되는지 알 수 없다.

변화하여 새가 되면 그 이름이 붕이다.

붕의 등이 몇 천리인지 알 수 없다.

떨쳐 일어나 날아오르면 그 것은 날개를 앞세워 드리워진 하늘의 구름이다.

이새는 바다 기운을 타고 가면 곧 이르는 곳이 南冥이다.

南冥은 하늘의 못이다.

붕이 남쪽 바다로 옮아갈 때 파도는 삼천리나 솟구치고 붕새는 회오리바람을 타고 위로 구만리까지 날아오르는데 6월의 바람을 타고 간다.

아지랑이와 먼지는 생물이 호흡으로 뿜어내는 것이다.

푸르른 하늘빛은 바로 하늘이 띠고 있는 빛깔일까?

아득하게 멀어서 끝이 없어 그런 것은 아닐까?

그곳에서 아래를 내려다보아도 또한 이와 같을 따름이다.

위 글을 天文으로 읽으면 또 다른 뜻이 있다.

 

北冥有魚 은하의 남극은 :銀河圖에 있는데

其名爲鯤 그 이름을 곤이라 한다.

鯤之大不知其幾千里也 곤은 너무 커서 몇 천리가 되는지 알 수 없다.

化而爲鳥 其名爲鵬 변하면 새가되는데 그 때의 이름을 붕이라 하고

鵬之背不知其幾千里也 붕의 등(은하적도면)은 몇 천리인지 알 수가 없다.

怒而飛 떨쳐 일어나 날아오르면

其翼若垂天之雲 그 드리운 날개는 하늘을 구름처럼 덮는다.

是鳥也 이 새는

海運則將徙於南冥 밤하늘에 떠오르면 마침내 은하의 북극이 사라진다.

南冥者 天池也 은하의 북극은 하늘의 못이다.

 

우리 은하수가 한여름 밤하늘에 은하의 양극을 날개로 삼아 떠오르며 펼치는 은모래 밭 향연의 장관을 노래하고 있다.

 

: 荒極.皇極. 은하의 極點 이라는 뜻이다.

北冥: 은하의 남극

: 銀河圖은하도

: 밤하늘

鵬之背: 은하의 적도 양 단면

南冥: 은하의 북극

천문도상 좌측하단 은하의 남극을 이라고 이름하고, 우측상단 머리털자리에 있는 은하 북극을 南冥이라 하여.

실재의 밤하늘에 떠오를 때의 모양을 새의 날개로 삼아 전체 은하수의 모양을 이라는 새로 본다는 말이다.

天池 하늘의 못이란, 은하의 북극 자리가 있는 곳이며

海運則將 여기서 바다라는 말은 밤하늘이다.

則將徙於南冥 곧 은하의 북극이 서쪽으로 넘어갈 때를 말한다.

밤하늘에 은하수가 반듯하게 하늘을 가로지르며 은모래 밭을 만들 때 은하의 북극이 서북쪽 하늘에서 사라지려고 하고 있다.

은하의 북극 좌표점을 天池하늘의 못이라 한 것은

여름의 별자리로써 장마철이 되는 별자리이다.

8월 달의 북두칠성의 모양은 국자가 엎어진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것은 하늘에서 물을 쏟아 붙는 장마철의 의미이다.

天池하늘의 못의 물을 북두칠성의 국자로 퍼서 쏟아 붙고 있다는 말이다.

이렇듯이 밤하늘을 라하고

밤하늘을 질서롭게 유영하는 은하수의 궤적을 물고기로 보고

북두칠성을 물바가지로 보는 등, 하늘의 별자리 모양과 그 변화를 실생활 주변에서 그 이름을 비유한 것이다.

란 천문도상의 둥근 원 속의 하늘을 말하며 실재로는 밤하늘을 이르는 말이다.

천문도를 그리면 천문도의 가징자리는 수평선이 된다.

칠흑 같은 밤 바닷가에 나가서 밤하늘을 보면 바다와 하늘은 맞닿아 있다.

밤하늘을 바다라 비유하였으니 밤하늘을 유영하는 은하수의 모양은 당연 물고기가 되는 것이다.

 

天文에서는 물고기의 상형 자는 본디 銀河중심의 天文圖라는 의미이다.

이를 Galactic Chart라 부른다.

古文字에서 물고기의 상형을 자세히 관찰하면 천문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쌍어의 두 개의 눈은 천문에 있어서 天柱와 북극의 좌표를 의미한다.

머리 부분은 紫微垣을 의미하고, 아가미는 각각 天市垣太微垣의 의미이다.

물고기의 등뼈 전체는 우리은하의 적도 부분을 의미하는 鵬之背이다.

물고기의 잔뼈는 적위 선분을 나타내고 비늘은 적경 선분을 의미한다.

 

물고기의 몸속 가시 모양은 우리가 그리는 천문도의 기본 틀인 황도와 적도, 하지와 동지 때의 천문도상의 좌표 선분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魚子鮞. 北溟大漁.

:. 魚子在腹.

자의 의미는 爾雅에는 鯤魚子라고 했다.

魚子의 의미는 천문의 씨즉 천문의 기본이 되는 점, 기본 좌표를 의미한다.

은 천문도상의 은하수를 말하는데 古代의 천문은 은하수의 적도면을 중심으로 했다는 말이기도 하다. 이 말은 우리은하구조의 개념을 이해하고 있었다는 말이다.

고대 雙魚의 비밀이기도 하다.

鵬之徙於南冥也 은하 적도를 따라온 은하의 북극이

水擊三千里 물결치면 삼천리가 되고

搏扶搖而上者九萬里 회오리치며 솟구치면 위쪽으로 구만리가 된다.

去以六月息者也 6개월 뒤에 가서야 쉰다.

野馬也塵埃也生物之 들판의 말이요. 뽀얀 먼지로 들고 나는 살아있는 생명체이다.

以息相吹也天之蒼蒼 서로 보조를 맞춰 하늘을 받들었으니

其正色邪其遠而無所至極邪 그 것은 곧게 기울은 모양이고. 끝이 없이 먼 이다.

其視下也亦若是則已矣 그 아래쪽을 내려다보아도 또한 마찬가지로 그러하다.

 

남쪽 바다로 옮겨가는 것은 하늘의 별자리가 1월부터 시작하여 여섯 달 동안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은하수가 서서히 떠오르는 계절이며, 물결이 삼천리라고 한 것은 은하수 모양의 폭을 말하는 것이고 구만리란 7월의 은하수가 뻗쳐있는 서남에서 동북 끝자락까지의 거리를 말하는 天文常數(천문상수)이다.

은 호흡하다의 의미이다. 은하수 폭이 들쑥날쑥한 변화를 이르는 말이다.

野馬也 塵埃也 말이 뛰는 들판이란, 서양의 별자리로 페가수스말을 의미한다.

당시 7월의 밤하늘에는 페가수스가 떠오르는 여름철 이기도하다.

 

天地蒼蒼에서의 蒼蒼은 아래위로 떠받든다는 의미를 가지는데 두 번을 떠받든 이유는, 하늘과 땅 사이의 天柱(천주)北極(북극)을 떠받든다는 의미이다.

즉 하늘의 두 개의 축을 말하는 것이며,

其正色邪하나는 바르고 하나는 23.5도 기울어진 모양이라는 말이다.

즉 황극과 북극의 기울기를 말한 것이다.

장자시대에 이미 지구축이 태양의 축에 23.5°기울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其遠而無所至極邪]기울어진 이 끝 간 데 없어 땅 밑 쪽의 南極(남극) 쪽도 마찬가지라는 말은 지구가 둥글 다는 의미이고

태양계 구조를 이미 이해하고 있었음을 다소나마 짐작할 수 있는 이야기이다.

 

北冥 =우리은하의 남극 (천문도상 북쪽 乾方 조각실 부근 / 00:50 -27°30)

鵬之背: 은하수 적도 선분 (밤하늘의 은하수가 펼쳐진 모양)

南冥: 우리은하의 북극 (천문도상 남쪽 坤方 머리털 자리 /12:49 +27°30)

                                                                               -계속-

 

莊子 逍遙遊 天文解 -1

 

<北冥有魚 其名爲鯤 鯤之大不知其幾千里也 化而爲鳥 其名爲鵬 鵬之背不知其幾千里也 怒而飛 其翼若垂天之雲 是鳥也 海運則將徙於南冥 南冥者 天池也>

 

북쪽 보이지 않는 하늘에는 鯤이라 하는 물고기가 있다. 수 천리나 되어 그 크기를 알 수 없다. 변화하면 새가되면 鵬이라 한다. 붕의 등은 수 천리로 그 기미를 알지 못한다. 떨쳐 일어나 날아오르며 날개를 펴면 하늘에 높게 드리워지는 새이다. 밤하늘을 계속 날아가게 되면 南冥이 사라진다. 남명은 하늘의 못이다.
 

天文解

北冥有魚                         우리하의 단면으로  은하의 남극이있는데

其名爲鯤                         그 이름이 곤이라한다.

鯤之大不知其幾千里也       우리은하의 남극은 너무도커서 그 거리가 수천리나된다.

化而爲鳥                         우리은하의 남극은 (밤하늘에서는) 새로 변하여 흐를 때는

其名爲鵬                         그 이름을 (여름밤 은하수 모양)붕이라했다.

鵬之背不知其幾千里也       은하수의 등은 그거리가 몇천리인지 알 수 없다.

怒而飛                            떨쳐 일어나 날으면  

其翼若垂天之雲                그 날개를 펼치면 하늘에 구름이 됀다.

是鳥也 海運則將徙於南冥   이 새는 밤하늘을 우행하면 장차이르는 곳이 우리은하의 북극이다.

南冥者 天池也                  남명은 하늘의 연못 머리털자리이다.           

 

魚: 은하의 단면도

北冥 = 鯤 = 鵬: 우리은하의 남극 (천문도상 북쪽 乾方 조각실 부근 / 00:50 -27°30)

鵬之背: 은하수 적도 선분 (밤하늘의 은하수가 펼쳐진 모양)

南冥: 우리은하의 북극 (천문도상 남쪽 坤方 머리털 자리 /12:49 +27°30)

天池: 머리털 자리
 

해설

지금의 별자리로 설명하자면 대략 8월 19일 경 밤10시 하늘에서 남쪽의 조각실 부근의 별자리에 있는 우리은하의 남극鯤이 떠오르면 은하수의 모양은 직선으로 남서쪽에서 동북쪽으로 우리머리 위를 가로질러 펼쳐지게 된다. ==鵬之背

이때의 은하수 전체의 모양을 새로 본 것이다. ==鵬

시간이 지나면서 우리은하의 북극(머리털)자리는 서북쪽으로 사라진다. ==海運則將徙

 
 

: 거북: 천문관측기구의 둥근환의 총칭

 

萬一曰北斗龜

二曰南辰龜

三曰五星龜

四曰八風龜

五曰二十八宿龜

六曰日月龜

七曰九州龜

八曰玉龜

凡八名龜

 

 

 

龜策列傳 天文解참조

'天文解字천문해자 > 자형별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3.11.24
  (0) 2013.11.24
  (0) 2013.10.30
  (0) 2013.10.30
  (0) 2013.10.30


伏靈복령: 北極出之값 이라는 말이다.

伏엎드릴 복, 안을 부 ㉠엎드리다, 머리를 숙이다 ㉡굴복하다(屈服--), 항복하다(降伏ㆍ降服--), 인정하다(認定--) ㉢숨다, 감추다, 잠복하다(潛伏--) ㉣살피다, 엿보다 ㉤내려가다, 낮아지다 ㉥기다 ㉦절후(節候), 음력(陰曆) 6월의 절기(節氣) ㉧삼복(三伏)의 통칭(通稱) ㉨편지(便紙ㆍ片紙) 중의 존경어 ⓐ(알을)안다 (부) ⓑ(알을)품다 (부)

靈신령 령(영)㉠신령(神靈) ㉡혼령(魂靈), 혼백(魂魄), 영혼(靈魂) ㉢귀신(鬼神), 유령(幽靈), 도깨비 ㉣정기(精氣), 영기(靈氣) ㉤정신(精神), 감정(感情) ㉥존엄(尊嚴) ㉦하늘, 천제(天帝) ㉧영적인 존재 ㉨죽은 사람에 대한 높임말 ㉩복(福), 도움 ㉪위세(位勢) ㉫법령(法令) ㉬신령하다(神靈--), 기이하다(奇異--) ㉭성명하다(聖明--: 덕이 거룩하고 슬기롭다) ㉭아름답다, 훌륭하다 ㉭영검하다(靈---), 영험하다(靈驗--) ㉭총명하다(聰明--), 통달하다(洞達--)


伏복: 무엇인가 와서 엎어졌단다. 무엇이 엎어진 걸가?

靈이와서 엎어진 것이다. 그럼 靈은 무슨 뜻인가.

靈령: 극점(極點)이라는 말이다.

:天文圖上北極


바로가기

'天文解字천문해자 > 자형별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3.11.24
  (0) 2013.10.30
  (0) 2013.10.30
  (0) 2013.10.30
鬼  (0) 2013.10.30

'天文解字천문해자 > 자형별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3.10.30
  (0) 2013.10.30
  (0) 2013.10.30
鬼  (0) 2013.10.30
  (0) 2013.10.30

 

伏靈

 

:天文圖上北極

 

伏靈복령: 北極出之

 

구채적내용 귀책열전 바로가기

'언어의 마술 > 1 -15'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味오미   (0) 2013.12.08
五行 오행  (0) 2013.12.08
朝鮮  (0) 2013.10.28
牝牡 빈모   (0) 2013.10.18
谷神곡신 신은 결코 죽지 않는다.   (0) 2013.10.18

神: 최상점

'天文解字천문해자 > 자형별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3.10.30
  (0) 2013.10.30
鬼  (0) 2013.10.30
  (0) 2013.10.30
  (0) 2013.10.30

+ Recent posts